[언어와생활 공통] 1. 교재 1장을 참고, 통신 언어의 자료를 직접 수집 각 예들에서 어떤 언어적 장치가 사용되었는지, 그러한 언어적 장치들이 어떤 효과를 위한 것인지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와생활 공통] 1. 교재 1장을 참고, 통신 언어의 자료를 직접 수집 각 예들에서 어떤 언어적 장치가 사용되었는지, 그러한 언어적 장치들이 어떤 효과를 위한 것인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통신 언어란

2. 통신 언어 사용 실태

3. 통신 언어의 일반적 특징

4. 통신 언어의 예
 1) 소리나는 대로 적기의 예
 2) 문장부호 남용의 예
 4) 자모해체의 예
 5) 축약과 생략의 예
 6) 음운 첨가의 예
 7) 음운 교체의 예

5. 통신 언어의 예에 사용된 언어적 장치
 1) 소리나는 대로 적기의 언어적 장치
 2) 문장부호 남용의 언어적 장치
 3) 이모티콘 사용의 언어적 장치
 4) 자모해체의 언어적 장치
 5) 축약과 생략의 언어적 장치
 6) 음운 첨가의 언어적 장치
 7) 음운 교체의 언어적 장치

6. 통신 언어의 예에 사용된 언어적 장치의 효과
 1) 소리나는 대로 적기의 언어적 장치 효과
 2) 문장부호 남용의 언어적 장치 효과
 3) 이모티콘 사용의 언어적 장치 효과
 4) 자모해체의 언어적 장치 효과
 5) 축약과 생략의 언어적 장치 효과
 6) 음운 첨가의 언어적 장치 효과
 7) 음운 교체의 언어적 장치 효과

7. 통신 언어가 일상 언어에 미치는 영향

8. 통신언어를 대하는 올바른 자세

9. 시사점

본문내용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통신언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의 통신언어는 대화방에서 빨리 입력하기 위해 타수를 줄이는 수준이었지만 이제는 단어를 합성, 변형, 축소하면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일명 ‘외계어’라는 통신언어가 생겨나게 되었다. 한글 맞춤법을 무시한 통신언어의 무분별한 사용에 의해 별도의 해석까지 필요하게 될 만큼 통신언어가 상당히 변질되었다. 사회적으로는 세대 간에 거리감을 느끼게 하며, 또래 간에 의사소통에도 문제가 되고 있다. 어휘적인 면에서도 비속어, 은어, 약어, 불필요한 외래어가 지나치게 많이 쓰임으로써 국민들의 건전한 언어생활에해를 끼치고 있다. 이러한 통신언어의 부정적 요소들은 특히 우리말과 글을 배우고 익히고 있는 학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런데 통신이라는 제한된 환경에서 쓰이기 시작한 통신언어는 통신 영역을 벗어나 일상 언어에서도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요즘 학생들의 일기나 낙서, 편지, 쪽지 등에서 심지어는 수행평가와 같은 학습 활동에서도 통신언어가 사용되고 있음은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최근 취업을 위한 이력서나 자기소개서에서도 통신언어가 쓰이고 있다는 신문 기사는 이러한 통신언어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만큼 통신언어가 이제는 일상 언어화되고 있다.
청소년기는 언어의 형성기와 발전기에 걸친 시기인데 이처럼 중요한 시기에 무분별한 통신언어의 남용으로 청소년들의 언어생활이 병들어 가고 있다. 그리고 나아가서 우리 언어 전체에 대한 병폐를 초래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갖게 한다.
3. 통신 언어의 일반적 특징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대중화, 대중 매체의 활성화 등으로 세계화, 정보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면서 통신상에서의 언어 사용은 언어 사용자들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언어가 크게 변화되고 있다. 이렇듯 언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 소멸, 변화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사회와 시대가 변하고 생활환경이 달라짐에 따라 언어의 모습도 계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통신언어가 지니는 일반적인 특성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문법에서 벗어난 형태가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음성 언어의 음운적 특성이 반영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음절의 일부를 탈락시키거나 음운의 일부를 탈락시키는 형태,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여 음운을 축약시키는 형태가 나타났다. 이것은 앞서 살펴본 통신언어의 형성 동기에서 경제적 동기가 반영된 것이다. 하지만 경제적인 동기가 반대로 나타나는 형태도 등장하였다. 경제적으로 줄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음운이나 음절을 늘려 사용하는 경우도 생겼다. 이는 개성적인 표현을 원하는 심리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문장이 완전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문자로 표현하면 하나의 완벽한 문장을 이루어야 하는 것이 옳지만, 통신언어에서는 음성 언어 형식의 형태가 많이 나타난다. 문장의 주성분 중 일부가 생략되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 전해지면 의사소통에 오해가 발생할 수도 있고, 정확한 의사소통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셋째, 새로운 어휘들이 많이 만들어진다. 통신 공간에서는 하루가 멀다 하고 은어, 약어, 신조어 등 새로운 어휘들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세대 내, 세내간 의사소통에 장애를 가져 오게 된다. 새로운 어휘들이 많이 생성되고 있는 통신언어의 특징을 생각할 때 사람들끼리 의사소통이 원활하려면 교육적인 노력과 바르게 사용하려는 의식이 많이 필요하다.
넷째, 통신언어에는 의성어·의태어 등 감정과 관련된 어휘들이 많이 나타난다. 기존의 의성어·의태어는 사물의 소리나 모양을 흉내 낸 말들이었지만 통신 공간에서의 의성어나 의태어들은 인간의 감정이나 정서를 표현한 형태들이 대부분을 이룬다. 이는 통신 환경이 면대면 의사소통 방식이 아닌 비대면의 의사소통을 취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문자로 표정이나 감정까지 표현하고자하는 이용자들의 심리가 충분히 반영되어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섯째, 통신언어에는 기호를 이용한 표기가 많이 나타난다. 함축적인 표현으로 통신에서 빠르게 의사를 교환해야 할 상황에서 특히 많이 이용하는 수단이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담당하는 시각 기호는 통신언어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이 되는데 주로 이용자들의 심리적 상태나 대상의 묘사, 그리고 언어적 표현까지도 기호화함으로써 통신 매체가 지니고 있는 의사소통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초기의 통신언어는 빠른 입력을 위해 단순히 타수를 줄이기 위해 줄여 쓰거나 소리 나는 대로 쓰기 시작했다. 그러나 최근의 통신언어들은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그 수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통신언어는 점점 통신 공간이 아닌 일상 언어생활에서 사용되어 의사소통에 장애를 일으키고 있다.
4. 통신 언어의 예
1) 소리나는 대로 적기의 예
통신 언어에서 소리나는 대로 적는 것은 전반적으로 자판의 타수를 줄이려는 경제성과 입력의 용이성을 고려한 것이다.
(1) 가타(같아), 구거(국어), 시러(싫어), 만차너(많잖아), 그래따(그랬다)
(2) 가치(같이), 고장난나바(고장났나 봐), 칭구(친구), 방가워(반가워)
(3) 열띠미(열심히), 싸랑해(사랑해), 내꼬(내 것)
(4) 지가(제가), 니 말마따나(네 말마따나),
(5) 짜식(자식), 짜쯩나(짜증나), 짤라 버려(잘라 버려)
2) 문장부호 남용의 예
(1) 뭐라고???, 허거거걱~~!!, 안뇽하세여~~~
(2) 오늘 늬가 나한테... 말항거... 글쎄...
3) 이모티콘 사용의 예
(1) ㅠㅠ(우는 표정), -_-;;(멋적어 하는 표정)
(2) >ㅁ<(놀라거나 화난 표정), -.,-(한심함을 나타내는 표정)
(3) +ㅇ+, +_+(놀라거나 황당한 표정)
4) 자모해체의 예
(1) ㄴ ㅏ ㅂ ㅣ(나비), ㄴ ㅐ가 ㄴ ㅓ에게(내가 너에게), 우ㄹi(우리)ㄴr는(나는)
(2) ㅅㅏㄹㅏㅇㅎㅐㅇㅛ(사랑해요), ㅇㅣㄹㅇㅛㅇㅣㄹㅇㅔㅁㅏㄴㄴㅏ(일요일에 만나)
(3) ㅎㅎㅎ(하하하), ㅋㅋㅋ(크크크), ㄹㄹㄹㄹ(라라라라)
(4) ㄱ ㅅ(감사), ㅊ ㅋ(축하), ㅂ ㅌ(부탁), ㅁ ㄹ(메롱)
5) 축약과 생략의 예
(1)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4.03.08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71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