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유아프로그램의 모형인 카미 드브리스(Kamii-Devries) 프로그램을 설명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 배경
2.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의 아동관
3.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 교육목표
4.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 교육 내용 및 방법
5.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 교수방법
6.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 교사와 부모의 역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 배경
2.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의 아동관
3.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 교육목표
4.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 교육 내용 및 방법
5.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 교수방법
6.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 교사와 부모의 역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과의 경험을 통해 발달하는 과정이므로 언어훈련에 대한 강조는 필요하다고 보지 않는다.
6.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 교사와 부모의 역할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에서 교사의 역할은 학습을 이끄는 환경과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것, 자료를 제공하고 활동을 제안하는 것, 또 순간순간 아동의 머리속에서 무엇이 진행되느냐를 평가하는 것, 지식의 종류에 따라 아동에게 반응해 주는 것, 그리고 아동이 자기의 생각을 확장하도록 돕는 것이다. 여기에서 교사뿐만 아니라 기타 교직원도 교육적 영향을 끼친다는 의미에서 포함시키고 있다.
이 교육과정에서는 부모의 역할 또한 강조하는데,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부모가 교육과정의 철학을 이해하도록 또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녀양육방법이 모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Ⅲ 결론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카미 드브리스의 교육과정은 다른 피아제식 교육과정과 많은 차이를 보여주는데 즉 이 프로그램은 교육적 원리로서 과정을 통한 학습과 아동 상호작용을 중요시하고,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전 인격적인 인간 육성을 위한 것이므로, 교육활동은 아동의 직접 경험에 기초해야한다고 말하고 있다. 결국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은 피아제의 이론에 기초하여 전통적인 아동발달 프로그램의 여러 활동들을 새롭게 해석, 활용하고 피아제 연구에 기초한 물리적 지식활동과 그룹게임을 부가하여 아동의 자발적 활동, 적극적 참여를 통해 논리적 사고와 사회정서적 발달을 도우려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이기숙(2004),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김춘경 외(2004), 유아교육개론, 양서원
6.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 교사와 부모의 역할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에서 교사의 역할은 학습을 이끄는 환경과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것, 자료를 제공하고 활동을 제안하는 것, 또 순간순간 아동의 머리속에서 무엇이 진행되느냐를 평가하는 것, 지식의 종류에 따라 아동에게 반응해 주는 것, 그리고 아동이 자기의 생각을 확장하도록 돕는 것이다. 여기에서 교사뿐만 아니라 기타 교직원도 교육적 영향을 끼친다는 의미에서 포함시키고 있다.
이 교육과정에서는 부모의 역할 또한 강조하는데,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부모가 교육과정의 철학을 이해하도록 또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녀양육방법이 모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Ⅲ 결론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카미 드브리스의 교육과정은 다른 피아제식 교육과정과 많은 차이를 보여주는데 즉 이 프로그램은 교육적 원리로서 과정을 통한 학습과 아동 상호작용을 중요시하고,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전 인격적인 인간 육성을 위한 것이므로, 교육활동은 아동의 직접 경험에 기초해야한다고 말하고 있다. 결국 카미 드브리스 프로그램은 피아제의 이론에 기초하여 전통적인 아동발달 프로그램의 여러 활동들을 새롭게 해석, 활용하고 피아제 연구에 기초한 물리적 지식활동과 그룹게임을 부가하여 아동의 자발적 활동, 적극적 참여를 통해 논리적 사고와 사회정서적 발달을 도우려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이기숙(2004),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김춘경 외(2004), 유아교육개론, 양서원
추천자료
영유아프로그램의 최근 동향 - 종일제 프로그램 확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프뢰벨 프로그램의 교육과정과 프뢰벨의 은물표 (형체, 면, 선,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몬테소리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 몬테소리 교구의 이해와 특징,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 생태유아교육의 기초, 생태유아교육의 ...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만 3세 유아의 교육 계획 및 활동의 실제 - 만3세 유아반 연간...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만 1세 (12~24개월)반 교육 계획안(만 1세 영아의 연간 계획안...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만 2세(24~36개월)반 교육계획 및 활동의 실제 - 만2세 영아의...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영유아기 중 한 단계의 발달특성에 따른 교육내용을 구성해 보...
영유아프로그램의 모형인 카미 드브리스(Kami-Dervies)프로그램을 설명하시오. 1. 이론적 배...
[영유아프로그램]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Bank Street Program)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A형)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A형)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