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itle
2. Object
3. Principle&Theory
-Peptidoglycan
-Gram positive&negative bacteria
-Gram staining (differential staining; 분별염색)
-여러 가지 염색방법
-도말표본 제작법(Smear preparation)
-현미경
4. Apparatus & Reagents, Procedure
5. Result
6. Discussion & Feeling
7. Reference
2. Object
3. Principle&Theory
-Peptidoglycan
-Gram positive&negative bacteria
-Gram staining (differential staining; 분별염색)
-여러 가지 염색방법
-도말표본 제작법(Smear preparation)
-현미경
4. Apparatus & Reagents, Procedure
5. Result
6. Discussion & Feeling
7. Reference
본문내용
후 20% Cupper sulfate 용액으로 세척한다. 여과지에 흡수시켜서 건조 후 검경하면 된다.
ⅴ. 도말표본 제작법(Smear preparation)
세균의 형태와 배열, 크기 등을 관찰하는데 있어 도말표본의 제작은 기본중의 기본이다. 세균의 형태학적 관찰은 세균의 생사와 관계없이 가능하지만 살아있는 세균의 현미경적 관찰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세균을 사멸, 고정시켜 염색한 후에 관찰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염색을 위한 도말표본의 준비를 위해서는 미생물체와 적당한 도말, 자연건조와 열고정 등의 기본적인 과정이 포함된다.
1. 도말(smear)
Slide glass에 도말을 하기 전 슬라이드 글라스의 청결이 중요하다. 특히 지방의 제거가 중요하다. 슬라이드 글라스를 알코올에 담구어 뒀다가 깨끗한 거즈(Gauze)로 닦아 사용하면 좋다. 슬라이드 글라스의 전면에 백금이로 물이나 균액을 도말해서 잘 퍼지면 탈지가 잘 된 것으로 간주한다. 탈지가 불충분하면 세균의 고정이 되지 않아 염색 시 흘러내려가 버린다. 도말은 가능하면 얇고, 둥글고, 편평하게 한다. 고체배지에서 자란 균(colony)을 도말할 때는 증류수를 약간만 풀어 얇게 혼합하여 도말한다. 미숙자의 잦은 실수는 고체배지에서 도말을 할 때에 세균을 너무 두껍게 도말하는 것이다.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균액 사용시에는 잘 흔들어서 혼합 후 멸균된 백금이로 1~2회 떠서 슬라이드 글라스에 원형으로 얇게 도말한다.
그림은 습윤표본 제작 순서이다.
좌측이 액체배지이고 우측이 고체배지이다.
화질이 안좋아서 잘 안보이는데,
액체배지부터하면 액체배지에서 자란 균액 1~2 loop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놓는다. 그 다음 1.5cm~2.0cm 되게 타원형으로 도말한다. 그리고 커버 글라스를 덮고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고체배지는 슬라이드 글라스에 물이나 식염수를 1~2방울 넣고 loop로 아주 작은 집락을 따서 얇게 도말한다음 커버글라스로 덮는 것이다.
도말표본 제작 순서이다.
위의 경우와 거의 같은데 도말 후에 실온에서 건조 한 후 분젠버너에서 건조, 고정 시키는게 다르다.
2. 건조(dry)
시료를 도말한 표본은 공기 중에 두어 자연건조 시키는 것이 원칙이다. 급히 서두를 경우는 도말한 면을 위로 하여 약한 불꽃 위에서 표본을 좌우로 흔들면서 건조시킨다.
3. 고정(fixation)
시료를 도말한 면을 위로하여 약한 불꽃 중에서 3회 정도 천천히 통과시켜 가면, 균체는 그 원형질 성분이 고체화함에 따라 글라스 면에 고정된다. 이 조작은 다음 과정에 물로 세척 할 때 균체가 씻겨 내려가는 것을 막는다. 단 염색을 할 경우는 일반적으로 화염 고정법을 사용하나, 특별한 경우는 메탄올, 에탄올, formalin, 승홍수, osmic acid 등으로 고정하는 수도 있다.
4. 염색(staining)
시료 균체액을 도말한 한 부분이 전부 덮일 정도로 염색액을 1~3방을 떨어뜨려 1~2분간 방치하고 표본을 비스듬히 하여 남은 염색액을 흘려 버린다.
5. 물 세척(washing)
압력을 약하게 한 수돗물 또는 물 세척장치의 흐르는 물을 사용하나, 이 흐르는 물이 시료를 칠한 면에 직접 닿지 않고 뒷면에 닿게 하여 세척하고, 세척한 물이 무색이 될 때까지 천천히 씻는다. 이 때 표본의 앞뒤가 바뀌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슬라이드 글라스상에 시료를 고정시킨 부분에 커버글라스를 포개고 여분의 물을 여과지로 흡수시킨다. 슬라이드 글라스와 커버글라스 사이에 물이 없으면 관찰하기 어려우므로 건조하면 물을 넣도록 한다.
6. 검경(microscopic finding)
먼저 저배율렌즈를 사용하여 표본의 목적하는 부분을 시야의 중앙에 두고, 유침 렌즈를 사용하여 검경한다. 검경조작은 일반방법과 같다. 시야에 균이 포개 있거나 무늬가 있으면 좋지 않다.
ⅵ. 현미경
미생물들은 크기가 작아 육안으로 관찰이 불가하다. 그래서 현미경을 사용한다. 현미경은 광선의 종류와 집광기 시스템 등의 차이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하지만 우리는 그람염색을 함으로 써 광학현미경만을 쓰게 될 것이다.
-광학현미경의 구조와 명칭은 다음과 같다.
1. 조동나사 9. 대물렌즈 교환기
2. 미동나사 10. 대안렌즈
3. 경주 11. 제물대 끼우개
4. 전원스위치 및 광량 조절기 12. 재물대 이동나사
5. 경각 13. 재물대
6. 집광기 나사
7. 조리개 조절기
8. 대물렌즈
-현미경 조작법
*저배율로 관찰시
1. 오른손으로 경주를 잡고 왼손으로 경각을 받친 상태로 현미경을 이동시켜 실험테이블에 놓는다. 현미경 이동시 한 대씩 들고 이동 할 것. 실험테이블은 수평이며 진동이 없어야 한다.
2. 전원을 연결한 후 광원을 켜고 빛의 최대 밝기의 3/4 정도로 조절한다.
3. 시료가 있는 슬라이드 글라스를 제물대에 고정시키고, 제물대 이동나사를 조절하여 시료가 있는 부위가 집광기로부터 빛이 들어오는 부위에 오도록 조절한다.
4. 집광기를 위로 올려 제물대와 조금 떨어진 위치에 놓고 조리개를 조절하여 빛의 양을 중간 정도로 조절한다.
5. 저배율 대물렌즈를 시료위에 맞춰 놓는다. 대물렌즈가 대물렌즈교환기 중앙의 잠금 장치에 있는지 확인 한다.
6. 옆에서 보면서 조동나사를 이용하여 대물렌즈와 프레파라트를 가깝게 위치하도록 한 다음 시료와 대물렌즈를 서서히 떨어뜨리면서 대략적인 상을 맞춘다.
7. 미동나사로 정확하게 초점을 맞춘다.
8. 최상의 이미지를 얻지 못했을 때는 조리개와 집광기를 조절하여 최상의 조건을 만든다. 일반적으로 저배율에서는 집광기를 약간 내리고 조리개를 줄여서 통과하는 빛의 양이 적게 하여 관찰한다.
9. 최상의 이미지를 얻은 후 제물대 이동나사를 조절하여 최상의 관찰물을 찾고, 최상의 관찰물을 찾은 후에는 미동 나사를 상하로 움직여 입체적으로 관찰한다. 대안렌즈가 쌍안인 경우에는 두 대안렌즈의 간격을 관찰자의 눈 간격과 같게 조절하고, diopter 조절나사를 한쪽식 조절하여 관찰자의 시력에 가장 적절한 상을 얻도록 하여야 한다.
*고배율로 관찰시
1. 대물렌즈를 고배율로 돌려놓는다.
2. 집광기와 조리개를 조절한다. 고배율일수록 집광기를 위로 올리고 조리개는 열어
ⅴ. 도말표본 제작법(Smear preparation)
세균의 형태와 배열, 크기 등을 관찰하는데 있어 도말표본의 제작은 기본중의 기본이다. 세균의 형태학적 관찰은 세균의 생사와 관계없이 가능하지만 살아있는 세균의 현미경적 관찰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세균을 사멸, 고정시켜 염색한 후에 관찰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염색을 위한 도말표본의 준비를 위해서는 미생물체와 적당한 도말, 자연건조와 열고정 등의 기본적인 과정이 포함된다.
1. 도말(smear)
Slide glass에 도말을 하기 전 슬라이드 글라스의 청결이 중요하다. 특히 지방의 제거가 중요하다. 슬라이드 글라스를 알코올에 담구어 뒀다가 깨끗한 거즈(Gauze)로 닦아 사용하면 좋다. 슬라이드 글라스의 전면에 백금이로 물이나 균액을 도말해서 잘 퍼지면 탈지가 잘 된 것으로 간주한다. 탈지가 불충분하면 세균의 고정이 되지 않아 염색 시 흘러내려가 버린다. 도말은 가능하면 얇고, 둥글고, 편평하게 한다. 고체배지에서 자란 균(colony)을 도말할 때는 증류수를 약간만 풀어 얇게 혼합하여 도말한다. 미숙자의 잦은 실수는 고체배지에서 도말을 할 때에 세균을 너무 두껍게 도말하는 것이다.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균액 사용시에는 잘 흔들어서 혼합 후 멸균된 백금이로 1~2회 떠서 슬라이드 글라스에 원형으로 얇게 도말한다.
그림은 습윤표본 제작 순서이다.
좌측이 액체배지이고 우측이 고체배지이다.
화질이 안좋아서 잘 안보이는데,
액체배지부터하면 액체배지에서 자란 균액 1~2 loop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놓는다. 그 다음 1.5cm~2.0cm 되게 타원형으로 도말한다. 그리고 커버 글라스를 덮고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고체배지는 슬라이드 글라스에 물이나 식염수를 1~2방울 넣고 loop로 아주 작은 집락을 따서 얇게 도말한다음 커버글라스로 덮는 것이다.
도말표본 제작 순서이다.
위의 경우와 거의 같은데 도말 후에 실온에서 건조 한 후 분젠버너에서 건조, 고정 시키는게 다르다.
2. 건조(dry)
시료를 도말한 표본은 공기 중에 두어 자연건조 시키는 것이 원칙이다. 급히 서두를 경우는 도말한 면을 위로 하여 약한 불꽃 위에서 표본을 좌우로 흔들면서 건조시킨다.
3. 고정(fixation)
시료를 도말한 면을 위로하여 약한 불꽃 중에서 3회 정도 천천히 통과시켜 가면, 균체는 그 원형질 성분이 고체화함에 따라 글라스 면에 고정된다. 이 조작은 다음 과정에 물로 세척 할 때 균체가 씻겨 내려가는 것을 막는다. 단 염색을 할 경우는 일반적으로 화염 고정법을 사용하나, 특별한 경우는 메탄올, 에탄올, formalin, 승홍수, osmic acid 등으로 고정하는 수도 있다.
4. 염색(staining)
시료 균체액을 도말한 한 부분이 전부 덮일 정도로 염색액을 1~3방을 떨어뜨려 1~2분간 방치하고 표본을 비스듬히 하여 남은 염색액을 흘려 버린다.
5. 물 세척(washing)
압력을 약하게 한 수돗물 또는 물 세척장치의 흐르는 물을 사용하나, 이 흐르는 물이 시료를 칠한 면에 직접 닿지 않고 뒷면에 닿게 하여 세척하고, 세척한 물이 무색이 될 때까지 천천히 씻는다. 이 때 표본의 앞뒤가 바뀌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슬라이드 글라스상에 시료를 고정시킨 부분에 커버글라스를 포개고 여분의 물을 여과지로 흡수시킨다. 슬라이드 글라스와 커버글라스 사이에 물이 없으면 관찰하기 어려우므로 건조하면 물을 넣도록 한다.
6. 검경(microscopic finding)
먼저 저배율렌즈를 사용하여 표본의 목적하는 부분을 시야의 중앙에 두고, 유침 렌즈를 사용하여 검경한다. 검경조작은 일반방법과 같다. 시야에 균이 포개 있거나 무늬가 있으면 좋지 않다.
ⅵ. 현미경
미생물들은 크기가 작아 육안으로 관찰이 불가하다. 그래서 현미경을 사용한다. 현미경은 광선의 종류와 집광기 시스템 등의 차이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하지만 우리는 그람염색을 함으로 써 광학현미경만을 쓰게 될 것이다.
-광학현미경의 구조와 명칭은 다음과 같다.
1. 조동나사 9. 대물렌즈 교환기
2. 미동나사 10. 대안렌즈
3. 경주 11. 제물대 끼우개
4. 전원스위치 및 광량 조절기 12. 재물대 이동나사
5. 경각 13. 재물대
6. 집광기 나사
7. 조리개 조절기
8. 대물렌즈
-현미경 조작법
*저배율로 관찰시
1. 오른손으로 경주를 잡고 왼손으로 경각을 받친 상태로 현미경을 이동시켜 실험테이블에 놓는다. 현미경 이동시 한 대씩 들고 이동 할 것. 실험테이블은 수평이며 진동이 없어야 한다.
2. 전원을 연결한 후 광원을 켜고 빛의 최대 밝기의 3/4 정도로 조절한다.
3. 시료가 있는 슬라이드 글라스를 제물대에 고정시키고, 제물대 이동나사를 조절하여 시료가 있는 부위가 집광기로부터 빛이 들어오는 부위에 오도록 조절한다.
4. 집광기를 위로 올려 제물대와 조금 떨어진 위치에 놓고 조리개를 조절하여 빛의 양을 중간 정도로 조절한다.
5. 저배율 대물렌즈를 시료위에 맞춰 놓는다. 대물렌즈가 대물렌즈교환기 중앙의 잠금 장치에 있는지 확인 한다.
6. 옆에서 보면서 조동나사를 이용하여 대물렌즈와 프레파라트를 가깝게 위치하도록 한 다음 시료와 대물렌즈를 서서히 떨어뜨리면서 대략적인 상을 맞춘다.
7. 미동나사로 정확하게 초점을 맞춘다.
8. 최상의 이미지를 얻지 못했을 때는 조리개와 집광기를 조절하여 최상의 조건을 만든다. 일반적으로 저배율에서는 집광기를 약간 내리고 조리개를 줄여서 통과하는 빛의 양이 적게 하여 관찰한다.
9. 최상의 이미지를 얻은 후 제물대 이동나사를 조절하여 최상의 관찰물을 찾고, 최상의 관찰물을 찾은 후에는 미동 나사를 상하로 움직여 입체적으로 관찰한다. 대안렌즈가 쌍안인 경우에는 두 대안렌즈의 간격을 관찰자의 눈 간격과 같게 조절하고, diopter 조절나사를 한쪽식 조절하여 관찰자의 시력에 가장 적절한 상을 얻도록 하여야 한다.
*고배율로 관찰시
1. 대물렌즈를 고배율로 돌려놓는다.
2. 집광기와 조리개를 조절한다. 고배율일수록 집광기를 위로 올리고 조리개는 열어
추천자료
[섬유][텐셀][텐셀섬유]섬유의 분류, 섬유의 특성과 신소재 섬유의 등장 및 텐셀(텐셀섬유)의...
세포의 구조, 원핵생물과 진핵생물 (구균,간균 등), 미생물의 관찰(현미경), 미생물염색
[미생물학 실험]미생물의 현미경 관찰 - 단순, 그람, 매질 염색법에 의한 현미경 관찰 -
[공예학습][공예활동][공예지도]공예학습(공예활동지도)의 지도원리, 공예학습(공예활동지도)...
현미경에 대한 설명과 단순염색으로 미생물 관찰+그람염색
생활 속의 과학 연구방법, 생활 속의 과학 사례1(숯불), 생활 속의 과학 사례2(지진), 생활 ...
10.인디고 (쪽빛 염료 합성 및 염색(Indigo Dye 및 Cotton Dying))
[일반생물학] Gram [그람]염색에 의한 미생물의 동정
화학공학 기초 실험 - (결과) 염색 실험
[유기소재] 염색실험 - 분산염료를 이용한 Polyester섬유염색
아동미술 표현기법 (스크래치, 면봉그리기, 번지기, 찍기, 염색, 마블링, 프로타주, 그림그리...
일반생물학 실험 - 미생물의 배양 및 관찰과 Gram 염색
미생물 세포의 관찰 - 그람염색 : 광학현미경의 사용방법을 익히고 미생물 세포를 그람염색을...
[화학실험] 천연색소의 추출 예비 및 결과 보고서 : 홍차와 치자로부터 색깔을 나타내는 화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