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초기 스포츠심리학의 뿌리(1890~1920)
1. 스포츠심리학 최초의 실험
2. Triplett 이외의 연구
Ⅱ. Griffith의 업적(1920~1940)
Ⅲ. Griffith에서 현대 스포츠심리학으로
1. 1940년대에서 1950년대
2. 1960년대
3. 1970년대: 스포츠 심리학의 비약적 발전
4. 1980년대 이후의 스포츠 심리학
1. 스포츠심리학 최초의 실험
2. Triplett 이외의 연구
Ⅱ. Griffith의 업적(1920~1940)
Ⅲ. Griffith에서 현대 스포츠심리학으로
1. 1940년대에서 1950년대
2. 1960년대
3. 1970년대: 스포츠 심리학의 비약적 발전
4. 1980년대 이후의 스포츠 심리학
본문내용
수준 높은 논문을 발표했고, 스포츠 심리학 연구가 심
리학 이외에 다른 영역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여전히
1960년대에도 심리학자는 스포츠 심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런 연구
에는 사격에서 팀 경쟁, 성공과 집단에 대한 적응에 관한 Myers(1962)의 실험,
Roberts와 Sutton-Smith(1962)의 어린이의 훈련과 게임 몰입에 대한 연구, 그리고
Sutton-Smith등(1963)의 성인의 게임 몰입에 관한 조사 등이 있다.
그 이후로 스포츠 심리학은 1960년대 후반기에 독립된 학문으로 출발했다. 1970
년에 이르기까지 스포츠 심리학 연구는 주로 동구권의 사회주의 국가에서 이루어졌
다 주로우동학습 심폐 적합성 근력 발달, 지구력 등과 같은 주제가 다루어져 왔
다. 이 시기에는 심리학 지식과 원리를 스포츠 분야에 적용하는 정도가 매우 부진했
다. Straub(1980)은 이에 관련해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마음은 스포츠 과학의 최후의 전선이다. 그동안 선수의 성적을 올리기 위해서 라론
모든 체계가 활용되었다. 근육 수축의 생리학, 영양학, 운동기능학, 인간 공학, 장비
의 설계, 선수혈액 표본조사, 선수의 바이오리듬이 기록되었다. 그렇지만 오직 정신
만이 여기에서 제외가 되었다.
<3> 1970년대: 스포츠 심리학의 비약적 발전
1970년대는 스포츠 심리학 발달에서 혁명적 시기였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대학에
서 체육학과 교수 중에서 스포츠 심리학자는 열세였다. 대부분의 체육교육과 교수
는 생리학자, 생물역학 및 동작학습 연구자였다. 그러나 1970년대 초반부터 스포츠
심리학의 경향이 서서히 바뀌기 시작했다. 체육교사와 프로 팀에 소속된 스포츠 지
도자와 선수의 노력으로 스포츠 수행에 관련된 폭넓은 주제가 스포츠 심리학 연구
와 이론의 표적이 되었다. 예를 들면 리더십, 선수의 성격과 동기, 스포츠 수행의 결
정요인, 스포츠 수행 향상을 위한 심리학적 훈련프로그램, 공격성, 팀 응집력 등이
연구 주제로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1970년대 스포츠 심리학의 비약적 발전은 두 가지 증거에 의해서 확인된다.
첫해, 스포츠 심리학 전문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과 "Journal of Sport psychology"(1979)가 각각 창간되었다. 이 두 학술지
덕분에 스포츠 심리학 연구의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결과물이 발표될 수 있었다. 그
이전에는 스포츠 심리학의 일부만을 다루었던 논문집 의존해 왔다.
둘째, 1970년대 스포츠 심리학의 획기적 발전은 스포츠의 심리학적 측면을 다룬
서적의 양적 증가를 보면 알 수 있다. 1960년대에는 스포츠의 심리학적 측면을 다룬
책이 전혀 없었으나 1970년대 들어서 다양한 제목의 책이 출판되었다.
또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심리학자 Goldstein이 “Sports, Games and PIay”
(1979)라는 제목으로 스포츠의 심리학적 측면에 관한 책을 편집했다는 것이다.
1970년대 초반 또는 중반기 이후로 북미스포츠 심리학회(NASPAPA)의 연차학술대
회 및 캐나다 심리동작과 스포츠 심리학 심포지엄(Canadian Psychomotor Learning and Sport Psychology Symposium)논문 발표집 출간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일부 심리학자의 연구까지 고려하면 1970년대는 스포츠 심리학의 위상이 매우 높아진 시기다.
<4>1980년대 이후의 스포츠 심리학
1970년대 이후에도 스포츠 심리학의 발전은 지속되었다. 미국건강 체육 레크
리에이션학회(AAHPERD)에 '스포츠 심리 학교'가 설립되었고, 미국심리학회의
P. 낀onitorA1982년 13권 9호)에서는 스포츠 심리학이 표지 기사로 다루어졌다.
스포츠 심리학에 매우 고무적인 현상은 정치가, 관중 그리고 코치와 같은 일반인이
선수를 돕는 데 심리학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한 것이다.
1970년대 러시아와 동유럽 국가에서 올림픽 선수의 성적을 높이기 위해서 심리
학자들이 활동한다는 신문기사가 증가하면서부터 이런 경향이 강해졌다. 선수 간의
신체 생리적 능력의 차이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이 증명되면서, 경기에서의
승패에 심리적 요인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를 얻게 되었다. 그 결과 코치는 정신과
의사와 심리학자에게 관심을 보이게 되었고, 선수 개인과 팀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
해서 이들의 구체적인 도움을 얻게 되었다.
일반대중은 스포츠와 승자를 원하고 코치는 그런 욕구를 충족시킬 책임이 있다.
심리학은 스포츠에서 성공을 얻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잠재적 무기이므로 스포
츠 심리학의 사회적 실무적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스포츠 심리학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대학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고, 좀 더 많은 스포츠 심리학자가 선수의 성적을
극대화하도록 코치에게 자문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기업이나 회사가
선수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스포츠 심리학 연구도 지원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는
스포츠를 사업으로 인식하고 심리학을 스포츠 마케팅에 적용하는 시도가 시작되었
다. 그러므로 선수의 성적이나 수행에 관한 심리학이 스포츠 심리학의 전부는 아니
다. 체육교육자나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는 다양한 스포츠에서 작용하는 심리학적 변
수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스포츠 심리학의 가장 가능성 있는 부분은 스포츠의
다양한 참가자와 고객에 있다.
스포츠 심리학은 스포츠 활동 영역에서 인간행동의 심리학적 문제를 다루는 새로
운 분야다. 스포츠 심리학의 초기 연구에서는 팀이나 선수 개인의 수행에 초점을 맞
춘 실험사회심리학의 개념과 방법이 중심적으로 적용되었다. 최근에는 스포츠나 체
육과학은 말할 것도 없고 심리학, 건강과학 등의 관련 분야에서 스포츠 수행뿐만 아
니라 경기나 스포츠 참여에 관련되는 개인 및 사회적 문제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중반 이후에 스포츠 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1989년에는 한국체육학회 산하에 한국스포츠심리학회가 창설되면서 국내 스포츠 심리학의 학문적 체계가 자리 잡아 가고 있다.
리학 이외에 다른 영역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여전히
1960년대에도 심리학자는 스포츠 심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런 연구
에는 사격에서 팀 경쟁, 성공과 집단에 대한 적응에 관한 Myers(1962)의 실험,
Roberts와 Sutton-Smith(1962)의 어린이의 훈련과 게임 몰입에 대한 연구, 그리고
Sutton-Smith등(1963)의 성인의 게임 몰입에 관한 조사 등이 있다.
그 이후로 스포츠 심리학은 1960년대 후반기에 독립된 학문으로 출발했다. 1970
년에 이르기까지 스포츠 심리학 연구는 주로 동구권의 사회주의 국가에서 이루어졌
다 주로우동학습 심폐 적합성 근력 발달, 지구력 등과 같은 주제가 다루어져 왔
다. 이 시기에는 심리학 지식과 원리를 스포츠 분야에 적용하는 정도가 매우 부진했
다. Straub(1980)은 이에 관련해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마음은 스포츠 과학의 최후의 전선이다. 그동안 선수의 성적을 올리기 위해서 라론
모든 체계가 활용되었다. 근육 수축의 생리학, 영양학, 운동기능학, 인간 공학, 장비
의 설계, 선수혈액 표본조사, 선수의 바이오리듬이 기록되었다. 그렇지만 오직 정신
만이 여기에서 제외가 되었다.
<3> 1970년대: 스포츠 심리학의 비약적 발전
1970년대는 스포츠 심리학 발달에서 혁명적 시기였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대학에
서 체육학과 교수 중에서 스포츠 심리학자는 열세였다. 대부분의 체육교육과 교수
는 생리학자, 생물역학 및 동작학습 연구자였다. 그러나 1970년대 초반부터 스포츠
심리학의 경향이 서서히 바뀌기 시작했다. 체육교사와 프로 팀에 소속된 스포츠 지
도자와 선수의 노력으로 스포츠 수행에 관련된 폭넓은 주제가 스포츠 심리학 연구
와 이론의 표적이 되었다. 예를 들면 리더십, 선수의 성격과 동기, 스포츠 수행의 결
정요인, 스포츠 수행 향상을 위한 심리학적 훈련프로그램, 공격성, 팀 응집력 등이
연구 주제로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1970년대 스포츠 심리학의 비약적 발전은 두 가지 증거에 의해서 확인된다.
첫해, 스포츠 심리학 전문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과 "Journal of Sport psychology"(1979)가 각각 창간되었다. 이 두 학술지
덕분에 스포츠 심리학 연구의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결과물이 발표될 수 있었다. 그
이전에는 스포츠 심리학의 일부만을 다루었던 논문집 의존해 왔다.
둘째, 1970년대 스포츠 심리학의 획기적 발전은 스포츠의 심리학적 측면을 다룬
서적의 양적 증가를 보면 알 수 있다. 1960년대에는 스포츠의 심리학적 측면을 다룬
책이 전혀 없었으나 1970년대 들어서 다양한 제목의 책이 출판되었다.
또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심리학자 Goldstein이 “Sports, Games and PIay”
(1979)라는 제목으로 스포츠의 심리학적 측면에 관한 책을 편집했다는 것이다.
1970년대 초반 또는 중반기 이후로 북미스포츠 심리학회(NASPAPA)의 연차학술대
회 및 캐나다 심리동작과 스포츠 심리학 심포지엄(Canadian Psychomotor Learning and Sport Psychology Symposium)논문 발표집 출간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일부 심리학자의 연구까지 고려하면 1970년대는 스포츠 심리학의 위상이 매우 높아진 시기다.
<4>1980년대 이후의 스포츠 심리학
1970년대 이후에도 스포츠 심리학의 발전은 지속되었다. 미국건강 체육 레크
리에이션학회(AAHPERD)에 '스포츠 심리 학교'가 설립되었고, 미국심리학회의
P. 낀onitorA1982년 13권 9호)에서는 스포츠 심리학이 표지 기사로 다루어졌다.
스포츠 심리학에 매우 고무적인 현상은 정치가, 관중 그리고 코치와 같은 일반인이
선수를 돕는 데 심리학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한 것이다.
1970년대 러시아와 동유럽 국가에서 올림픽 선수의 성적을 높이기 위해서 심리
학자들이 활동한다는 신문기사가 증가하면서부터 이런 경향이 강해졌다. 선수 간의
신체 생리적 능력의 차이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이 증명되면서, 경기에서의
승패에 심리적 요인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를 얻게 되었다. 그 결과 코치는 정신과
의사와 심리학자에게 관심을 보이게 되었고, 선수 개인과 팀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
해서 이들의 구체적인 도움을 얻게 되었다.
일반대중은 스포츠와 승자를 원하고 코치는 그런 욕구를 충족시킬 책임이 있다.
심리학은 스포츠에서 성공을 얻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잠재적 무기이므로 스포
츠 심리학의 사회적 실무적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스포츠 심리학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대학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고, 좀 더 많은 스포츠 심리학자가 선수의 성적을
극대화하도록 코치에게 자문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기업이나 회사가
선수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스포츠 심리학 연구도 지원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는
스포츠를 사업으로 인식하고 심리학을 스포츠 마케팅에 적용하는 시도가 시작되었
다. 그러므로 선수의 성적이나 수행에 관한 심리학이 스포츠 심리학의 전부는 아니
다. 체육교육자나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는 다양한 스포츠에서 작용하는 심리학적 변
수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스포츠 심리학의 가장 가능성 있는 부분은 스포츠의
다양한 참가자와 고객에 있다.
스포츠 심리학은 스포츠 활동 영역에서 인간행동의 심리학적 문제를 다루는 새로
운 분야다. 스포츠 심리학의 초기 연구에서는 팀이나 선수 개인의 수행에 초점을 맞
춘 실험사회심리학의 개념과 방법이 중심적으로 적용되었다. 최근에는 스포츠나 체
육과학은 말할 것도 없고 심리학, 건강과학 등의 관련 분야에서 스포츠 수행뿐만 아
니라 경기나 스포츠 참여에 관련되는 개인 및 사회적 문제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중반 이후에 스포츠 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1989년에는 한국체육학회 산하에 한국스포츠심리학회가 창설되면서 국내 스포츠 심리학의 학문적 체계가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추천자료
- 21세기 한국사회의 문제점 진단과 과제 그리고 개선방안
- [사회복지관]사회복지관의 역할, 기능과 사회복지관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분석(사회복지관 ...
- [한국 정당][정당]한국 정당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민주주의 공고화와 그 지표로서의 ...
- [비정규직근로][비정규직노동][비정규직근로 사례][비정규직노동 사례]비정규직근로(비정규직...
- [체벌][학생체벌][학생인권][체벌 원인][체벌 관점][체벌 문제점][체벌 당면 과제][체벌 개선...
- [의료급여제도 대상자][진료비부담][의료급여제도 문제점][의료급여제도 과제]의료급여제도의...
- 행정조직체계의 의의, 행정조직체계의 특성과 개혁방향, 행정조직체계와 정부조직, 행정조직...
-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의 정의와 종류,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
- [주택금융][주택금융의 문제점][주택금융의 개선방안][주택금융의 활성화과제]주택금융의 특...
- [배식, 학교급식 배식, 학교급식 배식 사례, 배식 문제점, 배식 개선방안]배식(학교급식 배식...
- [청소년 문화과제]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또는 관심 갖는 청소년문화 현상에 대하여 조사하고...
- 2014년 2학기 한국정부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공직자 윤리의 실태 및 문제점, 개선방안)
-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태도의 개선방안 (장애인 편견, 인식, 사회적 인식, 장애인 차...
- 공공부조의 개념을 서술하고, 과제의 목차대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주요내용과 문제점, 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