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터넷 쇼핑몰의 정의
1)인터넷 쇼핑몰의 정의
2)분류
(1) 상품 판매방식에 따른 분류
(2) 판매형태에 따른 분류 및 특징
3) 3개 사이트 선정
2. 사이트의 특징 및 채널(web,app)의 특징
1)11번가
(1) 11번가 소개
(ㄱ)오픈마켓 & 11번가
(ㄴ)11번가의 차별화를 통한 성공 전략
(ㄷ)모바일 현황
(2) 사이트가 제공하는 기능(Web/APP)
ㄱ) Mobile App
A) 11번가
A)11번가 도서
ㄱ) Mobile
2. e-mart 분석
1) 이마트 개요
2) 이마트 개요이마트 특화 서비스
3)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3) 이마트의 모바일 웹
3)Amazon
1)사이트 소개
2)기능
(1)Kindle
2) 장점의 극대화
3) 타사 앱의 장점 접목(홈플러스)
2. 모바일 환경의 특징에 기반한 전략
(1)모바일 기기의 특징
(1)모바일 기기의 특징에 기반한 E-mart Application 개발 전략
1)인터넷 쇼핑몰의 정의
2)분류
(1) 상품 판매방식에 따른 분류
(2) 판매형태에 따른 분류 및 특징
3) 3개 사이트 선정
2. 사이트의 특징 및 채널(web,app)의 특징
1)11번가
(1) 11번가 소개
(ㄱ)오픈마켓 & 11번가
(ㄴ)11번가의 차별화를 통한 성공 전략
(ㄷ)모바일 현황
(2) 사이트가 제공하는 기능(Web/APP)
ㄱ) Mobile App
A) 11번가
A)11번가 도서
ㄱ) Mobile
2. e-mart 분석
1) 이마트 개요
2) 이마트 개요이마트 특화 서비스
3)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3) 이마트의 모바일 웹
3)Amazon
1)사이트 소개
2)기능
(1)Kindle
2) 장점의 극대화
3) 타사 앱의 장점 접목(홈플러스)
2. 모바일 환경의 특징에 기반한 전략
(1)모바일 기기의 특징
(1)모바일 기기의 특징에 기반한 E-mart Application 개발 전략
본문내용
연장
기존매장의보완
전문점
직접
직접
직접
·Virtual Vineyards
·미샤
포도주 전문점
화장품 전문점
전문중개
간접
직접
간접
·피어포드
1800-플라우어스
가상기업
3) 3개 사이트 선정
현재의 모바일 전자 상거래는 도입시기에 해당하고, 쇼핑몰의 형태가 점점 더 전 후방을 통합하는 방식(오프라인으로 확장 및 AS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 비즈니스 모델이 통합되는 방향(PB제품 판매, 중개가 통합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현 모바일 상거래의 As-is를 바라보았을 때, 다양한 형태의 쇼핑몰의 분석을 통해서 통합적인 Implication을 제시하는 것이 이 과제의 방향과 맞다고 생각하여, 다양한 형태의 쇼핑몰 3가지를 선택하였다.
우선 오프라인 마켓에 중점을 두고 있는 이마트와 온라인 매장에 중점을 둔 11번가, 그리고 기존 인프라 및 컨텐츠의 장점을 기반으로 상품군을 수평적으로 확장하고 있는 아마존을 선택하여 각각의 전략 및 향후 청사진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2 사이트의 특징 및 채널(web,app)의 특징
2)11번가
(1) 11번가 소개
(ㄱ)오픈마켓 & 11번가
오픈마켓이란 다수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온라인상에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적 가상시장을 의미하며, 인터넷 기반의 인터넷 오픈마켓이 시장거래의 비효율성을 최소화하고 자원분배의 효율성을 최대화 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Bakos, 1988
.
오픈마켓은 물품의 제조업체 혹은 유통업체가 운영하는 종합형 인터넷 쇼핑몰과는 다른 형태와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 종합쇼핑몰의 경우는 상품 카테고리마다 담당 상품기획자(MD)가 입점업체와 접촉하여 업체 간 수수료를 협의하고, 업체의 상품등록
을 조율하여 판매에 대한 책임 등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는 모든 과정에 관여한다. 그러나 인터넷 오픈마켓의 경우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물건의 매매가 이루어 질 수 있는 거래의 장과 시스템을 제공할 뿐, 오픈마켓 운영자는 누가 어떤 상품을 등록하고 어떤 가격에 판매하는지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는다(이형규정준우, 2005).
11번가는 국내 3번째 규모의 오픈마켓 회사이다. 11번가’는 런칭시점부터 기존의 오픈마켓들과 차별화하여 포지셔닝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오픈마켓으로는 다소 파격적으로 전지현을 앞세워 ‘하이 앤드(High-end)’급 명품 청바지 ‘트루릴리전 지아니’ 마케팅을 전개하여 ‘고급스러운 오픈마켓’ 이미지를 주려하였으며 ‘채핑’,‘즐거운 쇼핑’ 등 소비자들의 쇼핑몰 참여를 적극 유도하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들을 내세워 판매자 중심의 기존 오픈마켓들과는 달리 소비자 중심의 오픈마켓으로 차별화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2012년 상반기 온라인쇼핑 주요 이슈 및 하반기 전망 - 요약
11번가의 경우 기본적인 운영시스템은 기존 오픈마켓의 형태를 따르고 있으나 외형적으로 추구하는 쇼핑몰의 형태는 고정적 개념의 오픈마켓이 아닌 일반 대형 종합쇼핑몰,소규모 전문쇼핑몰 그리고 오픈마켓의 장점만을 혼합한 새로운 형태의 ‘하이브리드 쇼핑몰’인 것이다.
(ㄴ)11번가의 차별화를 통한 성공 전략
. ‘
가. 위조품 보상제 등 소비자 보호 탁월
‘위조품 110% 보상제’를 시행 : 구매자가 11번가에서 구매한 제품이 위조품으로 의심되면 11번가의 협력 브랜드 제품인 경우 ‘위조품 110% 보상제’ 페이지를 통해 신고하면 된다. 11번가가 상표권자에 위조품 여부를 감정 요청한 후 위조품으로 판명되면 결제대금 전액을 환불받을 수 있다. 총 70여 개의 국내외 브랜드다. 11번가는 향후 위조품 감정 협력 브랜드를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11번가를 통해 위조품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구매자가 직접 특허청, 검찰, 경찰, 세관에 위조품 신고를 한 후 위조품으로 확인 되면 110%를 보상받을 수 있다.
나. 판매자 지원 통해 경쟁력 강화
판매자 지원센터 내 대규모 교육시설에서는 각종 교육 프로그램 운영, 포토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독립형 스튜디오 이용, 고급 카메라 장비·메이크업 및 피팅룸 등 부대시설 무료 대여, 세미나룸 운영, 포토 촬영 시 전문 포토그래퍼의 1대 1 맞춤지도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 11번가에서는 판매자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마케팅, 법무, 회계 등)을 실시하고 있다. 상담센터에서는 세무 관련 전화상담과 전문 세무 관련 기관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했다. 지난 8월 말 기준으로 동대문과 보라매의 판매자 지원센터를 이용한 판매자 수는 각각 1만5000명과 1600명에 달할 정도로 판매자들의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다. 유망 신인 디자이너 제품 단독 런칭
11번가에서는 기존의 브랜드 제품은 물? 디자이너 제품과 기존 유명 브랜드와의 전략적인 상품개발을 통해 11번가에서 단독 판매하는 전략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라.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 : 포인트 더블 보장제, 지하철 비방광고 이슈 등과 같이 기존 업계에게 공격적인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으며, 요즘 G마켓, 옥션 인수에 대하여 애국심 마케팅을 실시함
∴ 온라인 쇼핑을 하면서 다른 사람과 쇼핑 화면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채핑(chat +shopping)’ 서비스를 업계 최초로 구현한 것도 차별화를 부각시키기 위한 노력의 하나다. ∴ SK텔레콤이라는 대기업 브랜드가 가져다주는 공신력과 브랜드 가치 등도 긍정적이다.
∴ 특히 SK텔레콤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경험과 풍부한 자금, 싸이월드(2200만 명), 네이트온(2000만 명), OK캐쉬백(2600만 명) 등 기존 서비스의 가입자도 든든한 배경이다
(ㄷ)모바일 현황
다음의 기사에서 볼 수 있듯이 11번가는 외부적 요인(LTE환경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과 결제수단의 안정화를 통한 휴대폰 결제의 불편함으로 해소하는 전략과 11번가의 강점인 T멤버쉽, OK 캐쉬백 연계가 모바일 플랫폼과의 시너지를 발휘하는 방향으로 앱을 개발하여 최근 설립이후 최대의 실적을 거두었다.
모바일에서 주로 거래되는 품목은 생수, 라면, 기저귀 등 생필품이 중심이었지만 최근에는 패션, 디지털, 레저용품 등으로 확장되고 있다. 100만원 이상의 고가품
기존매장의보완
전문점
직접
직접
직접
·Virtual Vineyards
·미샤
포도주 전문점
화장품 전문점
전문중개
간접
직접
간접
·피어포드
1800-플라우어스
가상기업
3) 3개 사이트 선정
현재의 모바일 전자 상거래는 도입시기에 해당하고, 쇼핑몰의 형태가 점점 더 전 후방을 통합하는 방식(오프라인으로 확장 및 AS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 비즈니스 모델이 통합되는 방향(PB제품 판매, 중개가 통합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현 모바일 상거래의 As-is를 바라보았을 때, 다양한 형태의 쇼핑몰의 분석을 통해서 통합적인 Implication을 제시하는 것이 이 과제의 방향과 맞다고 생각하여, 다양한 형태의 쇼핑몰 3가지를 선택하였다.
우선 오프라인 마켓에 중점을 두고 있는 이마트와 온라인 매장에 중점을 둔 11번가, 그리고 기존 인프라 및 컨텐츠의 장점을 기반으로 상품군을 수평적으로 확장하고 있는 아마존을 선택하여 각각의 전략 및 향후 청사진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2 사이트의 특징 및 채널(web,app)의 특징
2)11번가
(1) 11번가 소개
(ㄱ)오픈마켓 & 11번가
오픈마켓이란 다수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온라인상에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적 가상시장을 의미하며, 인터넷 기반의 인터넷 오픈마켓이 시장거래의 비효율성을 최소화하고 자원분배의 효율성을 최대화 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Bakos, 1988
.
오픈마켓은 물품의 제조업체 혹은 유통업체가 운영하는 종합형 인터넷 쇼핑몰과는 다른 형태와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 종합쇼핑몰의 경우는 상품 카테고리마다 담당 상품기획자(MD)가 입점업체와 접촉하여 업체 간 수수료를 협의하고, 업체의 상품등록
을 조율하여 판매에 대한 책임 등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는 모든 과정에 관여한다. 그러나 인터넷 오픈마켓의 경우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물건의 매매가 이루어 질 수 있는 거래의 장과 시스템을 제공할 뿐, 오픈마켓 운영자는 누가 어떤 상품을 등록하고 어떤 가격에 판매하는지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는다(이형규정준우, 2005).
11번가는 국내 3번째 규모의 오픈마켓 회사이다. 11번가’는 런칭시점부터 기존의 오픈마켓들과 차별화하여 포지셔닝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오픈마켓으로는 다소 파격적으로 전지현을 앞세워 ‘하이 앤드(High-end)’급 명품 청바지 ‘트루릴리전 지아니’ 마케팅을 전개하여 ‘고급스러운 오픈마켓’ 이미지를 주려하였으며 ‘채핑’,‘즐거운 쇼핑’ 등 소비자들의 쇼핑몰 참여를 적극 유도하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들을 내세워 판매자 중심의 기존 오픈마켓들과는 달리 소비자 중심의 오픈마켓으로 차별화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2012년 상반기 온라인쇼핑 주요 이슈 및 하반기 전망 - 요약
11번가의 경우 기본적인 운영시스템은 기존 오픈마켓의 형태를 따르고 있으나 외형적으로 추구하는 쇼핑몰의 형태는 고정적 개념의 오픈마켓이 아닌 일반 대형 종합쇼핑몰,소규모 전문쇼핑몰 그리고 오픈마켓의 장점만을 혼합한 새로운 형태의 ‘하이브리드 쇼핑몰’인 것이다.
(ㄴ)11번가의 차별화를 통한 성공 전략
. ‘
가. 위조품 보상제 등 소비자 보호 탁월
‘위조품 110% 보상제’를 시행 : 구매자가 11번가에서 구매한 제품이 위조품으로 의심되면 11번가의 협력 브랜드 제품인 경우 ‘위조품 110% 보상제’ 페이지를 통해 신고하면 된다. 11번가가 상표권자에 위조품 여부를 감정 요청한 후 위조품으로 판명되면 결제대금 전액을 환불받을 수 있다. 총 70여 개의 국내외 브랜드다. 11번가는 향후 위조품 감정 협력 브랜드를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11번가를 통해 위조품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구매자가 직접 특허청, 검찰, 경찰, 세관에 위조품 신고를 한 후 위조품으로 확인 되면 110%를 보상받을 수 있다.
나. 판매자 지원 통해 경쟁력 강화
판매자 지원센터 내 대규모 교육시설에서는 각종 교육 프로그램 운영, 포토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독립형 스튜디오 이용, 고급 카메라 장비·메이크업 및 피팅룸 등 부대시설 무료 대여, 세미나룸 운영, 포토 촬영 시 전문 포토그래퍼의 1대 1 맞춤지도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 11번가에서는 판매자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마케팅, 법무, 회계 등)을 실시하고 있다. 상담센터에서는 세무 관련 전화상담과 전문 세무 관련 기관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했다. 지난 8월 말 기준으로 동대문과 보라매의 판매자 지원센터를 이용한 판매자 수는 각각 1만5000명과 1600명에 달할 정도로 판매자들의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다. 유망 신인 디자이너 제품 단독 런칭
11번가에서는 기존의 브랜드 제품은 물? 디자이너 제품과 기존 유명 브랜드와의 전략적인 상품개발을 통해 11번가에서 단독 판매하는 전략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라.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 : 포인트 더블 보장제, 지하철 비방광고 이슈 등과 같이 기존 업계에게 공격적인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으며, 요즘 G마켓, 옥션 인수에 대하여 애국심 마케팅을 실시함
∴ 온라인 쇼핑을 하면서 다른 사람과 쇼핑 화면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채핑(chat +shopping)’ 서비스를 업계 최초로 구현한 것도 차별화를 부각시키기 위한 노력의 하나다. ∴ SK텔레콤이라는 대기업 브랜드가 가져다주는 공신력과 브랜드 가치 등도 긍정적이다.
∴ 특히 SK텔레콤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경험과 풍부한 자금, 싸이월드(2200만 명), 네이트온(2000만 명), OK캐쉬백(2600만 명) 등 기존 서비스의 가입자도 든든한 배경이다
(ㄷ)모바일 현황
다음의 기사에서 볼 수 있듯이 11번가는 외부적 요인(LTE환경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과 결제수단의 안정화를 통한 휴대폰 결제의 불편함으로 해소하는 전략과 11번가의 강점인 T멤버쉽, OK 캐쉬백 연계가 모바일 플랫폼과의 시너지를 발휘하는 방향으로 앱을 개발하여 최근 설립이후 최대의 실적을 거두었다.
모바일에서 주로 거래되는 품목은 생수, 라면, 기저귀 등 생필품이 중심이었지만 최근에는 패션, 디지털, 레저용품 등으로 확장되고 있다. 100만원 이상의 고가품
추천자료
한국, 일본의 모바일 커머스 유형, 수익모델, 성공사례 및 성공요인
스마트폰을 활용한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A+) 구글(Google)의 모바일 사업 동향 및 SWOT분석
구글의 모바일 사업 동향 및 SWOT분석
애플의효과적인전략적제휴, 애플전략적제휴, 전략적제휴사례, 전략적제휴 - 전략적 제휴란, ...
금융서비스와 금융중개서비스, 국경간 금융서비스, 금융서비스와 종합금융서비스, 전자금융서...
[경영전략]애플사, 삼성전자의 기업전략(사업전략, 경영전략), 풀무원, G마켓의 기업전략(사...
[기업전략][MSN][삼성물산][KFC]MSN(엠에스엔)의 기업전략, 삼성물산의 기업전략, KFC(케이에...
인터넷 스트리밍콘텐츠 사업전략, 인터넷 비즈니스(E-biz, 이비즈니스) 사업전략, 통신사업자...
B2B 전자상거래(기업간 전자상거래), B2C 전자상거래(기업과 소비자간 전자상거래), B2G 전자...
SK 브로드밴드 전략보고서 - SK브로드밴드의 경쟁적 우위 전략 분석 (IPTV 시장현황, QOOK의 ...
인터넷포털사이트 (인터넷 포털의 특징과 역사, 주요서비스, 네이버·다음·네이트 경쟁 현황, ...
우수레포트[디지털 디바이드, 모바일 디바이드] 스마트폰 시대의 정보격차 현황, 정보격차 문...
LBS 기반 모바일 프로모션 모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