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응용실험 - PLC 리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동화응용실험 - PLC 리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동화응용실험 - PLC 리포트


1. PLC의 출현 배경과 정의를 간단히 기술하라.
◎ 출현배경
◎ 정의

2. 공압과 유압의 차이 - (간단하게 도표로 한번 정리 해보았습니다.)

3. 밸브의 종류를 열거하고, 그 기호를 설명해 보라.
(1) 게이트 밸브 (gate valve)
(2) 글로브 밸브 (globe valve)
(3) 버터플라이 밸브 (butterfly valve)
(4) 볼 밸브 (ball valve)
(5) 앵글 밸브 (angle valve)
(6) 체크 밸브 (check valve)
(7) 감압 밸브 (pressure reducing valve)

4. PLC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라.

본문내용

여 자문을 많이 받을 수 있는 밸브이다.
글로브 밸브는 원모양의 밸브 본체를 갖추고, 출입구의 중심선이 일직선상에 있으며, 유체 흐름은 밑에서 위로 흐르는 S자 모양이 되는 밸브이다. 구조로서 단좌형, 복좌형 밸브 및 케이지 밸브가 있으며, 유체 방향을 변경시켜 유체 압력손실이 크고 와류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압력손실이 문제가 되는 저압의 유체에는 적합치 않으며 같은 구경일지라도 게이트 밸브에 비해 무겁고 가격이 비싼 단점을 가진다.
구조별
설명
단좌형 밸브
- 가장 기본적인 형식의 밸브로 밸브차단 성능이 우수
- 소구경에 많이 사용
- 차단밸브, 온오프 밸브로 사용
복좌형 밸브
- 2개의 포트를 가지는 조절밸브
- 단좌형 밸브보다 누설량이 떨어진다.
- 중구경에 많이 사용
케이지 밸브
- 케이지내에 습동하는 플러그를 설치한 조절밸브
- 불순물을 포함한 유체에는 부적합
- 기능면에서는 게이트 밸브와 글로브 밸브의 복합형
(3) 버터플라이 밸브 (butterfly valve)
버터플라이 밸브는 밸브 본체내에서 디스크가 회전하여 개폐하는 형식의 대표적인 밸브이고, 볼밸브와 플러그밸브처럼 90도 회전밸브이다.
특히 밸브구경 대비 밸브 노즐면간의 길이가 매우 짧은 콤팩트화된 밸브로써 밸브 구조상의 여러가지 독특한 장점이 있다. 그 예로써 밸브의 구경 대비 밸브 무게가 거의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밸브에 비하여 60~70% 정도이고, 볼밸브나 플로그 밸브에 비해서도 20%이상 가볍다. 또 밸브의 무게중심이 볼 밸브와 같이 배관 중심선과 거의 일치함으로 배관계의 구조를 보다 건전하게 한다. 물론 밸브의 구성부품수도 적기 때문에 제작도 용이하고, 밸브 구경 대비 가격도 저렴한 편이다.
웨이퍼(Wafer)타입의 버터후라이밸브는 밸브의 크기 및 콤팩트성, 가격, 제작의 용이성, 설체의 편이성, 배관계의 구조적 안전성, 밸브의 유지보스 측면에서 어쩌면 가장 합리적인 밸브타입으로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여러 설계 인자로 인하여 버터후라이 밸브는 밸브 구경이 커지면 커질수록 장점이 돋보인다. 계통의 운전조선에 따라 다르겠지만 밸브의 호칭 직경이 20인치(500mm)를 넘는 대형의 밸브는 거의 모두 버터플라이밸브이다. 단점으로는 디스크와 시트와의 기밀유지 기술이 타 밸브에 비하여 까다로우며, 디스크의 구조상 유체흐름과 대칭상태로 힘을 받기 때문에 높은 차압을 요구하는 계통에는 진동 및 소음등을 유발하므로 적용하는데 어렵고, 아울러 밸브 크기가 클수록 디스크에서의 면압 및 운전토오크가 커지기 때문에 압력이 높은 계통에서의 버터플라이밸브 선정은 제약을 받는다.
버터플라이 밸브는 유량조절 또는 On-Off 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On-Off 용 일때는 90도, 유량조절일 경우에는 60도 회전변을 사용하는데, 60도 이상이 되면은 유체 증가가 기하 급수적으로 변하고 많은 힘이 필요하며, 70도 이상에서는 유량조절로는 적합치 않다.
(4) 볼 밸브 (ball valve)
볼 밸브는 90도 회전밸브로서 매우 양호한 기밀유지 특성을 갖고 있다. 소프트 시트인 경우는 기밀성능이 매우 양호하여 완전차단까지 가능하나 금속시트는 내열성이 우수하지만 차단성능은 소프트 시트에 비해서 떨어진다. 볼을 감싸고 있는 시트는 기밀을 확실하게 하고, 또한 비교적 적은 운전토크를 갖는다. 볼의 유로현상이 원형으로 밸브 입출구의 형상과 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유로저항도 매우적다. 이는 범용의 밸브 중에서 특히 저압의 상온 유체를 차단하고 제어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거의 모든 볼 밸브는 full port 연결배관의 호칭직경보다 작은 구경의 유로경 즉 reduced port 를 갖는다.
볼 밸브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시팅이다. 대부분의 볼 밸브는 탄력성이 좋은 PTEE(polytrafluore ethylene)가 가장 널리 쓰이고 유체의 부식특성에 따라서 특별한 용도로 나이론, 성형흑연 및 PTEE에 성형 흑연분말을 합침한 씰링 재료가 있다. 볼 밸브 시팅 재료에 있어 볼과 씰링 재료가 금속인 경우가 가장 이상적이다.
볼 밸브가 점점 콘트롤 밸브로 사용되는 추세에 있는데 지금까지 문제는 시트의 재질때문에 고온고압에 사용이 제한이 있었으며, ball과 stem이 분리 되어 구동부와 동력전달이 미세한 부분에서는 잘 조절되지 않는 Dead Band Zone이 있었으나 시트의 재질을 향상시켜 메탈 시트가 개발되고 볼도 시트와 같이 붙어 있는 One piece ball 이 나오기도 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3.27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98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