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의이해 - 3차원TV(3DTV) 관련 기술이 멀티미디어 분야와 관련하여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미래사회에서 3차원TV(3DTV) 기술과 관련하여 새로운 응용분야 및 방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멀티미디어의이해 - 3차원TV(3DTV) 관련 기술이 멀티미디어 분야와 관련하여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미래사회에서 3차원TV(3DTV) 기술과 관련하여 새로운 응용분야 및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Ⅰ. 3차원 영상의 현재

본 론
Ⅰ. 3DTV란
Ⅱ. 3DTV의 역사
Ⅲ. 3차원TV(3DTV) 관련 기술 멀티미디어 분야와 관련한 적용
Ⅳ. 새로운 응용분야 및 방법 - 문제점 , 기술력, 해결방법

결 론
Ⅰ. 정리 및 3차원 영상의 파급효과

본문내용

현재와 같은 입체 디스플레이는 만족스럽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 어떤 기술적 진보가 폭넓은 수용을 얻기 위해서는 중요한 새로운 것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이전에는 얻을 수 없었던 것들 혹은 현재 존재하는 것보다 기능이 뛰어나야만, 자연스럽게 현재의 것을 대치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3DTV 방송 기술들 중 어느 것도 이러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은 아직 없다. 또한 미래의 3DTV 시스템이 개발상 어려움으로 인해 어느 특정한 응용 분야에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궁극적으로 컴퓨터그래픽에서부터 가정용 TV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응용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TV 시장이 자동차 시장 다음으로 큰 소비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시청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히 만족할 만한 3DTV의 구현이 아직도 불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다.3DTV 방송을 위한 핵심 기술은 입체영상생성기술, 영상편집/전송기술, 디스플레이기술, 입체시각기술로 분류할 수 있으며 본고에서는 각 분야의 기술 동향을 다루고자 한다.
Ⅱ. 3DTV의 역사
1980년대부터는 필름을 매체로 한 입체영화에서 3DTV로 연구 개발이 전환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근본 배경은 첫째, 큰 입체감 임장감(현장감)을 얻기 위해서는 큰 화면사이즈와 높은 해상도가 요구된다. 이에 대해서는 1980년부터 서서히 실용화 연구가 시작된 하이비전 기술이나 HDTV 기술에 의해 해결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HDTV급의 입체영상이 선명하게 재현된다면 35[mm] 입체영화와 조금도 손색이 없는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기대가 생겼다. 둘째, 방송이나 통신에서 본격적인 이용에 대한 기대의 고조이다. 1989년에는 NHK방송기술연구소에서 처음으로 편광식 입체하이비전이 공개되어, 미래의 텔레비전으로서의 이용가치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아졌다. 셋째, 방송이나 통신 분야에서 가정에서의 이용을 생각할 뿐 아니라 오락 의료 교육 등에서의 이용가치가 재인식되었다. 이런 분야에서는 전송로가 필요치 않은 소위 패키지계 미디어로서의 이용이 예측되며, 조기 실용화의 가능성도 상당히 높다고 판단된다. 텔레비전의 특성을 살린 입체방송이 실험적으로 시도된 예가 있다. 애너글리프(anaglyph)로 불리는 방식이 주가 되었는데, 이 방식은 적(赤)과 청(靑)의 안경에 의해 좌우 안에 들어가야 할 화상을 분리시키는 방식이다. 이것은 물론 원리적으로 컬러화가 불가능한 방식이다. 일본에서는 1974년 일본 TV가 ‘오즈의 마법사’라는 실험프로그램을 방송하였다. 또한, 농도차방식으로 불리는 것도 있다. 좌우에 농도차가 있는 안경(예를 들어 한쪽만 ND필터로 어둡게 하는 것)을사용해서 한쪽방향으로 움직이는 영상을 보면 입체감이 생긴다. 이 방식은 영상이 밝은 것일수록 시각정보가 뇌에 전해지는 속도가 빠르고, 어두운 것일수록 느려서 영상의 차이가 인식되어 의사적(疑似的)으로 입체감이 생긴다. 이 방식의 장점은 텔레비전에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비가 그대로 이용되고, 컬러프로그램에도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편, 단점은 정지영상에서는 입체감이 생기지 않고,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영상에서는 입체 효과가 역전되는 경우가 있다. 또 움직이는 속도에 따라 심도감이 변화된다. 따라서 프로그램 제작상의 제약이 커서 본래의 상황대로 방송이 되지 않는다. 이 방식의 예로, 미국에서는 모 음료메이커에 의한 커머셜 프로그램이 제작된 예가 있다. 최근에는 1993년에BBC가 특수 안경을 팔아 그 수익금의 일부를 자선사업에 기부하는 이벤트프로그램을 방송하였다. 이상 어느 것이나 현행의 TV방식으로 가능한 것을 실험적으로 실행한 것에 불과하며, 미래의 가정용 3DTV의 실현을 향한 연구의 일환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실용적 3DTV 방송시스템에 요구되는 사항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자연스런 입체감이 시청자의 피로감 없이 얻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②그룹으로 시청할 수 있고, 시역이 넓을 것
③양립성: 3DTV 수상기로 3DTV 신호를 3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현행의 TV 신호에 대해서도 통상의 2D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 또한, 현재의 수상기로 3DTV 신호를 2D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을 것
④3DTV는 현행 TV와 동등 이상의 색 표현과 해상도를 가질 것
⑤현행 TV 신호규격의 변경이 가급적 적을 것
⑥수상기 및 방송설비에 요하는 비용이 너무 많지 않을 것
이상의 6항목이 3DTV 실현에 대한 중요한 요구과제이다. 일본의 NHK에서는 1960년에 이미 3DTV의 원리적인 검토가 시작되어 1961년에는 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패럴랙스 배리어형 디스플레이의 실험이 실시되었으나, 당시는 액정기술이 성숙되어 있지 않아 CRT에 의한 실현 가능성의 아이디어를 제공하는데 그쳤다. 최근 주변의 하드웨어 기술 진전에 따라 3DTV의 연구가 다시 활발해지고 있으나, 예로 제시한 바와 같이 원리 검증 연구의 역사는 오래다.
Ⅲ. 3차원TV(3DTV) 관련 기술 멀티미디어 분야와 관련한 적용
차세대3차원입체영상연구센터 http://www.3drc.org/에서 발췌..
국외 3D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동향
o 차세대 영상매체, 방송통신, 게임, 의료 등 광범위한 응용분야를 가진 3D 디스플레이에 관한 기술 및 시스템 개발은 최근 기술선진국에서 국책 기술개발로 많은 투자와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3D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핵심기술 연구개발 동향은 [표1]과 같이 미국, 일본, 유럽을 중심으로 기술선점을 위해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o 미국에서는 이미 ARPA(Advanced Visual Display System)연구과제의 하나인 「3D 입체영상 및 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개발」을 비롯하여 NASA, AT&T, MIT대학 등을 중심으로 항공 우주, 방송통신, 국방, 의료등의 응용을 목적으로 「실감 3차원 다중매체」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IBM은 DLP 기반 저가용 프로젝션 3DTV를 개발하고 2006년도부터는 Indight Media사와 미국 디스플레이 컨소시움(US Display Consortium)의 공동 주최로 \'3D BIZ-EX\'이라는 워크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4.03.27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9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