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아동을 위한 아동복지실천 (아동복지시설의 이해, 시설아동의 현황, 시설아동을 위한 복지사업, 아동시설복지사업의 문제점 및 과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설아동을 위한 아동복지실천 (아동복지시설의 이해, 시설아동의 현황, 시설아동을 위한 복지사업, 아동시설복지사업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동복지시설의 이해
 1)아동복지시설의 목적
 2)아동복지시설의 기능
 3)아동복지시설의 종류 

2. 시설아동의 현황
 1)시설아동의 발생원인
 2)아동복지시설 입소 대상 및 기간 
 3)아동의 복지시설 입소 경로
 4)시설아동의 특성
 5)아동복지시설 퇴소아동 현황

3. 시설아동을 위한 복지사업
 1)시설아동을 위한 복지사업의 발달과정
 2)시설아동을 위한 복지사업 내용
 3)시설종사자

4. 아동시설복지사업의 문제점 및 과제

본문내용

258
598
466
278
25
45
강 원
10
160
707
424
217
207
424
19
46
132
125
79
15
8
충 북
13
268
1,031
694
408
286
694
68
72
194
169
134
16
41
충 남
14
225
997
702
400
302
702
35
59
232
178
135
48
15
전 북
16
292
1,189
855
514
341
855
52
87
244
223
213
26
10
전 남
23
447
2,003
1,285
747
538
1,285
164
89
321
245
321
108
37
경 북
15
255
1,347
895
512
383
895
47
82
255
224
213
56
18
경 남
25
370
1,804
1,134
662
472
1,134
43
119
317
294
258
85
18
제 주
5
111
375
306
182
124
306
30
41
107
62
47
19
0
출처:보건복지부
<사회적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의 보호 현황>
° IMF 외환위기, 세계경제 위기 등으로 요보호아동이 매년 약 9천명 정도 발생했으나, 이후 경기가 안정국면에 접어들면서 요보호아동 발생은 감소추세이다.
° ‘00 : 9,085명 → ‘05 : 9,420명 → \'08 : 9,284명 → \'09 : 9,028명 → \'10 : 8,590명 → \'11 : 7,483명 → \'12 : 6,926명
° 요보호아동 발생은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아동보호는 비밀입양위주의 입양문화, 혈연중심의 가족문화 등으로 인해 입양·가정위탁보다는 아동시설보호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버려진 신생아 급증에 양육시설 일손 부족…원인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6&aid=0000008410
3) 아동의 복지시설 입소 경로 출처:서울특별시 아동복제센터
* 상담 후 적합판정 결과
<보호아동 발생 시 업무처리 흐름도>
보호가 필요한 아동 발생
발견(기아, 미아, 가출아동, 학대아동등),
의뢰 (아동복지법 제15조제1항)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 또는 보호자가 아동을 학대하는 경우
등 그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하기에 부적당
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아동복지
법제3조제4호)
아동복지법
입양특례법

일시보호시설
임시보호조치
㉯ 일시 위탁
(적당하다고 인정되는 자에게 일시 위탁)
㉮ 입양기관
① 아동과 보호자 상담지도
(아동복지공무원 또는 아동위원 등)
㉯ 가정법원
(입양허가)
※ 만2세 미만 요보호아동은 가정위탁 우선 배치
② 보호자 또는 대리양육을 원하는 연고자
가정 보호양육 조치(친부모보호자친인척 등 연고자 보호 양육)
①국내입양
②국외입양
③ 아동보호를 희망하는 자에게 가정위탁(위탁보호가정)
※ 만2세 미만 요보호아동은 가정위탁 우선 배치 노력
④ 적합한 아동복지시설에 입소(①-③의 보호조치가 적합하지 아니한 자)
원가정복귀
입양
가정위탁
그룹홈보호
시설보호
아동복지시설의 입소 경로는 보호가 필요한 아동이 발생하면 아동복지법과 입양특례법에 따라 아동을 분류할 수 있다. 아동복지법에 분류된 아동은 일시보호시설·임시보호조치와 일시위탁으로 나뉠 수 있다. 일시위탁은 적절하다고 인정되는 자에게 위탁한다. 이 두 가지에 속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아동과 보호자를 상담 및 지도한다. 만2세 미만 요보호아동은 가정위탁에 우선 배치한다. 보호자 또는 대리양육을 원하는 연구자는 가정 보호양육 조치를 한다. 아동보호를 희망하는 자에게 가정위탁(위탁보호가정)을 해주며, 만2세 미만 요보호아동은 가정위탁 우선에 배치하도록 노력한다. 마지막으로 다음과 같은 보호조치가 적합하지 않은 자에게는 원가정복귀, 입양, 가정위탁, 그룹홈보호, 시설보호 다섯가지 중 적합한 시설에 입소한다.
아동의 실종 및 시설 입소와 관련된 어린이재단의 사업 소개
사업내용
프로그램
사례관리
- 신고접수 자료 경찰청 제공자료 공유
- 가정방문 상담으로 찾기 과정안내, 문제 파악 및 필요서비스 제공
- 상담 필요 시 기관 연계 및 지원체계 연결
- 행정기관 및 경찰관서 등과 연계한 가족지원
- 장기 실종아동 사례관리
실종아동
가족지원
상담서비스 및
사후관리
- 전문적인 심리검사를 통한 상담 및 치료서비스 제공
- 실종아동 가정 내 발생하는 부부간의 문제, 자녀의 문제를 파악하여
전문 상담치료 프로그램 제공
- 실종아동 전단 제작 지원 등을 통한 직접적인 경제 지원
- 위기가정을 위한 긴급구호 지원
- 지역별 실종아동 부모 자조모임 조직 및 지원
- 아동의 가정 복귀 후 적응을 위해 상담서비스 제공
실종 예방·
홍보사업
- 실종 예방 방문교육 실시
- 실종 예방 홍보 및 에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 방송 홍보물 제작으로 공익광고를 통한 홍보
- 홍보 캠페인 진행
조사·연구사업
- 전국적인 실종아동 발생 경험률 조사
- 선지 외국 시스템 연구
- 실종아동 관련 세미나 실시
실종아동
데이터베이스
구축·운영
- 시설보호아동 자료를 전산화하여 체계적인 관리·운영 시스템 구축
- 홈페이지를 통한 신상카드 접수
- 유전자 검사 신상정보 관리 보완 프로그램 개발
출처:http://www.kwf.or.kr
4) 시설아동의 특성
- 1945년 스피츠(Spitz) - ‘시설병’
건강한 아동을 시설에서 오랜 기간 수용함으로 초래되는 심각한 영향
- 볼비(Bowlby) - 시설아동의 심리적 문제가 모성적 양육의 상실에서 기인한다고 해석
- 위태커(Whittaker) - 시설 아동들이 문제가 되는 습관 정리
① 빈약한 충동통제의 발달 ② 낮은 자아상 ③ 감정조절의 미숙
④ 관계형성의 결함 ⑤ 특정의 학습장애 ⑥ 놀이기술의 제한
- 일반아동에 비해 정신적 문제로 인한 전문적인 치료를 필요한 상태의 시설 아동 비율이
약 15배
(1) 심리 사회적 문제
시설아동은 아동이 따뜻한 인간관계를 맺기에는 제약이 많으며 개인이 집단에 매몰되어 인성을 상실하거나 개성의 발달 또는 정서적·신체적·창조적 능력의 발달에 대한 기회를 놓치기 쉽다. 또한 일반 가정의 아동보다 문화적으로 실조된 환경에서 생활하기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4.03.30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06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