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철학과 무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가철학과 무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놓아두지 않고 대신 법률이나 제도로 백성을 다스리려 한다면 그것은 소의 코에 고삐를 꿰는 것과 같고 또 그것은 마치 오리의 다리를 늘리고 학의 다리를 줄이려고 하는 처사나 마찬가지라고 비유되며 그는 “인위로 자연을 파멸시키는 일이며 고의로 생명을 파멸시키는 일이다.” 라고 말하였다.
< 장자는 노자처럼 ‘무통치의 통치’를 주장하였지만 조금 다른 부분은
노자는 자연법칙을 강조하며, 우리가 통치하면 할수록 그 결과는 바라던 정반대의 수확을 얻는다고 주장하였다.
장자는 자연과 인위를 구분하여 후자가 전자를 암도하면 할수록 비참과 불행만 초래한다고 강조하였다.>13)
*우리 같이 토론해봐요!*
1. 현대 문명 즉 자본주의 물질 문명이 문제점으로 인간성 파괴 문제와 생태계 환경 파괴 문제로 들수 있는데, 이것은 우리 인간이 해결해야할 중요한문제입니다. 이것을 주제로 도가 철학이 현대 사회의 대안이 될수 있을까요?
(정의 = 노자 - 무위자연 사상으로 생태계 환경 파괴 문제의 대안에 대해서.)
2. 노자는 “내가 무위하니 백성들이 저절로 감화되고, 내가 고요함을 좋아하니 백성들이 저절로 바르게 되고 내가 아무 일도 하지 않으니, 백성들이 부유해지고 내가 무욕하니 백성들이 저절로 순박해진다.” 즉 아무것도 하지 아니해도 안 되는 일이 없다. 라고 하였습니다. 지금의 자본주의 사회까지 오기 위해 인간의 욕심이란 것에 있어 생겨난 물질 문명과 발달한 세계가 위글의 노자 사상이 적용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참고문헌>
『도가철학개론』 정진일 저, 서광사출판사, 2001
『동양철학에세이』김교빈 · 이현구, 동녘, 2007
『중국철학사』 정인재 역, 탐구당, 1987
『장자 & 노자』강신주 저, 김영사, 2006
『노자철학과 도교』 노승현 저, 예문서원, 1995
『장자』 한용득 저, 홍신문화사, 1997
『장자철학』 이강수 저, 소나무 1998
*****************************************************************************
1)『노자철학과 도교』노승현, 예문서원, 1995, P.20~24
2)『노자철학과 도교』노승현, 예문서원, 1995, P.81~84
3)『노자철학과 도교』노승현, 예문서원, 1995, P.26~28
4)『도가철학개론』 정진일 저, 서광사출판사, 2001 P.31 참조
5)『도가철학개론』 정진일 저, 서광사출판사, 2001 P.33 참조
6)『도가철학개론』 정진일 저, 서광사출판사, 2001 P.34 참조
7)『도가철학개론』 정진일 저, 서광사출판사, 2001 P.35 참조
8)『도가철학개론』 정진일 저, 서광사출판사, 2001 P.37
9)『중국철학사』 정인재 역, 탐구당, 1987 P.133~132
10)『중국철학사』 정인재 역, 탐구당, 1987 P.137~140
11)『장자』 한용득 저, 홍신문화사, 1997 P.1장 소요유(逍遙遊)
12)『장자철학』 이강수 저, 소나무 1998
13)『중국철학사』 정인재 역, 탐구당, 1987 P.143~145
++++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4.10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