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중순에 제시되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더욱 의아한 부분이었다. 흙의 함수량을 대강 조절하여 반죽하고, 눈과 손을 이용하여 접시에 눌러 담는 부분 등 현재 기준으로 생각해 볼 때 눈에 띄게 오차가 생길 것이 뻔했다.
하지만 수업이 우리에게 제공하려 하는 것이 단순한 토질의 요소별 측정값들이 아니라 그 시험을 아우르는 개념의 전달에 있단 걸 생각해보면 일견 이해가 갔다. 이 시험이 현재 학생들이 세립토의 액성을 관찰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생각을 해 보면 이러한 시험을 수행한 학생으로서 실험 내용에 충분히 공감이 갔기 때문이다. 현재 컴퓨터와 계산프로그램의 발달로 실무에서의 많은 실험들이 기계화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실행하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기본 개념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한 이해에 있어 자칫 우리에게 우습게 보일 수도 있는 이러한 시험들이 크나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9. 결과 데이터 시트
액 성 한 계 ,
시험 번호
#1
#2
#3
용기 번호
4-1
4-2
4-3
(젖은흙+용기)의 무게 , g
30.66
29.59
25.95
(마른흙+용기)의 무게 , g
28.45
27.94
25.12
함수량, g
2.21
1.65
0.83
용기의 무게 , g
23.16
23.85
23
마른흙의무게, g
5.29
4.09
2.12
함수비,
41.78%
40.34%
39.15%
낙하회수 회
19
25
30
40.34
10. 참고문헌
「토질시험」,도서출판 동학
「토질시험법」,구미서관
Braja M. Das,「토질역학」,THOMSON
하지만 수업이 우리에게 제공하려 하는 것이 단순한 토질의 요소별 측정값들이 아니라 그 시험을 아우르는 개념의 전달에 있단 걸 생각해보면 일견 이해가 갔다. 이 시험이 현재 학생들이 세립토의 액성을 관찰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생각을 해 보면 이러한 시험을 수행한 학생으로서 실험 내용에 충분히 공감이 갔기 때문이다. 현재 컴퓨터와 계산프로그램의 발달로 실무에서의 많은 실험들이 기계화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실행하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기본 개념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한 이해에 있어 자칫 우리에게 우습게 보일 수도 있는 이러한 시험들이 크나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9. 결과 데이터 시트
액 성 한 계 ,
시험 번호
#1
#2
#3
용기 번호
4-1
4-2
4-3
(젖은흙+용기)의 무게 , g
30.66
29.59
25.95
(마른흙+용기)의 무게 , g
28.45
27.94
25.12
함수량, g
2.21
1.65
0.83
용기의 무게 , g
23.16
23.85
23
마른흙의무게, g
5.29
4.09
2.12
함수비,
41.78%
40.34%
39.15%
낙하회수 회
19
25
30
40.34
10. 참고문헌
「토질시험」,도서출판 동학
「토질시험법」,구미서관
Braja M. Das,「토질역학」,THOMS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