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함수비(%) = (물의 중량 ÷ 흙의 중량) × 100 (%)
(2) 유동곡선을 그린다.
함수비를 세로축으로, 낙하횟수를 가로축(대수)에 취하여 반대지수상에 그리면 유동곡선이 되며 대략 직선으로 나타난다.
(3) 유동지수와 액성한계 를 구한다.
유동곡선에서 낙하횟수가 25회 일 때의 함수비가 액성한계 이며 유동곡선의 기울기는 유동지수 가 된다.
즉, = (ω2 - ω1) / log
N2
N1
5. 시 험 결 과
액 성 한 계 ,
실험 번호
#1
#2
#3
#4
낙하회수(회)
83
59
12
4
(젖은흙+용기)의 무게 ,g
24.04
21.60
31.19
26.39
(마른흙+용기)의 무게 ,g
20.66
19.30
24.94
22.01
함수량,g
3.38
15.71
16.11
15.87
용기의 무게 , g
15.39
2.30
6.25
4.38
마른흙의무게, g
5.27
3.59
8.83
6.14
함수비,
61.14
64.07
70.78
71.34
같은 데이터를 구할 수 있으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 액성한계()
유동곡선을 통해 타격횟수 25회 때의 함수비를 추정하면 대략 67.7%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이 흙의 액성한계()는 67.7% 내외 일 것이다.
- 유동지수()
이 직선의 기울기를 유동지수()라 하고 아래와 같이 구한다.
여기서 : 타격횟수 에 상당하는 함수비 (%)
: 타격횟수 에 상당하는 함수비 (%)
타격횟수 83, 4회의 함수비로 유동지수를 구하면
이다.
※정 리
액성한계
소성한계
유동지수
소성지수
67.7
37.01
7.74
30.69
(2) 유동곡선을 그린다.
함수비를 세로축으로, 낙하횟수를 가로축(대수)에 취하여 반대지수상에 그리면 유동곡선이 되며 대략 직선으로 나타난다.
(3) 유동지수와 액성한계 를 구한다.
유동곡선에서 낙하횟수가 25회 일 때의 함수비가 액성한계 이며 유동곡선의 기울기는 유동지수 가 된다.
즉, = (ω2 - ω1) / log
N2
N1
5. 시 험 결 과
액 성 한 계 ,
실험 번호
#1
#2
#3
#4
낙하회수(회)
83
59
12
4
(젖은흙+용기)의 무게 ,g
24.04
21.60
31.19
26.39
(마른흙+용기)의 무게 ,g
20.66
19.30
24.94
22.01
함수량,g
3.38
15.71
16.11
15.87
용기의 무게 , g
15.39
2.30
6.25
4.38
마른흙의무게, g
5.27
3.59
8.83
6.14
함수비,
61.14
64.07
70.78
71.34
같은 데이터를 구할 수 있으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 액성한계()
유동곡선을 통해 타격횟수 25회 때의 함수비를 추정하면 대략 67.7%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이 흙의 액성한계()는 67.7% 내외 일 것이다.
- 유동지수()
이 직선의 기울기를 유동지수()라 하고 아래와 같이 구한다.
여기서 : 타격횟수 에 상당하는 함수비 (%)
: 타격횟수 에 상당하는 함수비 (%)
타격횟수 83, 4회의 함수비로 유동지수를 구하면
이다.
※정 리
액성한계
소성한계
유동지수
소성지수
67.7
37.01
7.74
30.6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