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역학 및 실습 -액성소성 실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질역학 및 실습 -액성소성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함수비(%) = (물의 중량 ÷ 흙의 중량) × 100 (%)
(2) 유동곡선을 그린다.
함수비를 세로축으로, 낙하횟수를 가로축(대수)에 취하여 반대지수상에 그리면 유동곡선이 되며 대략 직선으로 나타난다.
(3) 유동지수와 액성한계 를 구한다.
유동곡선에서 낙하횟수가 25회 일 때의 함수비가 액성한계 이며 유동곡선의 기울기는 유동지수 가 된다.
즉, = (ω2 - ω1) / log
N2
N1
5. 시 험 결 과
액 성 한 계 ,
실험 번호
#1
#2
#3
#4
낙하회수(회)
83
59
12
4
(젖은흙+용기)의 무게 ,g
24.04
21.60
31.19
26.39
(마른흙+용기)의 무게 ,g
20.66
19.30
24.94
22.01
함수량,g
3.38
15.71
16.11
15.87
용기의 무게 , g
15.39
2.30
6.25
4.38
마른흙의무게, g
5.27
3.59
8.83
6.14
함수비,
61.14
64.07
70.78
71.34
같은 데이터를 구할 수 있으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 액성한계()
유동곡선을 통해 타격횟수 25회 때의 함수비를 추정하면 대략 67.7%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이 흙의 액성한계()는 67.7% 내외 일 것이다.
- 유동지수()
이 직선의 기울기를 유동지수()라 하고 아래와 같이 구한다.
여기서 : 타격횟수 에 상당하는 함수비 (%)
: 타격횟수 에 상당하는 함수비 (%)
타격횟수 83, 4회의 함수비로 유동지수를 구하면
이다.
※정 리
액성한계
소성한계
유동지수
소성지수
67.7
37.01
7.74
30.69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4.11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8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