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테마파크
Ⅰ. 테마파크의 개념과 발달
1. 테마파크의 개념
2. 테마파크의 발전과정
3. 테마파크의 입지유형
가) 대도시입지형
나) 지방도시입지형
다) 관광지입지형
라) 저밀도입지형
Ⅱ. 테마파크 구성요소 및 특징
1. 테마파크의 구성요소
2. 테마파크의 특징
1) 수익구조의 특징
2) 사업적 특징
Ⅲ. 테마파크: 디즈니 테마파크
Ⅰ. 테마파크의 개념과 발달
1. 테마파크의 개념
2. 테마파크의 발전과정
3. 테마파크의 입지유형
가) 대도시입지형
나) 지방도시입지형
다) 관광지입지형
라) 저밀도입지형
Ⅱ. 테마파크 구성요소 및 특징
1. 테마파크의 구성요소
2. 테마파크의 특징
1) 수익구조의 특징
2) 사업적 특징
Ⅲ. 테마파크: 디즈니 테마파크
본문내용
나는 모든 고객이 이곳에 있는 동안 현실세계를 탈피하여 같이 놀
라고, 즐기고, 모험하면서 지내기를 바란다."는 뜻을 실현시킨 미국적인 전통과 멋
을 살린 훌륭한 테마파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꿈을 실현시켜주는 '디즈니랜드'는 연간 1,000만 명의 고객이 항시 이용
하고 있다는 것은 30여년간 축적한 Know-how를 최대한 활용하고 있는데서 알 수
있으며, 주제인 'Family Entertainment'를 실현시킨 배경에는 기본정신인 SCSE, 즉
Safe(안전), Show(관람), Courtesy(예의), Effecincy(효율)의 철저한 이행이 뒤따르
고 있는 것이다.
3. 테마파크: 디즈니 테마파크
우리나라는 테마파크에서 '환상, 꿈, 마법' 등의 개발주제와 시설규모, 이용객
수, 세부시설에는 관심을 많지만 도입 컨셉의 전개방법은 소홀히 한다. 디즈니 데
마파크의 출발은 만화영화의 환상과 향수어린 세계를 2차원에서 3차원의 세계로
즉 시각의 세계로부터 체험가능한 세계로 상상력을 확대시켰다. 만화영화의 캐릭
터인 미키마우스는 스타가 되었고, 만화영화의 스토리는 테마파크의 주제가 되어
관광객에게 매력적인 요소가 되었다.
만화영화 제작의 섬세함이 테마파크의 매력물 제작에 반영되었고, 사소한 부분
도 결코 소홀함이 없이 섬세한 작업을 함에 따라 실제 이상 호감을 불러 일으켰
다. 또한 영화의 세계에서 배운 원근법을 써서 연출과 조면, 음향에 의한 효과가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영화나 마찬가지로 기승전결의 이
야기 전개가 명확해 방문객이 자신을 잊고 빠져드는 듯한 흐름을 만들고 있다. 디
즈니 테마파크 성공요인은 대중이 공유하고 있는 향수를 이야기와 상상력으로 표
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미국적인 디즈니파크와 타 대륙지역문화와의 조화여부가 테마파크의 성공을 좌
우하고 있다. 디즈니테마가 일본의 동경디즈니랜드(tokyo disneyland)로 옮겨 와서
입장객수에서 세계 최대의 테마파크로 발전하게된 배경은 일본인의 외래문화에
대한 호기심과 외래문물에 대한 뛰어난 소화 능력에 있다. 일본 외 아시아권에서
의 많은 방문, 그리고 매력물의 섬세성과 내용 전개가 일본의 국민적 취향과 맞았
기 때문에 성공하였던 것이다.
한편 유로디즈니는 숙박시설을 포함하여 1989년 1단계 223억프랑(4,460억엔)이
고, 테마파크유치를 통하여 유럽공동체의 통합에 대비한 리더십을 과시하기 위해
막대한 수준의 정부융자 지원이 있었다. 그러나 유로디즈니의 입장객수는 1995년
현재 1천만 명 수준으로 동경디즈니의 2/3 수준이며, 개장초년도 예상입장객수
(1,170-1,780만 명)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또한 전체이용객 중 프랑스 입장객비율
이 30% 수준이다. 이러한 결과는 옥외 테마파크에 부적합한 기후와 비싼 요금에도
문제가 있지만 프랑스인의 바캉스에 대한 인식과 개인주의적인 사고방식, 그리고
문화대국으로의 자존심이 디즈니랜드의 놀이문화와 부합되지 않은 결과이다.
이처럼 테마파크는 컨셉전개와 주제의 전달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미국과 일본
의 디즈니는 지역문화에 적합한 컨셉의 설정하고 만화영화제작 경험을 통해 체험
한 연출 제작방법이 활용되었지만, 유로디즈니는 컨셉이 프랑스의 문화적 정체
성을 나타내지 못하여 소기의 개발성과를 달성하지 못했던 것이다. 우리의 경우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롯데월드의 '로터와로니, ' 에버랜드의 '킹코와 콜
비'는 우리의 컨셉이 아니다. 지속적인 시설투자로 이용자의 호기심을 계속 유발
하지 않는 한 집객력은 유지되지 않을 것이다.
해외의 테마파크 분석에서 컨셉설정과 표현방법을 아이디어를 탐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라고, 즐기고, 모험하면서 지내기를 바란다."는 뜻을 실현시킨 미국적인 전통과 멋
을 살린 훌륭한 테마파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꿈을 실현시켜주는 '디즈니랜드'는 연간 1,000만 명의 고객이 항시 이용
하고 있다는 것은 30여년간 축적한 Know-how를 최대한 활용하고 있는데서 알 수
있으며, 주제인 'Family Entertainment'를 실현시킨 배경에는 기본정신인 SCSE, 즉
Safe(안전), Show(관람), Courtesy(예의), Effecincy(효율)의 철저한 이행이 뒤따르
고 있는 것이다.
3. 테마파크: 디즈니 테마파크
우리나라는 테마파크에서 '환상, 꿈, 마법' 등의 개발주제와 시설규모, 이용객
수, 세부시설에는 관심을 많지만 도입 컨셉의 전개방법은 소홀히 한다. 디즈니 데
마파크의 출발은 만화영화의 환상과 향수어린 세계를 2차원에서 3차원의 세계로
즉 시각의 세계로부터 체험가능한 세계로 상상력을 확대시켰다. 만화영화의 캐릭
터인 미키마우스는 스타가 되었고, 만화영화의 스토리는 테마파크의 주제가 되어
관광객에게 매력적인 요소가 되었다.
만화영화 제작의 섬세함이 테마파크의 매력물 제작에 반영되었고, 사소한 부분
도 결코 소홀함이 없이 섬세한 작업을 함에 따라 실제 이상 호감을 불러 일으켰
다. 또한 영화의 세계에서 배운 원근법을 써서 연출과 조면, 음향에 의한 효과가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영화나 마찬가지로 기승전결의 이
야기 전개가 명확해 방문객이 자신을 잊고 빠져드는 듯한 흐름을 만들고 있다. 디
즈니 테마파크 성공요인은 대중이 공유하고 있는 향수를 이야기와 상상력으로 표
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미국적인 디즈니파크와 타 대륙지역문화와의 조화여부가 테마파크의 성공을 좌
우하고 있다. 디즈니테마가 일본의 동경디즈니랜드(tokyo disneyland)로 옮겨 와서
입장객수에서 세계 최대의 테마파크로 발전하게된 배경은 일본인의 외래문화에
대한 호기심과 외래문물에 대한 뛰어난 소화 능력에 있다. 일본 외 아시아권에서
의 많은 방문, 그리고 매력물의 섬세성과 내용 전개가 일본의 국민적 취향과 맞았
기 때문에 성공하였던 것이다.
한편 유로디즈니는 숙박시설을 포함하여 1989년 1단계 223억프랑(4,460억엔)이
고, 테마파크유치를 통하여 유럽공동체의 통합에 대비한 리더십을 과시하기 위해
막대한 수준의 정부융자 지원이 있었다. 그러나 유로디즈니의 입장객수는 1995년
현재 1천만 명 수준으로 동경디즈니의 2/3 수준이며, 개장초년도 예상입장객수
(1,170-1,780만 명)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또한 전체이용객 중 프랑스 입장객비율
이 30% 수준이다. 이러한 결과는 옥외 테마파크에 부적합한 기후와 비싼 요금에도
문제가 있지만 프랑스인의 바캉스에 대한 인식과 개인주의적인 사고방식, 그리고
문화대국으로의 자존심이 디즈니랜드의 놀이문화와 부합되지 않은 결과이다.
이처럼 테마파크는 컨셉전개와 주제의 전달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미국과 일본
의 디즈니는 지역문화에 적합한 컨셉의 설정하고 만화영화제작 경험을 통해 체험
한 연출 제작방법이 활용되었지만, 유로디즈니는 컨셉이 프랑스의 문화적 정체
성을 나타내지 못하여 소기의 개발성과를 달성하지 못했던 것이다. 우리의 경우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롯데월드의 '로터와로니, ' 에버랜드의 '킹코와 콜
비'는 우리의 컨셉이 아니다. 지속적인 시설투자로 이용자의 호기심을 계속 유발
하지 않는 한 집객력은 유지되지 않을 것이다.
해외의 테마파크 분석에서 컨셉설정과 표현방법을 아이디어를 탐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