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분장애(Mood Disorders)
Ⅰ 개념과 분류
Ⅱ 역학
Ⅲ 원인
1. 생물학적 원인
2. 정신사회적 원인
Ⅳ 임상양상
1. 조증(mania)
2. 우울증(depression)
3. 흔히 동반되는 양상
4. 경과에 따른 임상양상
Ⅴ 진단
1. 우울증
2. 양극성 장애
3. 추가 진단
4. ICD-10 진단
5. 진단도구
6. 감별진단
Ⅵ 경과 및 예후
Ⅶ 치료
1. 일반적 치료 및 관리
2. 약물치료
3. 정신치료
4. 기타치료
참고문헌
Ⅰ 개념과 분류
Ⅱ 역학
Ⅲ 원인
1. 생물학적 원인
2. 정신사회적 원인
Ⅳ 임상양상
1. 조증(mania)
2. 우울증(depression)
3. 흔히 동반되는 양상
4. 경과에 따른 임상양상
Ⅴ 진단
1. 우울증
2. 양극성 장애
3. 추가 진단
4. ICD-10 진단
5. 진단도구
6. 감별진단
Ⅵ 경과 및 예후
Ⅶ 치료
1. 일반적 치료 및 관리
2. 약물치료
3. 정신치료
4. 기타치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타나는 것이기는 해도 어느 단일한 성격특징이나 유형이 특별히 우울증 과 관계가 있다는 것은 아직 확립되지 않음.
(3) 인지이론(cognitive theory)
① 부정적 자기평가
② 과거 생활경험에 대한 부정적 평가
③ 미래에 대한 비판적인식
(4) 행동이론(behavioral theory)
학습된 무력상태(learned helplessness)로 인해 우울증이 생김.
치료는 자신감과 환경에 대한 극복감을 심어주는 것(보상과 긍정적 재강화로)
Ⅳ 임상양상
1. 조증(mania)
(1) 경조증(hypomania)
가벼운 형태의 조증 상태가 일정 정도 지속되는 상태
감정은 유쾌, 주의주장이 많음. 자기도취, 자기확신, 자기만족, 자신감, 힘, 허세 등이 넘침
목소리가 커지고 말이 빨라지고 최상급의 수식을 사용함. 과장과 강조가 흔함
참을성 없고 지속적인 관심이 없으며 분주함.
타인과의 관계가 대개 피상적
감정의 기복이 갑작스러움.
성에 대해 과다하게 몰두
(2) 조증상태(manic state)
의기양양, 기고만장, 흥분상태가 되고 매사에 속도가 빨라짐.
부와 권력에 관한 과대망상, 종교적 과대망상, 피해망상이 나타남
사고과정에 비약이 많고 연상이 빠름.
사고의 비약, 신어증(neologism), 말비빔(word salad), 음향연상, 지리멸렬(incoherence) 의 장애가 나타남.
자질구레한 장신구, 배지, 메달 따위로 기괴한 몸치장을 하기도 함
대개는 예의범절을 무시
2. 우울증(depression)
(1) 경한 우울증
정서적으로 우울하며 슬픈 느낌을 가짐
생활의 재미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고 직업을 포기하려고 함.
무슨 일이든 쉽게 결정을 못하고 우유부단함.
체중감소, 식욕부진, 소화장애, 변비, 가슴 답답함, 두통, 수명장애, 쇠약상태
(2) 심한 우울증
경한 상태보다 감정적 고통이 훨씬 심함
근육의 힘이 감퇴, 변비, 성적욕구가 감소
수면장애
사고진행에 억제, 말은 느리고 대답은 간단, 대개 단음절이며 목소리가 낮음.
지연성 우울(retarded depression) - 행동은 점차 지연, 억제외어 시작할 때나 수행할 때 매우 느림.
격정성 우울(agitated depression) - 지속적인 불안, 걱정, 긴장, 장래의 위해에 대한 느 낌과 어쩔 줄 몰라 하는 격정과 초조감, 좌불안 등 이 동반된 우울증
무력감, 고립무원감, 분노와 공격의 감정, 죄책감, 자기징벌의 욕구 또는 망상 등의 이유로 자살을 시도하거나 자해하는 수가 있음.
혼수성 우울증이 되면 자발적인 운동행위는 없어지고 외부자극에 대한 최소한의 반응만 하 게 됨.
멜랑콜리아 양상(melancholic features) - 명백한 우울기분, 정신운동지연 또는 격정, 일 찍 잠에서 깸, 오전에 악화, 반응의 감퇴, 쾌락이 없음, 즐거운 자 극에 반응이 없음, 심한 식용 감소와 체중감소, 심한 죄책감 등이 특징이면서 원인적으로 반응성이 아님.
정신병적 양상(psychotic feature) - 자신의 내적 감정을 투사한 결과, 무가치감, 죄책감, 자기비난, 건강염려증, 우울망상(depressive delusion) 등 망상을 나타냄.
비전형적 양상(atypical feature) - 과식과 과수면, 사지의 무거운 마비감, 대인관계에서 거부에 대한 예민성과 그에 따른 심각한 사회적 직업적 장애를 동 반하는 경우
긴장성 양상(catatonic feature) - 강경증(catalepsy), 납굴증(waxy flexibility), 멍하고 (stuporous), 감정이 둔마되고, 극도로 퇴행되고, 거부증 (negativism), 함묵증, 심한 정신운동지체, 괴상한 자세, 상동증, 찡그림 등의 증상
산욕기 발병(postpartum onset) - 출산 후 4주 이내에 발병하는 경우
만성형(chronic) - 장애가 2년 이상 만성적인 경우
가면우울(maked depression) - 우울증상이 연령층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 음.
성인 - 약물남용, 알코올 중독, 도박, 정신신체장애
소아기 - 이별불안, 학교공포증, 애착행동, 행동과잉, 성적 저하
사춘기 - 반사회적 행동, 가출, 무단결석, 알코올남용, 약물남용, 성적 문란, 행동화
노인 - 경제적 장애, 배우자 상실, 신체질병, 사회적 고립 등에 의해 우울증이 잘 나타남
가성치매(pseudodementia) - 주요우울증이 치매와 닮은 인지장애로 나타나는 경우
주로 노인에서 과거 우울증 병력이 있을 때 더 잘 나타남.
갱년기 우울증(involutional depression) - 40~50대 갱년기에 발병하는 것으로 대체로 격 정형 우울증
초조, 격정, 심한 건강염려증, 후회, 죄책감, 절망감, 편집성 경향, 우울망 상이 뚜렷
병전 성격으로 강박적·양심적이며 융통성이 적고 책임감이 강하고 급하고 예민함
소아 우울증 - 성인의 우울증 증상과 같은 소아의 우울증
이중우울증(double depression) - 감정부전장애와 주요우울장애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
3. 흔히 동반되는 양상
불안 - 불안과 우울은 동반되어 나타나는 수가 많음
알코올의존과 물질남용 - 알코올 사용장애가 우울증과 흔히 동반
신체장애 - 우울증은 신체장애를 잘 야기함
4. 경과에 따른 임상양상
계절성 양상 - 기분장애의 발생과 회복이 1년 중 특정 시기와 관련되는 경우
수면과다, 무기력, 탄수화물 갈구에 의한 과식, 체중증가, 정신운동 지연 등이 특징적 증상
급속순환형 - 조증이나 우울증이 1년에 4회 이상 나타난 경우
대체로 여성에 많음.
원인적 요인들로는 스트레스, hyperthymic한 기질, 갑상선 기능저하증, 항우 울제 약물투여, 신경학적 질환 등이 있음.
종적 경과 - 장기적 경과 동안의 예후나 치료효과를 전향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
5. 임상유형
ICD-10 - ① 조증삽화
② 양극성 정동장애
③ 우울증삽화
④ 반복성 우울장애
⑤ 지속성 기분장애
⑥ 기타 기분장애
⑦ 비특정 기분장애
DSM-Ⅳ - 우울장애
주요우울장애
감정부전장애
양극성장애
Ⅰ형 양극성 장애
Ⅱ형 양극성 장애
순환성장애
일차성 우울 - 내인성 우울과 유사한 것으로 외부원인 없이 생물학적인 원인
(3) 인지이론(cognitive theory)
① 부정적 자기평가
② 과거 생활경험에 대한 부정적 평가
③ 미래에 대한 비판적인식
(4) 행동이론(behavioral theory)
학습된 무력상태(learned helplessness)로 인해 우울증이 생김.
치료는 자신감과 환경에 대한 극복감을 심어주는 것(보상과 긍정적 재강화로)
Ⅳ 임상양상
1. 조증(mania)
(1) 경조증(hypomania)
가벼운 형태의 조증 상태가 일정 정도 지속되는 상태
감정은 유쾌, 주의주장이 많음. 자기도취, 자기확신, 자기만족, 자신감, 힘, 허세 등이 넘침
목소리가 커지고 말이 빨라지고 최상급의 수식을 사용함. 과장과 강조가 흔함
참을성 없고 지속적인 관심이 없으며 분주함.
타인과의 관계가 대개 피상적
감정의 기복이 갑작스러움.
성에 대해 과다하게 몰두
(2) 조증상태(manic state)
의기양양, 기고만장, 흥분상태가 되고 매사에 속도가 빨라짐.
부와 권력에 관한 과대망상, 종교적 과대망상, 피해망상이 나타남
사고과정에 비약이 많고 연상이 빠름.
사고의 비약, 신어증(neologism), 말비빔(word salad), 음향연상, 지리멸렬(incoherence) 의 장애가 나타남.
자질구레한 장신구, 배지, 메달 따위로 기괴한 몸치장을 하기도 함
대개는 예의범절을 무시
2. 우울증(depression)
(1) 경한 우울증
정서적으로 우울하며 슬픈 느낌을 가짐
생활의 재미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고 직업을 포기하려고 함.
무슨 일이든 쉽게 결정을 못하고 우유부단함.
체중감소, 식욕부진, 소화장애, 변비, 가슴 답답함, 두통, 수명장애, 쇠약상태
(2) 심한 우울증
경한 상태보다 감정적 고통이 훨씬 심함
근육의 힘이 감퇴, 변비, 성적욕구가 감소
수면장애
사고진행에 억제, 말은 느리고 대답은 간단, 대개 단음절이며 목소리가 낮음.
지연성 우울(retarded depression) - 행동은 점차 지연, 억제외어 시작할 때나 수행할 때 매우 느림.
격정성 우울(agitated depression) - 지속적인 불안, 걱정, 긴장, 장래의 위해에 대한 느 낌과 어쩔 줄 몰라 하는 격정과 초조감, 좌불안 등 이 동반된 우울증
무력감, 고립무원감, 분노와 공격의 감정, 죄책감, 자기징벌의 욕구 또는 망상 등의 이유로 자살을 시도하거나 자해하는 수가 있음.
혼수성 우울증이 되면 자발적인 운동행위는 없어지고 외부자극에 대한 최소한의 반응만 하 게 됨.
멜랑콜리아 양상(melancholic features) - 명백한 우울기분, 정신운동지연 또는 격정, 일 찍 잠에서 깸, 오전에 악화, 반응의 감퇴, 쾌락이 없음, 즐거운 자 극에 반응이 없음, 심한 식용 감소와 체중감소, 심한 죄책감 등이 특징이면서 원인적으로 반응성이 아님.
정신병적 양상(psychotic feature) - 자신의 내적 감정을 투사한 결과, 무가치감, 죄책감, 자기비난, 건강염려증, 우울망상(depressive delusion) 등 망상을 나타냄.
비전형적 양상(atypical feature) - 과식과 과수면, 사지의 무거운 마비감, 대인관계에서 거부에 대한 예민성과 그에 따른 심각한 사회적 직업적 장애를 동 반하는 경우
긴장성 양상(catatonic feature) - 강경증(catalepsy), 납굴증(waxy flexibility), 멍하고 (stuporous), 감정이 둔마되고, 극도로 퇴행되고, 거부증 (negativism), 함묵증, 심한 정신운동지체, 괴상한 자세, 상동증, 찡그림 등의 증상
산욕기 발병(postpartum onset) - 출산 후 4주 이내에 발병하는 경우
만성형(chronic) - 장애가 2년 이상 만성적인 경우
가면우울(maked depression) - 우울증상이 연령층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 음.
성인 - 약물남용, 알코올 중독, 도박, 정신신체장애
소아기 - 이별불안, 학교공포증, 애착행동, 행동과잉, 성적 저하
사춘기 - 반사회적 행동, 가출, 무단결석, 알코올남용, 약물남용, 성적 문란, 행동화
노인 - 경제적 장애, 배우자 상실, 신체질병, 사회적 고립 등에 의해 우울증이 잘 나타남
가성치매(pseudodementia) - 주요우울증이 치매와 닮은 인지장애로 나타나는 경우
주로 노인에서 과거 우울증 병력이 있을 때 더 잘 나타남.
갱년기 우울증(involutional depression) - 40~50대 갱년기에 발병하는 것으로 대체로 격 정형 우울증
초조, 격정, 심한 건강염려증, 후회, 죄책감, 절망감, 편집성 경향, 우울망 상이 뚜렷
병전 성격으로 강박적·양심적이며 융통성이 적고 책임감이 강하고 급하고 예민함
소아 우울증 - 성인의 우울증 증상과 같은 소아의 우울증
이중우울증(double depression) - 감정부전장애와 주요우울장애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
3. 흔히 동반되는 양상
불안 - 불안과 우울은 동반되어 나타나는 수가 많음
알코올의존과 물질남용 - 알코올 사용장애가 우울증과 흔히 동반
신체장애 - 우울증은 신체장애를 잘 야기함
4. 경과에 따른 임상양상
계절성 양상 - 기분장애의 발생과 회복이 1년 중 특정 시기와 관련되는 경우
수면과다, 무기력, 탄수화물 갈구에 의한 과식, 체중증가, 정신운동 지연 등이 특징적 증상
급속순환형 - 조증이나 우울증이 1년에 4회 이상 나타난 경우
대체로 여성에 많음.
원인적 요인들로는 스트레스, hyperthymic한 기질, 갑상선 기능저하증, 항우 울제 약물투여, 신경학적 질환 등이 있음.
종적 경과 - 장기적 경과 동안의 예후나 치료효과를 전향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
5. 임상유형
ICD-10 - ① 조증삽화
② 양극성 정동장애
③ 우울증삽화
④ 반복성 우울장애
⑤ 지속성 기분장애
⑥ 기타 기분장애
⑦ 비특정 기분장애
DSM-Ⅳ - 우울장애
주요우울장애
감정부전장애
양극성장애
Ⅰ형 양극성 장애
Ⅱ형 양극성 장애
순환성장애
일차성 우울 - 내인성 우울과 유사한 것으로 외부원인 없이 생물학적인 원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