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근대무용 개념
Ⅱ. 배구자의 생애 및 예술 활동
1. 배구자의 생애
2. 동양극장에서의 활동
Ⅲ. 배구자의 작품 및 예술성
1. 배구자의 작품
2. 배구자의 예술성
Ⅳ. 배구자가 근대무용에 미친 영향
Ⅱ. 배구자의 생애 및 예술 활동
1. 배구자의 생애
2. 동양극장에서의 활동
Ⅲ. 배구자의 작품 및 예술성
1. 배구자의 작품
2. 배구자의 예술성
Ⅳ. 배구자가 근대무용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년 4월 23일자 중앙일보를 살펴보면 ‘민요곡 아리랑’을 자작한 것은 그 동기부터 우리는 감사하고 싶다 순진한 시골처녀로 분장하여 아리랑의 기분을 무용으로 나타났고 그 얼마는 확실히 성공하였다 하였는데 이는 창작무용으로서 <아리랑>이란 작품의 가치를 분석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민요를 우리의 춤으로 만들었다는 그 사실에 큰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중앙일보,1928.4.23).
배구자는 다시 1929년 6월에 신당리 문화촌에 배구자 무용연구소를 설립하고 음악, 무용, 가극 등의 연구생을 모집한 후 그 해 9월 18일에 영락정중앙관에서 제1회 무용 발표회를 가졌다(정은주,2003).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음악무용연구소를 개설한 후 가진 이 공연은 창작무용과 바이올린 독주, 피아노 독주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당시의 극장사정으로 인해서 서양영화까지 곁들여 공연되었다.
둘째, 무용단의 직업화이다.
홍순언과 결혼 이후 배구자는 서양무용을 이 땅에 소개하는 동시에 전통무용을 개량한다는 목적으로 1929년 6월 <배구자 무용 연구소>를 세우고 연구생을 모집하였는데(중앙일보,1929) 선발 방식에서부터 매우 엄격하였고 선발 요건 제한과 내규 또한 까다롭고 숙식까지 제공하는 형태를 갖추었으니 이는 우리 무용을 기방 예능에서 예술무용으로서의 격상 시키는 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었고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전문적 무용학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배구자의 단체 조직력의 앞선 일면을 엿볼 수 있다.
12명으로 출발한 무용연구소는 기초 교육부터 철저히 하였고 단번에 50여명의 젊은이가 무용연구소를 가득 채웠으며 15세부터 20세까지의 처녀들이 선발대상 이었지만 남성 바이올리스트 안병소도 끼어있었다. 또한 1930년대 이후 무용연구소를 예술연구소로 바꾸고 무용, 노래, 음악, 가무극, 익살극 등으로 분야를 확정하여 레퍼토리를 개발하고 당원을 양성하였다(김시정,2007).
배구자의 지론은 다른 사람의 것을 아는 것은 곧 자기의 것을 살리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발레, 인도 춤, 일본 춤, 아크로바티, 탭댄스, 가무기, 마지막에는 신파극에 이르기까지 모두를 그 길의 대가에게 배우게 했다하니(배한라,1977) 그녀의 무용의 무대화 작업을 위한 춤 교육이 시대에 앞서 얼마나 전문적이고 체계적이었나를 가늠 할 수 있다.
셋째, 극장무용의 확장이다.
당시 조선의 무대예술계는 실질적 경영이나 주도권을 일인들이 가지고 있었고 무대예술이라 할 수 있는 변변한 전문극장 또한 없는 실정이었다. 일본 흥행 수입과 전 재산을 들이고 흥행사의 도움으로 홍순언과 배구자, 최독견 세 명이 주측이 되어 당시 한국 최고를 자랑하는 648석에 호리존트까지 갖춘 동양극장을 세울 수 있었다(박희정,1996).
당시 전속 배우인 황철씨의 증언에 따르면 배구자는 동양극장이 들어서기도 전에 단원들과의 계약 시에 먼저 월급부터 정하였다고 한다. 또 공연시간은 관객이 많던 적던 언제나 예정된 시간을 엄수했으며 단원들의 옷차림이나 품행에도 품위 있고 단정하기를 강조 했다(고설봉,1994).
당시 공무원 월급이 약 30원 이었으나 동양극장의 전속단원 A급은 50원, 그 다음이 45원, 40원 이런 차등으로 월급을 주었다고 전하니 지금의 전문예술단체의 위상에 비하면 놀랄 만한 것이다. 개관공연 이후 동양극장은 전속 연극단을 여러 개 두고 관객 확대를 도모하였다.
한국 최초의 본격적 연극 공연장 동양극장은 주요 멤버 중에 리얼리즘극 신봉자인 연출가 홍해성과 장치가 원우전 등이 있었지만(박희정,1996) 영향력이 컸던 배구자와 최독견, 박진 등의 성향에 의해서 이 땅에 신파극, 즉 대중연극을 토착 할 수 있도록 만든 극장이었다. 이렇듯 동양극장은 무대예술 전용극장으로 총체 예술적인 창작 작품과 더불어 전속 예술단을 운영하며 춤의 대중화 및 민족 춤 운동을 전개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넷째, 가무악의 발달이다.
1931년 1월 28일 인천 지방공연 후 무용, 연극, 음악을 포괄하는 본격 예술단체로 가꿔 나가기 시작했는데 그녀가 구상한 것은 일본의 가무극 단체인 다카라쓰카 소녀 가무단이었고 그렇게 그녀는 소녀들만으로 세미 뮤지컬단을 만들었다.
배구자의 작품 성향을 미약한 근거자료로나마 분석하자면 한국무용, 가무극, 무용극, 민속무용, 발레 등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 모두는 그 시대에 창작되어진 신무용으로 볼 수 있다.
1920년대 후반에 한국무용이 가장 활발하게 안무되어지고 1930년대 초반에는 무용적 요소와 음악, 연극적 요소가 함께 결합하여 구성되어진 가무극이 안무, 공연되어지기 시작하여 193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압도적인 양상을 띠며 오늘날의 뮤지컬이 바로 이 가무악이라 할 수 있는데 배구자는 이처럼 최초로 가무극을 선보였고 많은 작품을 만들어냈다. 그 시대에 누구도 생각지 못했을 무용과 음악, 연극을 한 대 결합해 구성 했다 라는 것만으로도 인정받아야 할 부분이며 또한 배구자의 가무극이 선파극단의 막간극에 절대적 영향을 주었고 악극으로 발전해 가는 하나의 모델이 된 것은 분명하다(전은자,이재연,2005).
참 고 문 헌
<학위논문>
김동미, “배구자가 한국 근대무용사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공주대학교 무용
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13년
김시정, “배구자의 무용사적 위상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 대학원 무용학 석
사학위 논문 , 2007
공영호, “한국 근대무용의 기점과 사조에 관한 연구 - 갑오경장부터 1940년대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김시정, “배구자의 무용사적 위상에 관한 연구”,대구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반주은, “모더니티 관점에서 본 한국의 무용에 나타난 서구 표현양식의 수용에 관 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이 송, “신무용의 역사적 의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인터넷 URL>
네이버 지식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5975&cid=1640&categoryId=1640
배구자는 다시 1929년 6월에 신당리 문화촌에 배구자 무용연구소를 설립하고 음악, 무용, 가극 등의 연구생을 모집한 후 그 해 9월 18일에 영락정중앙관에서 제1회 무용 발표회를 가졌다(정은주,2003).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음악무용연구소를 개설한 후 가진 이 공연은 창작무용과 바이올린 독주, 피아노 독주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당시의 극장사정으로 인해서 서양영화까지 곁들여 공연되었다.
둘째, 무용단의 직업화이다.
홍순언과 결혼 이후 배구자는 서양무용을 이 땅에 소개하는 동시에 전통무용을 개량한다는 목적으로 1929년 6월 <배구자 무용 연구소>를 세우고 연구생을 모집하였는데(중앙일보,1929) 선발 방식에서부터 매우 엄격하였고 선발 요건 제한과 내규 또한 까다롭고 숙식까지 제공하는 형태를 갖추었으니 이는 우리 무용을 기방 예능에서 예술무용으로서의 격상 시키는 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었고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전문적 무용학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배구자의 단체 조직력의 앞선 일면을 엿볼 수 있다.
12명으로 출발한 무용연구소는 기초 교육부터 철저히 하였고 단번에 50여명의 젊은이가 무용연구소를 가득 채웠으며 15세부터 20세까지의 처녀들이 선발대상 이었지만 남성 바이올리스트 안병소도 끼어있었다. 또한 1930년대 이후 무용연구소를 예술연구소로 바꾸고 무용, 노래, 음악, 가무극, 익살극 등으로 분야를 확정하여 레퍼토리를 개발하고 당원을 양성하였다(김시정,2007).
배구자의 지론은 다른 사람의 것을 아는 것은 곧 자기의 것을 살리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발레, 인도 춤, 일본 춤, 아크로바티, 탭댄스, 가무기, 마지막에는 신파극에 이르기까지 모두를 그 길의 대가에게 배우게 했다하니(배한라,1977) 그녀의 무용의 무대화 작업을 위한 춤 교육이 시대에 앞서 얼마나 전문적이고 체계적이었나를 가늠 할 수 있다.
셋째, 극장무용의 확장이다.
당시 조선의 무대예술계는 실질적 경영이나 주도권을 일인들이 가지고 있었고 무대예술이라 할 수 있는 변변한 전문극장 또한 없는 실정이었다. 일본 흥행 수입과 전 재산을 들이고 흥행사의 도움으로 홍순언과 배구자, 최독견 세 명이 주측이 되어 당시 한국 최고를 자랑하는 648석에 호리존트까지 갖춘 동양극장을 세울 수 있었다(박희정,1996).
당시 전속 배우인 황철씨의 증언에 따르면 배구자는 동양극장이 들어서기도 전에 단원들과의 계약 시에 먼저 월급부터 정하였다고 한다. 또 공연시간은 관객이 많던 적던 언제나 예정된 시간을 엄수했으며 단원들의 옷차림이나 품행에도 품위 있고 단정하기를 강조 했다(고설봉,1994).
당시 공무원 월급이 약 30원 이었으나 동양극장의 전속단원 A급은 50원, 그 다음이 45원, 40원 이런 차등으로 월급을 주었다고 전하니 지금의 전문예술단체의 위상에 비하면 놀랄 만한 것이다. 개관공연 이후 동양극장은 전속 연극단을 여러 개 두고 관객 확대를 도모하였다.
한국 최초의 본격적 연극 공연장 동양극장은 주요 멤버 중에 리얼리즘극 신봉자인 연출가 홍해성과 장치가 원우전 등이 있었지만(박희정,1996) 영향력이 컸던 배구자와 최독견, 박진 등의 성향에 의해서 이 땅에 신파극, 즉 대중연극을 토착 할 수 있도록 만든 극장이었다. 이렇듯 동양극장은 무대예술 전용극장으로 총체 예술적인 창작 작품과 더불어 전속 예술단을 운영하며 춤의 대중화 및 민족 춤 운동을 전개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넷째, 가무악의 발달이다.
1931년 1월 28일 인천 지방공연 후 무용, 연극, 음악을 포괄하는 본격 예술단체로 가꿔 나가기 시작했는데 그녀가 구상한 것은 일본의 가무극 단체인 다카라쓰카 소녀 가무단이었고 그렇게 그녀는 소녀들만으로 세미 뮤지컬단을 만들었다.
배구자의 작품 성향을 미약한 근거자료로나마 분석하자면 한국무용, 가무극, 무용극, 민속무용, 발레 등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 모두는 그 시대에 창작되어진 신무용으로 볼 수 있다.
1920년대 후반에 한국무용이 가장 활발하게 안무되어지고 1930년대 초반에는 무용적 요소와 음악, 연극적 요소가 함께 결합하여 구성되어진 가무극이 안무, 공연되어지기 시작하여 193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압도적인 양상을 띠며 오늘날의 뮤지컬이 바로 이 가무악이라 할 수 있는데 배구자는 이처럼 최초로 가무극을 선보였고 많은 작품을 만들어냈다. 그 시대에 누구도 생각지 못했을 무용과 음악, 연극을 한 대 결합해 구성 했다 라는 것만으로도 인정받아야 할 부분이며 또한 배구자의 가무극이 선파극단의 막간극에 절대적 영향을 주었고 악극으로 발전해 가는 하나의 모델이 된 것은 분명하다(전은자,이재연,2005).
참 고 문 헌
<학위논문>
김동미, “배구자가 한국 근대무용사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공주대학교 무용
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13년
김시정, “배구자의 무용사적 위상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 대학원 무용학 석
사학위 논문 , 2007
공영호, “한국 근대무용의 기점과 사조에 관한 연구 - 갑오경장부터 1940년대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김시정, “배구자의 무용사적 위상에 관한 연구”,대구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반주은, “모더니티 관점에서 본 한국의 무용에 나타난 서구 표현양식의 수용에 관 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이 송, “신무용의 역사적 의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인터넷 URL>
네이버 지식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5975&cid=1640&categoryId=164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