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UNDP 개관
1. 개요
2. 조직
(1) 본부조직
(2)지역조직
3. 재정
(1) 수입
(2) 지출
4. 인사
(1) 채용
① 공석공고에 의한 채용
② JPOJunior Professional Officer에 의한 채용
③ LEAD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me에 의한 채용
④ 인턴십
⑤ 봉사자
(2) 급여체계
① 기본급여Base floor salary
② 지역조정급Post adjustment
③ 주택보조금Rental Subsidies
④ 초과근무수당Overtime Allowance
⑤ 특별수당SPA: Special Post Allowance
⑦ 교육보조금Education Grant
⑧ 근무환경 수당Mobility and hardship Allowance
⑨ 교통비Travel Expenses와 출장급여DSA: Daily Subsistence Allowance
⑩ 부임수당Assignment Grant
⑪ 이사비용Removal and Shipment Costs
(3) 휴가제도
(4) 기타수당
5. 주요 사업
(1) UNDP 사업의 궁극적 목적
(2) 새천년(밀레니엄) 선언문
(3) 새천년개발목표 MDGs
(4) 집중 분야
Ⅲ. UNDP 한국대표부
1. 개요 및 조직
2. 재정
3. 사업
Ⅳ. UNDP/GEF 습지보전사업
1. 사업개요
2. 추진경과
3. 주요 사업내용
4. 추진체계
5. UNDP/GEF 습지사업관리단의 기술자문과 면담
6. 소결론
Ⅴ. 나오며
참고 문헌
Ⅱ UNDP 개관
1. 개요
2. 조직
(1) 본부조직
(2)지역조직
3. 재정
(1) 수입
(2) 지출
4. 인사
(1) 채용
① 공석공고에 의한 채용
② JPOJunior Professional Officer에 의한 채용
③ LEAD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me에 의한 채용
④ 인턴십
⑤ 봉사자
(2) 급여체계
① 기본급여Base floor salary
② 지역조정급Post adjustment
③ 주택보조금Rental Subsidies
④ 초과근무수당Overtime Allowance
⑤ 특별수당SPA: Special Post Allowance
⑦ 교육보조금Education Grant
⑧ 근무환경 수당Mobility and hardship Allowance
⑨ 교통비Travel Expenses와 출장급여DSA: Daily Subsistence Allowance
⑩ 부임수당Assignment Grant
⑪ 이사비용Removal and Shipment Costs
(3) 휴가제도
(4) 기타수당
5. 주요 사업
(1) UNDP 사업의 궁극적 목적
(2) 새천년(밀레니엄) 선언문
(3) 새천년개발목표 MDGs
(4) 집중 분야
Ⅲ. UNDP 한국대표부
1. 개요 및 조직
2. 재정
3. 사업
Ⅳ. UNDP/GEF 습지보전사업
1. 사업개요
2. 추진경과
3. 주요 사업내용
4. 추진체계
5. UNDP/GEF 습지사업관리단의 기술자문과 면담
6. 소결론
Ⅴ. 나오며
참고 문헌
본문내용
수요조사』, 과학기술부 동북아기술협력과(과학기술부 공고 제2007-39호), (2007.2)
제7차 한국-UNDP 국가협력사업(2005~08)에서 한국은 짧은 시간에 이루어낸 경제적 성공의 경험을 개도국에 전하고, 과학기술, 빈곤퇴치, 성 차별 철폐 등의 분야에서 UNDP의 MDGs달성을 지원하게 된다. 한국과학재단,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여성개발원,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등이 한국의 UNDP의 사업을 수행하는 데 지적자본과 기술능력을 제공하는 등의 도움을 주고 있다. UNDP 국가별 프로그램-대한민국(2005~08), http://www.undp.org/rbap/Country_Office/CP/CP_ROK.pdf
이 사업은 1,200만 달러를 목표액으로 삼고 있으며, 사업비 부담은 사업 추진기관이 총 사업비의 60~80%를 부담하고 정부 및 기금이 20~40%를 부담한다.
제7차 한국-UNDP 국가협력사업의 사업운영과 관리을 담당하고 있는 과학기술부가 2008년 신규과제 선정을 위해 정해 놓은 2007년 사업 일정은 다음과 같다.
일시
일정
내용
2007.3
2008년도 과제선정을 위한 수요조사 실시
·사업공고 : 과기부 홈페이지 공고, 정부부처/지자체/국립대학/공공기관 공문 발송
2007.4
- 2008년도 신규과제 신청기관의
시업 설명회 개최
·목적 : 신청기관의 사업목표· 내용설명 및 예산확보의지 확인 등
·참석범위 : 과기부, 외교부, UNDP, 신청기관 등
2007.5
2008년도 과제 선정 결과 통보
·사업 신청기관 및 UNDP에 선정 결과 통보
2007.6
선정과제 대상 UNDP사업 설명회 개최
·UNDP Induction Workshop : UNDP사업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정책, 목표 등 교육
2007하반기
2008년도 선정과제의 협약서 작성을 위한 자문
·UNDP 목표, 규정, 예산 배정 등
·개별 사업목표와 UNDP 목표와의 부합성 등
[표12] 2008년 한국-UNDP 국가협력사업 신규과제 선정 일정『한-UNDP 국가사업 신규과제 수요조사』, 과학기술부 동북아기술협력과(과학기술부 공고 제2007-39호), (2007.2)
Ⅳ. UNDP/GEF GEF(Global Environment Facility, 지구환경금융)
1987년 Brundland Commission 보고서에서는 환경보전을 위한 프로젝트 및 전략사업에 자금이 부족함일 지적하였다. 이에 1989년 IMF 및 World Bank 합동개발위원회에서 지구환경문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자금 공급방안을 검토하고, 1991년 3월 World Bank 이사회에서 GEF의 설립을 승인하였다. 우리나라는 1994년 5월 가입하였다. 현재 176개국이 가입되어 있으며 32개 이사국으로 구성된 이사회와 GEF 사무국 등으로 조직되어 있다.
지구온난화방지, 생물다양성보전, 국제수자원보호, 오존층 보호, 사막화 및 산림황폐화 방지사업 등 지국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사업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지원대상은 IBRD/IDA 융자 대상국 및 UNDP 기술지원 수혜국 또는 1인당 GNP 4,465달러 이하의 국가이다. 우리나라는 UNDP 기술지원 수혜국의 자격으로 지원받고 있다. 현재 전세계 39개국을 대상으로 19개 신규과제에 224백만 달러를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습지보전사업
한국과 UNDP간의 국가협력사업을 살펴 본 결과, 너무 개관적인 관찰에 그쳤다. 이에 우리는 2004년부터 한국(환경부)과 UNDP 그리고 GEF가 함께 추진하고 있는 UNDP/GEF 습지보전사업을 집중적으로 사례분석 해보았다. 이를 통해 현재 UNDP가 한국에 갖는 의미와 앞으로의 역할을 생각해 보았다.
1. 사업개요
UNDP/GEF 습지보전사업은 국제기구의 재정 및 기술지원을 통한 국가습지관리체계를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DMZ지역, 낙동강 하구 등 세계적으로 중요한 한국의 습지를 보전하고 나아가 생물다양성보존협약(CBD CBD(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생물다양성보존협약) : 생물종(種)의 멸종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체결된 국제협약
)의 구체적 이행을 위한 것이다.
이 사업은 환경부와 UNDP(GEF승인)간 협약에 의한 공동부담사업이며 사업기간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총 4년간이다. 총사업비는 71억 2600만원이며 이중 환경부는 45억을 부담하고 나머지는 GEF가 부담한다.
구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계
환경부부담
436
1,375
1,783
951
4,545
GEF 부담
384
1,069
621
507
2,581
계
820
2,444
2,404
1,458
7,126
[표13] 연차별 비용 부담 내역 (단위 : 백만원)
2. 추진경과
2001년 9월 환경부산하 국립환경연구원에서 UNDP와 사업승인 및 협약을 체결하고 GEF에서 35만 달러를 지원해 왔다. 이에 한국 습지의 생태적/사회경제적 위해요인 분석 등 기초조사 및 본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GEF 이사회에 제출하여 2003년 11월 승인되었다.
3. 주요 사업내용
(1) 선진기법 도입을 통한 습지관리· 제도 등 습지보전체계 개선
- 국가 및 지역습지위원회 설치 등 습지보전관리· 제도 개선
- 선진기법 도입을 통한 습지보전 기초계획 및 기본계획 수립
(2) 전국 습지조사 및 복원대책 추진
- 선진기법 도입을 통한 DMZ 등 전국 습지조사 사업 추진
- 훼손된 습지의 생태복권기법 개발 및 시범사업 추진
(3) 습지보전 네트워크 및 복원대책 추진
- 국가습지 자원 및 기술정보 DB 사업을 통한 <국가습지인벤토리> 구축
- 동북아시아 등 습지보전· 생물다양성보전 국제 네트워크 참여
- 정기적인 국제회의 개최를 통한 정보 교류 확대
(4) 습지보전 시범사업지의 습지관리체계 개선
- 시범사업지(낙동강유역, 철원평야, 금강유역)에 대한 습지보전
-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전략 개발, 지역역량 개발 및 이해당사자의 참여 활성화
(5) 습지관리자·NGO 대상 교육, 훈련 및 대국민 인식 증진
- 정기적인 워크
제7차 한국-UNDP 국가협력사업(2005~08)에서 한국은 짧은 시간에 이루어낸 경제적 성공의 경험을 개도국에 전하고, 과학기술, 빈곤퇴치, 성 차별 철폐 등의 분야에서 UNDP의 MDGs달성을 지원하게 된다. 한국과학재단,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여성개발원,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등이 한국의 UNDP의 사업을 수행하는 데 지적자본과 기술능력을 제공하는 등의 도움을 주고 있다. UNDP 국가별 프로그램-대한민국(2005~08), http://www.undp.org/rbap/Country_Office/CP/CP_ROK.pdf
이 사업은 1,200만 달러를 목표액으로 삼고 있으며, 사업비 부담은 사업 추진기관이 총 사업비의 60~80%를 부담하고 정부 및 기금이 20~40%를 부담한다.
제7차 한국-UNDP 국가협력사업의 사업운영과 관리을 담당하고 있는 과학기술부가 2008년 신규과제 선정을 위해 정해 놓은 2007년 사업 일정은 다음과 같다.
일시
일정
내용
2007.3
2008년도 과제선정을 위한 수요조사 실시
·사업공고 : 과기부 홈페이지 공고, 정부부처/지자체/국립대학/공공기관 공문 발송
2007.4
- 2008년도 신규과제 신청기관의
시업 설명회 개최
·목적 : 신청기관의 사업목표· 내용설명 및 예산확보의지 확인 등
·참석범위 : 과기부, 외교부, UNDP, 신청기관 등
2007.5
2008년도 과제 선정 결과 통보
·사업 신청기관 및 UNDP에 선정 결과 통보
2007.6
선정과제 대상 UNDP사업 설명회 개최
·UNDP Induction Workshop : UNDP사업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정책, 목표 등 교육
2007하반기
2008년도 선정과제의 협약서 작성을 위한 자문
·UNDP 목표, 규정, 예산 배정 등
·개별 사업목표와 UNDP 목표와의 부합성 등
[표12] 2008년 한국-UNDP 국가협력사업 신규과제 선정 일정『한-UNDP 국가사업 신규과제 수요조사』, 과학기술부 동북아기술협력과(과학기술부 공고 제2007-39호), (2007.2)
Ⅳ. UNDP/GEF GEF(Global Environment Facility, 지구환경금융)
1987년 Brundland Commission 보고서에서는 환경보전을 위한 프로젝트 및 전략사업에 자금이 부족함일 지적하였다. 이에 1989년 IMF 및 World Bank 합동개발위원회에서 지구환경문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자금 공급방안을 검토하고, 1991년 3월 World Bank 이사회에서 GEF의 설립을 승인하였다. 우리나라는 1994년 5월 가입하였다. 현재 176개국이 가입되어 있으며 32개 이사국으로 구성된 이사회와 GEF 사무국 등으로 조직되어 있다.
지구온난화방지, 생물다양성보전, 국제수자원보호, 오존층 보호, 사막화 및 산림황폐화 방지사업 등 지국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사업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지원대상은 IBRD/IDA 융자 대상국 및 UNDP 기술지원 수혜국 또는 1인당 GNP 4,465달러 이하의 국가이다. 우리나라는 UNDP 기술지원 수혜국의 자격으로 지원받고 있다. 현재 전세계 39개국을 대상으로 19개 신규과제에 224백만 달러를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습지보전사업
한국과 UNDP간의 국가협력사업을 살펴 본 결과, 너무 개관적인 관찰에 그쳤다. 이에 우리는 2004년부터 한국(환경부)과 UNDP 그리고 GEF가 함께 추진하고 있는 UNDP/GEF 습지보전사업을 집중적으로 사례분석 해보았다. 이를 통해 현재 UNDP가 한국에 갖는 의미와 앞으로의 역할을 생각해 보았다.
1. 사업개요
UNDP/GEF 습지보전사업은 국제기구의 재정 및 기술지원을 통한 국가습지관리체계를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DMZ지역, 낙동강 하구 등 세계적으로 중요한 한국의 습지를 보전하고 나아가 생물다양성보존협약(CBD CBD(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생물다양성보존협약) : 생물종(種)의 멸종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체결된 국제협약
)의 구체적 이행을 위한 것이다.
이 사업은 환경부와 UNDP(GEF승인)간 협약에 의한 공동부담사업이며 사업기간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총 4년간이다. 총사업비는 71억 2600만원이며 이중 환경부는 45억을 부담하고 나머지는 GEF가 부담한다.
구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계
환경부부담
436
1,375
1,783
951
4,545
GEF 부담
384
1,069
621
507
2,581
계
820
2,444
2,404
1,458
7,126
[표13] 연차별 비용 부담 내역 (단위 : 백만원)
2. 추진경과
2001년 9월 환경부산하 국립환경연구원에서 UNDP와 사업승인 및 협약을 체결하고 GEF에서 35만 달러를 지원해 왔다. 이에 한국 습지의 생태적/사회경제적 위해요인 분석 등 기초조사 및 본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GEF 이사회에 제출하여 2003년 11월 승인되었다.
3. 주요 사업내용
(1) 선진기법 도입을 통한 습지관리· 제도 등 습지보전체계 개선
- 국가 및 지역습지위원회 설치 등 습지보전관리· 제도 개선
- 선진기법 도입을 통한 습지보전 기초계획 및 기본계획 수립
(2) 전국 습지조사 및 복원대책 추진
- 선진기법 도입을 통한 DMZ 등 전국 습지조사 사업 추진
- 훼손된 습지의 생태복권기법 개발 및 시범사업 추진
(3) 습지보전 네트워크 및 복원대책 추진
- 국가습지 자원 및 기술정보 DB 사업을 통한 <국가습지인벤토리> 구축
- 동북아시아 등 습지보전· 생물다양성보전 국제 네트워크 참여
- 정기적인 국제회의 개최를 통한 정보 교류 확대
(4) 습지보전 시범사업지의 습지관리체계 개선
- 시범사업지(낙동강유역, 철원평야, 금강유역)에 대한 습지보전
-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전략 개발, 지역역량 개발 및 이해당사자의 참여 활성화
(5) 습지관리자·NGO 대상 교육, 훈련 및 대국민 인식 증진
- 정기적인 워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