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재기이(企齋記異)
- 500년전의 조선에서 들려주는 재밌고 신기한 이야기 -
기재기이, 조선 시대 전기소설의 뿌리
1. 안빙몽유록
2. 서재야회록
3. 하생기우전
기재기이, 어른들의 동화
- 500년전의 조선에서 들려주는 재밌고 신기한 이야기 -
기재기이, 조선 시대 전기소설의 뿌리
1. 안빙몽유록
2. 서재야회록
3. 하생기우전
기재기이, 어른들의 동화
본문내용
고 한다. 한술 더 떠 요정인지 도깨비인지 분변해보려는 태도는 인간과 물괴, 신이한 존재들과의 경계가 허물어져 있는 것이 느껴진다. 혹은 그 시대의 사람들은 그러한 존재들을 믿었다고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저는 감배씨의 후손입니다. ...
* 선비가 문방사우에게 말씀을 먼저 요청해놓고는 듣고 나서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다. 실제로 4명이 길게 이야기를 하는데 자기들의 조상들이 겪은 억울함에 대한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신광한은 붓, 먹, 종이, 벼루 각각에 얽힌 고사들을 많이 알고 있었고 그것을 소설속에서 의인화되어 나타난 문방사우의 입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선비는 처음에 이해하지 못하였다가 후에 선비가 쓰던 문방사우가 버려져 있는 것을 보고 조상들의 억울함을 말한 것이 곧 자신들의 억울함이었음을 깨닫는다. 어떤 종류의 사물이 의인화되고 그것이 만들어지고부터 관련되어 생긴 이야기가 마치 선조들의 역사를 읊는 것처럼 제시되어 발상의 신선함을 느끼게 한다.
+ <안빙몽유록>에서 사림파와 훈구파의 대립에 대해 비판했다면 여기서는 정치 현실에서 사림이 쫓겨난 점을 확인한다. 왕을 위해 온몸을 다 바쳐 일했지만, 결국은 기묘사화의 화를 입어 권력의 핵심으로부터
“저는 감배씨의 후손입니다. ...
* 선비가 문방사우에게 말씀을 먼저 요청해놓고는 듣고 나서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다. 실제로 4명이 길게 이야기를 하는데 자기들의 조상들이 겪은 억울함에 대한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신광한은 붓, 먹, 종이, 벼루 각각에 얽힌 고사들을 많이 알고 있었고 그것을 소설속에서 의인화되어 나타난 문방사우의 입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선비는 처음에 이해하지 못하였다가 후에 선비가 쓰던 문방사우가 버려져 있는 것을 보고 조상들의 억울함을 말한 것이 곧 자신들의 억울함이었음을 깨닫는다. 어떤 종류의 사물이 의인화되고 그것이 만들어지고부터 관련되어 생긴 이야기가 마치 선조들의 역사를 읊는 것처럼 제시되어 발상의 신선함을 느끼게 한다.
+ <안빙몽유록>에서 사림파와 훈구파의 대립에 대해 비판했다면 여기서는 정치 현실에서 사림이 쫓겨난 점을 확인한다. 왕을 위해 온몸을 다 바쳐 일했지만, 결국은 기묘사화의 화를 입어 권력의 핵심으로부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