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목차
-북한 식생활의 발자취
-북한의 지역별 음식
-남북한 식생활 비교
-체형 격차‘인종’이 달라진다
-북한 식량지원
-북한고위층VS남한고위층 식생활 비교
김일성, 김정일의 식생활
김일성, 김정일의 건강유지 방법
청와대, 그리고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의 식습관
-북한의 생일과 외식문화
-북한의 명절음식과 원수 생일
-북한의 다이어트,미용,건강식품
-북한의 간식류
북한의 간식문화
북한의 간식과 문화적 배경 (과자, 사탕, 아이스크림, 면류, 음료 등 )
북한사회느끼기
-북한의 수출•입 식품
-북한의 지역별 음식
-남북한 식생활 비교
-체형 격차‘인종’이 달라진다
-북한 식량지원
-북한고위층VS남한고위층 식생활 비교
김일성, 김정일의 식생활
김일성, 김정일의 건강유지 방법
청와대, 그리고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의 식습관
-북한의 생일과 외식문화
-북한의 명절음식과 원수 생일
-북한의 다이어트,미용,건강식품
-북한의 간식류
북한의 간식문화
북한의 간식과 문화적 배경 (과자, 사탕, 아이스크림, 면류, 음료 등 )
북한사회느끼기
-북한의 수출•입 식품
본문내용
북한의 식생활에 대한 모든 것
북한 식생활의 발자취
1) 해방 이후 전쟁 시기까지의 식생활
╋━━━━━━━━━━─────────
❖ 낙후된 식민지 농업국
❖ 봉건적 토지소유 관계가 지배적
❖ 농민생활의 궁핍화와 계급분화 촉진
❖ 농업생산력의 정체와 쇠퇴가 거듭
❖ 영세농의 증가 → 방대한 농촌 광잉인구 양산
❖ 해방 → 분단 → 전쟁
: 식량사정이 대단히 경직된 방향으로 흐름
2) 1950년대의 식생활
╋━━━━━━━━━━─────────
❖ 전쟁 이후 북한 농업의 최대 문제점
: 파괴된 농촌시설의 복구와 노동력의 부족
❖ 대규모 관계시설 공사
(저수지 43개 소, 양수장 5백68개 소)
❖ 「식량판매를 국가적 유일체계로 함에 있어서」발표 → 노동자ㆍ사무원에 대한 식량공급이 완전배급제로 전환
❖ 자급자족식의 생활필수품 생산
3) 1960년대의 식생활
╋━━━━━━━━━━─────────
❖ 노동자와 농민의 생활수준 차이, 도시와 농촌주민들의
생활조건 차이를 없애는 과제
❖ 모든 근로자들의 생활을 높이면서 특히 농민들의 수입
증대와 생활조건 개선
❖ 주곡생산 6백만 톤 규모 수준으로
❖ 저장 및 가공 대책, 지역별 교류
❖ 상품공급체계
❖ 경공업체품 생산에서 군의 역할 증대, 지방공업 중시
≪ … 중 략 … ≫
북한 식량지원
북한, 내년 초 식량위기
╋━━━━━━━━━━─────────
≪ 사 진 ≫ ≪ 사 진 ≫
- 올해 10월 북한 향산의 한 보육원에서 아이들이 세계식량기구(WFP)가 제공한 점심을 먹고 있다.
북한, 내년 초 식량위기
╋━━━━━━━━━━─────────
<2005년과 2006년의 북한 식량 지원량>
≪ 그 래 프 ≫
북한, 내년 초 식량위기
╋━━━━━━━━━━─────────
❖ 추정되는 식량부족분 80~90만 톤
-> 부족분을 메우지 못하면 제2의 ‘고난의 행군’이 올 수도
❖ ‘고난의 행군’
90년대 후반 심각했던 북한의 식량난을 일컷는 말
- 아사자 22만 명
- 기아관련 사망 100만~350만 명
≪ … 중 략 … ≫
북한의 생일과 외식문화
북한과 남한의 생일상 문화
╋━━━━━━━━━━─────────
❖ 북한에서도 생일이나 회갑 등의 풍습은 잘 지켜지고 있다.
❖ 북한에서는 양력생일을 챙긴다. (주로 떡, 쌀밥 한 끼)
❖ 대부분 아이들의 돌잔치 - 탁아소에서 공동으로 치러진다
❖ 당에서 주는 생일상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 하사품은 당 고위 간부 또는 각 분야에서 모범 호칭을 받은 사람에게 지급
(옷감, 또는 와이셔츠)
❖ 회갑 잔치는 제한되다가 최근에 와서 이를 묵인됨
북한 식생활의 발자취
1) 해방 이후 전쟁 시기까지의 식생활
╋━━━━━━━━━━─────────
❖ 낙후된 식민지 농업국
❖ 봉건적 토지소유 관계가 지배적
❖ 농민생활의 궁핍화와 계급분화 촉진
❖ 농업생산력의 정체와 쇠퇴가 거듭
❖ 영세농의 증가 → 방대한 농촌 광잉인구 양산
❖ 해방 → 분단 → 전쟁
: 식량사정이 대단히 경직된 방향으로 흐름
2) 1950년대의 식생활
╋━━━━━━━━━━─────────
❖ 전쟁 이후 북한 농업의 최대 문제점
: 파괴된 농촌시설의 복구와 노동력의 부족
❖ 대규모 관계시설 공사
(저수지 43개 소, 양수장 5백68개 소)
❖ 「식량판매를 국가적 유일체계로 함에 있어서」발표 → 노동자ㆍ사무원에 대한 식량공급이 완전배급제로 전환
❖ 자급자족식의 생활필수품 생산
3) 1960년대의 식생활
╋━━━━━━━━━━─────────
❖ 노동자와 농민의 생활수준 차이, 도시와 농촌주민들의
생활조건 차이를 없애는 과제
❖ 모든 근로자들의 생활을 높이면서 특히 농민들의 수입
증대와 생활조건 개선
❖ 주곡생산 6백만 톤 규모 수준으로
❖ 저장 및 가공 대책, 지역별 교류
❖ 상품공급체계
❖ 경공업체품 생산에서 군의 역할 증대, 지방공업 중시
≪ … 중 략 … ≫
북한 식량지원
북한, 내년 초 식량위기
╋━━━━━━━━━━─────────
≪ 사 진 ≫ ≪ 사 진 ≫
- 올해 10월 북한 향산의 한 보육원에서 아이들이 세계식량기구(WFP)가 제공한 점심을 먹고 있다.
북한, 내년 초 식량위기
╋━━━━━━━━━━─────────
<2005년과 2006년의 북한 식량 지원량>
≪ 그 래 프 ≫
북한, 내년 초 식량위기
╋━━━━━━━━━━─────────
❖ 추정되는 식량부족분 80~90만 톤
-> 부족분을 메우지 못하면 제2의 ‘고난의 행군’이 올 수도
❖ ‘고난의 행군’
90년대 후반 심각했던 북한의 식량난을 일컷는 말
- 아사자 22만 명
- 기아관련 사망 100만~350만 명
≪ … 중 략 … ≫
북한의 생일과 외식문화
북한과 남한의 생일상 문화
╋━━━━━━━━━━─────────
❖ 북한에서도 생일이나 회갑 등의 풍습은 잘 지켜지고 있다.
❖ 북한에서는 양력생일을 챙긴다. (주로 떡, 쌀밥 한 끼)
❖ 대부분 아이들의 돌잔치 - 탁아소에서 공동으로 치러진다
❖ 당에서 주는 생일상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 하사품은 당 고위 간부 또는 각 분야에서 모범 호칭을 받은 사람에게 지급
(옷감, 또는 와이셔츠)
❖ 회갑 잔치는 제한되다가 최근에 와서 이를 묵인됨
추천자료
북한의 의식주 생활(문화)
고전 문화유산으로서의 판소리에 대한 북한의 인식태도에 대해 분석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
북한의 청소년 문화
북한 청소년 문화에 대하여
북한의 언어와 문화
북한의 인터넷 문화와 한류열풍
[명절][명절의 유래][명절놀이][북한의 명절][미국의 명절][일본의 명절][한국의 명절]명절의...
[창작교육][사대부교육][미디어교육][참교육][문화교육][문학교육][북한교육]창작교육의 이념...
북한의 의식주 특징, 의생활, 식생활, 주거생활, 가정생활, 역할, 유래, 특징, 현황, 관리, ...
[A+]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식생활 비교 고려시대 생활상 외래문화영향 고기음식 김치 ...
북한의 이성교제 및 결혼문화.ppt
북한의 대중교통 및 교통문화에 대한 발표 보고서 (지하철, 전차, 택시, 버스, 기차, 자전거,...
[다문화多文化 복지 방안] 한국 다문화 현황, 중도입국자 복지, 북한 일탈주민의 현황, 한국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