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폭한 행동을 하는 아동(행동수정사례연구,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행동수정의 실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난폭한 행동을 하는 아동(행동수정사례연구,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행동수정의 실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난폭한 행동의 이해
1) 난폭한 행동이란?
2) 난폭한 행동을 하는 아이의 특징
3) 난폭한 행동의 원인
4) 개선 및 지도
2. 행동수정
1) 행동수정이란?
(1) 행동수정의 정의
(2) 행동주의 이론
2) 행동수정의 절차
(1) 행동의 특성 규정
(2) 행동의 관찰 및 기록
(3) 달성 가능한 지도목표의 설정
(4) 가능한 보상의 설정
(5) 행동지도 절차의 설정
(6) 시행절차의 재점검 및 연습
(7) 시행계획
(8) 결과의 점검
(9) 변화된 행동의 유지 계획

Ⅲ. 행동수정의 실제
1. 대상아동의 특성
2. 발달사항
3. 대상 아동의 문제 행동 특징
4. 관찰 일시 및 관찰 방법

본문내용

미안해”라고 말했다. 그러고는 현지(동생)를 일으켜 주었다. 현지(동생)엉덩이에 묻은 흙을 소은이가 털어주었다.
3
4월 24일
(pm.4~6)
4회
관찰자가 소은이와 현지(동생)에게 “우리 자동차 가지고 놀까?”라고 물었다. 소은이가 “네!”라고 답했다. 그리고는 장난감 통으로 갔다. 장난감 통을 가져왔다. 장난감통에서 자동차를 꺼냈다. “이건 내꺼 이건 현지꺼”라고 말했다.
4
4월 25일
(pm.5~7)
2회
소은이와 현지(동생)가 で흙 놀이를 했다. 엄마가 “이제 で흙놀이 그만하고 정리하자”라고 말했다. 관찰자가 “소은이하고 현지 손씻고 오자”라고 말했다. 소은이는 고개를 끄덕였다. 그리고는 화장실로 갔다. 소은이는 먼저 손을 씻었다. 현지(동생)가 손을 씻는걸 보았다. 그러더니 “현지야 언니가 씻겨줄까?”라고 말했다. 그러고는 현지(동생)의 손을 직접 씻겨주었다.
5
4월 26일
(pm.3~5)
2회
소은이가 책을 읽고 있었다. 현지(동생)가 책을 만지작 만지작 거렸다. 소은이가 현지(동생)의 모습을 보았다. 그러고는 자리에서 일어나 현지(동생)에게 다가갔다. “현지야 언니가 책 읽어 줄게”라고 말했다. 현지(동생)를 옆에 앉혔다. 그리고 책을 읽어 주었다.
평균
3.4회
16÷5=3.4
반전단계를 통하여 강화단계에서 사용하였던 강화방법이 입증 되었기에 동일한 강화방법을 이용해 재강화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재강화단계에서는 5일 동안 5회 → 3회 → 4회 → 2회 → 2회로 점차 횟수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으며 5일 동안의 평균횟수는 3.4회로 관찰 되었다.
10. 결과의 점검
위 그래프와 같이 기초선 단계에서는 난폭한 행동이 평균적으로 7.6회 나타났다. 강화단계에서 사회적 강화와 물질적 강화를 준 결과 평균행동이 4.8회로 줄었으며 난폭한 행동이 점차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다음 강화를 주지 않는 반전 단계에서는 난폭한 행동이 점차 증가 하여 평균 6.25로 늘어났다. 이것은 강화단계에서 사용한 강화방법이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재강화단계에서 동일한 강화방법을 사용한 결과 평균 3.4라는 횟수가 나오게 되었다. 행동수정 목표를 4회 이하로 줄이는 것으로 정하였으므로 행동수정 연구의 결과는 성공했다 볼 수 있다.
Ⅳ. 결론
지금까지 난폭한 행동을 하는 아이의 문제행동과 행동수정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대상아동의 난폭한 행동의 횟수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여러 가지 행동수정기법을 활용하여 난폭한 행동을 수정해 보았다. 그 결과 기초선 단계에서 7.6회라는 평균 횟수가 나왔으나 칭찬 스티커의 활용의 물질적 강화와 칭찬하기, 안아주기 등의 사회적 강화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평균 횟수가 4.8회로 절반정도로 횟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때문에 동일한 방법으로 재강화를 하였으며 평균 횟수 3.4회로 행동수정의 결과는 성공이라 하겠다. 이러한 성공의 요인으로 몇 가지를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아이의 잘못을 지적하기 보다는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는 것이다.
아이가 동생에게 난폭한 행동을 가했을 때 아이에게 “동생에게 그러는 것은 너가 잘못한거야!”, “동생을 아껴 줘야해!”등의 아이의 잘못을 지적하고 혼내기 보다는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해 주고 읽어 주도록 하였다.
둘째, 아이에게 적절한 강화물의 제시한 것이라 하겠다.
물질적 강화물인 칭찬스티커는 아이가 평소에 좋아하는 캐릭터로 된 것으로 즉각적으로 강화를 해주어서 바로 그 자리에서 칭찬과 함께 스티커를 붙이게 하여 아이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부모님의 적극적인 협조이다.
부모님이 아이의 행동을 고치겠다는 강한 의지로 강화단계 및 재강화단계에서 관찰자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여 관찰자가 아이를 관찰하는 시간 이외에도 부모님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로 인하여 목표에 도달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아동행동 연구 및 관찰평가 - 전남련김재환이혜배. 창지사. 2007
2) 행동수정사례 연구 보고서 - 오산대학 아동보육과 이상미. 2010
3) 네이버 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33&contents_id=5513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33&contents_id=5542
4)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22&docId=384304&mobile&
categoryId=1225
5) 네이버 통합 검색
-http://cookiehouse-blog.kr/110154596705
부록
1) 칭찬 스티커 판
2) 물질적 강화물 (스티커)
3) 체크리스트
느낀점
처음에 과제를 받고 정말 막막했었다. 난폭한 행동을 하는 아이를 어디서 찾아야 되나 라는 생각에 고민을 많이 했었다. 주변에 아이가 있는 사람들에게 전화해 어렵게 아이를 구했는데 아이를 구했을 때는 정말 말로 할 수 없는 기쁨이었다. 그때는 과제를 끝낸 거 같은 만큼의 기분으로 과제를 시작하게 되었다. 매일 가서 아이를 봐야 하는 어려움과 힘듦이 있었지만 아이를 보러 가면 힘들게 눈 녹듯이 사라지고 아이를 관찰하는 시간이 너무 즐거웠다. 학교와 동아리 때문에 주로 늦은 시간에 방문을 많이 했는데 싫은 기색 하나 없이 한달 정도를 도와주셔서 너무 감사하다. 너무나 협조를 잘 해주시고 아이를 고치고 싶으시다는 의지도 강하여서 내가 없을 때도 제시한 방법에 따라 열심히 노력해 주셨다. 여러 가지 일로 인해서 연달아 방문을 못하고 중간 중간에 텀이 있었는데 있었던 일이나 내가 꼭 알아야 할 것들에 대해서 먼저 세심히 알려주셔서 감사했다. 처음에는 멘붕을 안겨준 과제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를 관찰하고 행동을 수정하는 것에 재미를 느끼게 되었고 아이가 목표치에 도달했을 때 정말 말로 표현할 수 없이 기뻤다.
이 과제로 인해서 한 발짝 미래의 보육교사로서의 성장이 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된 거 같고 아이의 행동을 유심히 지켜보는 관찰력도 많이 생긴 거 같다. 과제를 마친 지금 너무 뿌듯하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4.04.30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58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