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신분석적 상담의 기본개념 · · · · · · 1
2. 정신분석적 상담 성격의 구조 · · · · · · 1
3. 정신분석적 상담성격의 발달 · · · · · · 1
4. 불안과 방어기제 · · · · · · · · 3
5. 정신분석적 상담 · · · · · · · · 4
6. 정신분석적 상담의 특징 · · · · · · · 5
7. 정신분석적 상담의 공헌점 · · · · · · 6
8. 정신분석적 상담의 비판점 · · · · · · 6
9. 사례
*참고문헌
2. 정신분석적 상담 성격의 구조 · · · · · · 1
3. 정신분석적 상담성격의 발달 · · · · · · 1
4. 불안과 방어기제 · · · · · · · · 3
5. 정신분석적 상담 · · · · · · · · 4
6. 정신분석적 상담의 특징 · · · · · · · 5
7. 정신분석적 상담의 공헌점 · · · · · · 6
8. 정신분석적 상담의 비판점 · · · · · · 6
9.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속에 떠오르는 것을 모두 이야기하게 하는 것으로 무의식을 끌어내기 위한 방법
* 전이(transference)
-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자신의 감정과 사고를 몰입함으로써 문제를 드러내게 되는 것. 주로 주요인물에 대한 감정을 상담자에게 옮겨서 드러내는 것
* 저항(resistance)
- 자신의 갈등을 의식화하기 꺼려서 나타내는 여러 행동
* 훈습(working through)
- 통찰 후 자신의 심리적 갈등을 깨달아 실생활에서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수정하고 적응방법을 실행해나가는 과정
* 꿈의 분석
- 꿈(수면 중에는 ego의 기능이 약해져 내면적 감정이 표출된다)의 내용 속에 잠재된 상징적 의미를 찾아낸다.
* 해석(interpretation)
- 상담자가 저항을 해석해 주고 연상을 통해서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도와줌으로써 자유연상을 촉진시킨다.
* 최면술(hypnosis)
- 성인이 부적응 행동을 하여도 그 원인은 아동기에 있다고 보고, 최면술을 걸어 그때의 경험에 도달하게 하는 방법이다.
6. 정신분석적 상담의 특징
(1) 부적응 행동을 무의식적 원인으로 본다.
(2) 부적응 행동을 억압의 증거로 본다.
(3) 통제적 관찰이나 실험적 연구가 아닌 임상적 관찰로부터 부적응 원인을 끌어낸다.
(4) 부적응 행동의 치료는 과거의 생활사적인 기초에 입각한다.
(5) 치료는 근원적인 동기, 즉 무의식적인 것을 통제함으로써 가능하다.
(6) 자유연상, 꿈의 해석 등이 중요한 치료의 수단이다.
(7) 내담자의 과거에 있었던 인간관계의 전이현상이 치료의 핵심과정이다.
(8) 내담자의 저항현상도 치료의 과정으로 본다.
7. 정신분석적 상담의 공헌점
(1) 어떤 욕구나 동기에 의해 인간의 사고나 행동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2) personality에 의해 최초의 이론을 수립하였다.
(3) 아동양육에 대한 실제적 제언을 해주었다.
(4) 치료방법으로 면접법을 확립하여 해석저항전이 등의 역할을 밝혔다.
(5) 일관성 있는 심리치료 체제를 발전시켰다.
8. 정신분석적 상담의 비판점
(1) 인간의 행동에서 본능을 너무 강조하였다.
(2) 아동기의 경험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인간행동은 개인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어떤 힘에 의해 지배된다는 인상을 주었다.
(3) 인간의 합리성을 지나치게 경시하였다.
(4) 추리적인 치료법에 의존하였다.
(5) 아직까지 연구 자료에 의하면 정신분석에 의한 치료효과나 증거가 없다.
* 전이(transference)
-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자신의 감정과 사고를 몰입함으로써 문제를 드러내게 되는 것. 주로 주요인물에 대한 감정을 상담자에게 옮겨서 드러내는 것
* 저항(resistance)
- 자신의 갈등을 의식화하기 꺼려서 나타내는 여러 행동
* 훈습(working through)
- 통찰 후 자신의 심리적 갈등을 깨달아 실생활에서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수정하고 적응방법을 실행해나가는 과정
* 꿈의 분석
- 꿈(수면 중에는 ego의 기능이 약해져 내면적 감정이 표출된다)의 내용 속에 잠재된 상징적 의미를 찾아낸다.
* 해석(interpretation)
- 상담자가 저항을 해석해 주고 연상을 통해서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도와줌으로써 자유연상을 촉진시킨다.
* 최면술(hypnosis)
- 성인이 부적응 행동을 하여도 그 원인은 아동기에 있다고 보고, 최면술을 걸어 그때의 경험에 도달하게 하는 방법이다.
6. 정신분석적 상담의 특징
(1) 부적응 행동을 무의식적 원인으로 본다.
(2) 부적응 행동을 억압의 증거로 본다.
(3) 통제적 관찰이나 실험적 연구가 아닌 임상적 관찰로부터 부적응 원인을 끌어낸다.
(4) 부적응 행동의 치료는 과거의 생활사적인 기초에 입각한다.
(5) 치료는 근원적인 동기, 즉 무의식적인 것을 통제함으로써 가능하다.
(6) 자유연상, 꿈의 해석 등이 중요한 치료의 수단이다.
(7) 내담자의 과거에 있었던 인간관계의 전이현상이 치료의 핵심과정이다.
(8) 내담자의 저항현상도 치료의 과정으로 본다.
7. 정신분석적 상담의 공헌점
(1) 어떤 욕구나 동기에 의해 인간의 사고나 행동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2) personality에 의해 최초의 이론을 수립하였다.
(3) 아동양육에 대한 실제적 제언을 해주었다.
(4) 치료방법으로 면접법을 확립하여 해석저항전이 등의 역할을 밝혔다.
(5) 일관성 있는 심리치료 체제를 발전시켰다.
8. 정신분석적 상담의 비판점
(1) 인간의 행동에서 본능을 너무 강조하였다.
(2) 아동기의 경험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인간행동은 개인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어떤 힘에 의해 지배된다는 인상을 주었다.
(3) 인간의 합리성을 지나치게 경시하였다.
(4) 추리적인 치료법에 의존하였다.
(5) 아직까지 연구 자료에 의하면 정신분석에 의한 치료효과나 증거가 없다.
추천자료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상담이론과실제(정신분석적 측면의 상담)
2011년 1학기 상담이론및실제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인간중심적,정신분석적,게슈탈트상담이론)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성격과 주요용어,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기본내용과 ...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정신분석적 인간이해와 심리적 문제에 대한 이해 및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정신분석이론의 전제와 주요 개념을 설명한 뒤, 이 이론이 가족상담 및 치료 영역에서 갖는 ...
2014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상담이론 비교)
2015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상담이론 비교)
2015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상담이론 비교)
가족상담및치료4공통) 정신분석이론의 전제와 주요 개념을 설명한 뒤, 이 이론이 가족상담 및...
2018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 인간중심, 게슈탈트 상담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