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노인종합복지관의 문헌 고찰
1. 우리나라 노인종합복지관의 문헌고찰
1) 노인종합복지관의 개념정의
2) 노인종합복지관의 기능 및 역할
3) 노인종합복지관의 이용자 만족도
4) 노인종합복지관의 발전방향
2. 해외 노인종합복지관(Senior Center)의 문헌고찰
Ⅲ. 노인복지관의 현황 및 실태
1. 노인종합복지관의 복지관련 제도
2. 노인종합복지관의 현황분석
3. 마포노인종합복지관
Ⅳ. 해결방안 및 실천전략
Ⅴ. 결론 및 함의
1. 노인종합복지관 거시적 측면의 문제 해결
2. 노인종합복지관 중범위적 측면의 문제 해결
3. 노인종합복지관 미시적 측면의 문제 해결
Ⅵ. 개인 견해 및 느낌
Ⅶ. 참고문헌
Ⅷ. 학술논문 초록
Ⅱ. 노인종합복지관의 문헌 고찰
1. 우리나라 노인종합복지관의 문헌고찰
1) 노인종합복지관의 개념정의
2) 노인종합복지관의 기능 및 역할
3) 노인종합복지관의 이용자 만족도
4) 노인종합복지관의 발전방향
2. 해외 노인종합복지관(Senior Center)의 문헌고찰
Ⅲ. 노인복지관의 현황 및 실태
1. 노인종합복지관의 복지관련 제도
2. 노인종합복지관의 현황분석
3. 마포노인종합복지관
Ⅳ. 해결방안 및 실천전략
Ⅴ. 결론 및 함의
1. 노인종합복지관 거시적 측면의 문제 해결
2. 노인종합복지관 중범위적 측면의 문제 해결
3. 노인종합복지관 미시적 측면의 문제 해결
Ⅵ. 개인 견해 및 느낌
Ⅶ. 참고문헌
Ⅷ. 학술논문 초록
본문내용
적으로 가지고 있다. 노인복지법과 보건복지부 지침 등에서 시설기준으로 규정하고 있는 공간은 8곳(상담실, 강당, 프로그램실, 식당.조리실, 물리치료실, 사무실, 화장실, 비상재해대비시시설)에 불과하지만, 실제 공간 구획은 최대 30여개에 달하고 있다. 이 같은 공간 구성 현황을 통해서도 노인복지관이 상당히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인복지관 이용자의 인구학적 특성은 각 항목별 구성비율로 조사하였다. 노인복지관 이용자는 여성이 평균 56.9%로 과반수이며, 연령대별로는 70대가 45.6%로 절반에 가까운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60대의 비율(31.7%)이 높았다. 여기에 50대(2.5%)가 포함된 이유는 55세 이상부터 이용가능한 고령자취업알선센터 등록인원 때문이다. 경제적 수준과 관련된 수급권자 여부에 관한 내용에서는 수급자가 7.0%로 나타났다. 학력수준에서 가장 높은 비율은 고졸로 26.3%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높은 비율은 초등학교 졸업자로 25.6%에 달하였고, 대졸자는 16.0%였다.
서울시 노인복지관 인력은 서울시 내부규정에 따르면 23명으로 정해져 있으나 실제로는 30개 기관 총 869명, 기관당 평균 29명이 일하고 있다. 종사자 평균 연령 36.3세, 복지경력 68개월(5년 8개월), 근무기간 47개월(3년 11개월)로 나타났다. 현재 직위가 일반사회복지사인 경우는 총 336명으로 전체 종사자 중 38.7%이며 기관별로는 평균 11.2명에 해당된다. 최고관리자 직위는 기관당 2.1명(관장.부관장.부장), 중간관리자(과장,팀장과 대리.선임)는 5.3명 정도 된다. 학력면에서는 대학교 졸업자가 58.2%로 가장 많앗고, 대학원 재학중이거나 졸업자는 18.5%에 이르렀다. 종사자 869명은 대두분 정규직(89.0%)에 속하나 비정규직이 11.0%로 96명이며, 기관별로는 평균 3.2명이 비정규직으로 근무 중이다. 노인복지관 종사자가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은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이다.
담당업무별로 종사자 인원의 빈도 및 비율을 보면 전체의 37.7%(328명)이 기본사업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별도보조금 사업(27.7%), 간접서비스(20.4%)가 그 다음 순위를 각각 차지하며, 기타사업(3.0%)의 인력배치는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인력구성비율이 가장 높은 업무는 행정지원업무로써 전체 종사자의 15.7%가 관련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는 총무, 회계 담당인원 이외에 운전기사, 관리기사, 시설관리자 등을 포함하며, 기관별로는 4.5명에 해당한다. 다음으로는 복리후생사업으로 영양사, 조리사, 취사원등을 포함하여 10.5%의 인력이 배치되고(기관당 3.0명),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이 주로 활동하는 기능회복사업은 전체 9.3%의 인력으로 기관별로 2.7명이 이 업무를 담당한다. 그 다음은 사회교육사업으로 7.6%의 종사자, 기관당 2.2명의 종사자가 이 업무를 담당하며, 노인복지관의 기본사업의 재가복지사업과 별도보조금사업에 해당한느 노인일자리, 경로당활성화, 취업알선센터등은 각각 6%대로 기관당 2명 정도의 인력이 담당하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사회 자원봉사자. 후원자 등 자원개발 및 관리는 각 기관당 적어도 1명의 담당자가 배치되어 있다.
<표2-3>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 기술통계
변수
구분
항목구분
빈도
(명)
비율
(%)
기관평균(명)
변수
구분
항목
구분
빈도
(명)
비율
(%)
기관평균(명)
연령대
min=22
max=85
meen=36.29
S.D=11.05
missing=34
20대초반
48
5.7
1.6
자격
사항
사회복지사1급
484
56.7
16.1
20대후반
228
27.3
7.6
사회복지사2.3급
103
11.9
3.4
30대초반
184
22.0
6.1
기타
248
28.5
4.9
30대후반
122
14.6
4.1
없음
34
3.9
1.1
40대초반
80
9.6
2.7
합계
869
100.0
29.0
40대후반
53
6.3
1.8
고용
형태
정규직
773
89.0
25.8
50대이상
120
14.4
3.9
비정규직
96
11.0
3.2
합계
835
100.0
27.8
합계
859
100.0
29.0
현재
직위
최고관리자
63
7.2
2.1
최종
학력
고줄이하
109
12.5
3.6
중간관리자
158
18.2
5.3
전문대졸업
65
7.5
2.2
사회복지사
336
38.7
11.2
대학교재학중
23
2.6
0.8
기능회복 관련인력
82
9.4
2.7
대학교졸업
506
56.2
16.9
급식사업 관련인력
89
10.2
3.0
대학원 재학.졸업
161
18.5
5.4
행벙지원.기타인력
141
16.2
4.7
무응답
5
0.6
0.2
합계
869
100.0
29.0
합계
869
100.0
29.0
복지
기관
전체
경력
min=0
max=480
meen=67.95
S.D=59.97
missing=4
1년이하
134
15.4
4.5
현재
기관
근무
기관
min=0
max=245
meen=47.36
S.D=44.48
missing=1
1년
이하
209
24.2
7.0
1년이상 3년미만
185
21.3
6.2
1년이상 3년미만
244
28.2
8.1
3년이상 5년미만
159
18.3
5.3
3년이상5년미만
160
18.5
5.3
5년이상 7년미만
107
12.3
3.6
5년이상7년미만
72
8.3
2.4
7년이상 9년미만
90
10.4
3.0
7년이상 9년미만
74
8.6
2.5
9년이상 11미만
58
6.7
1.9
9년이상 11년
미만
35
4.0
1.2
11이상
135
15.6
4.5
11년
이상
71
8.1
2.4
합계
868
100.0
28.9
합계
865
100.0
28.8
<표2-4> 사업별 종사자 구성현황
사업
범주
빈도(명)
비율
(%)
기관
평균
(명)
사업명
사업내용
빈도(명)
비율(%)
기관
평균
(명)
기본
사업
328
37.7
10.9
상담사업
접수이용상담.정보제공.전문상담.집단상담.은퇴준비.죽음준비.자살예방
35
4.0
1.2
상회교육
평생교육 취미여가.문화활동.교양강좌.운동프로그래.동아리.클럽활동
66
7.6
2.2
재가복지
가정봉사원파견.사례관리.결연.
노인복지관 이용자의 인구학적 특성은 각 항목별 구성비율로 조사하였다. 노인복지관 이용자는 여성이 평균 56.9%로 과반수이며, 연령대별로는 70대가 45.6%로 절반에 가까운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60대의 비율(31.7%)이 높았다. 여기에 50대(2.5%)가 포함된 이유는 55세 이상부터 이용가능한 고령자취업알선센터 등록인원 때문이다. 경제적 수준과 관련된 수급권자 여부에 관한 내용에서는 수급자가 7.0%로 나타났다. 학력수준에서 가장 높은 비율은 고졸로 26.3%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높은 비율은 초등학교 졸업자로 25.6%에 달하였고, 대졸자는 16.0%였다.
서울시 노인복지관 인력은 서울시 내부규정에 따르면 23명으로 정해져 있으나 실제로는 30개 기관 총 869명, 기관당 평균 29명이 일하고 있다. 종사자 평균 연령 36.3세, 복지경력 68개월(5년 8개월), 근무기간 47개월(3년 11개월)로 나타났다. 현재 직위가 일반사회복지사인 경우는 총 336명으로 전체 종사자 중 38.7%이며 기관별로는 평균 11.2명에 해당된다. 최고관리자 직위는 기관당 2.1명(관장.부관장.부장), 중간관리자(과장,팀장과 대리.선임)는 5.3명 정도 된다. 학력면에서는 대학교 졸업자가 58.2%로 가장 많앗고, 대학원 재학중이거나 졸업자는 18.5%에 이르렀다. 종사자 869명은 대두분 정규직(89.0%)에 속하나 비정규직이 11.0%로 96명이며, 기관별로는 평균 3.2명이 비정규직으로 근무 중이다. 노인복지관 종사자가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은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이다.
담당업무별로 종사자 인원의 빈도 및 비율을 보면 전체의 37.7%(328명)이 기본사업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별도보조금 사업(27.7%), 간접서비스(20.4%)가 그 다음 순위를 각각 차지하며, 기타사업(3.0%)의 인력배치는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인력구성비율이 가장 높은 업무는 행정지원업무로써 전체 종사자의 15.7%가 관련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는 총무, 회계 담당인원 이외에 운전기사, 관리기사, 시설관리자 등을 포함하며, 기관별로는 4.5명에 해당한다. 다음으로는 복리후생사업으로 영양사, 조리사, 취사원등을 포함하여 10.5%의 인력이 배치되고(기관당 3.0명),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이 주로 활동하는 기능회복사업은 전체 9.3%의 인력으로 기관별로 2.7명이 이 업무를 담당한다. 그 다음은 사회교육사업으로 7.6%의 종사자, 기관당 2.2명의 종사자가 이 업무를 담당하며, 노인복지관의 기본사업의 재가복지사업과 별도보조금사업에 해당한느 노인일자리, 경로당활성화, 취업알선센터등은 각각 6%대로 기관당 2명 정도의 인력이 담당하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사회 자원봉사자. 후원자 등 자원개발 및 관리는 각 기관당 적어도 1명의 담당자가 배치되어 있다.
<표2-3>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 기술통계
변수
구분
항목구분
빈도
(명)
비율
(%)
기관평균(명)
변수
구분
항목
구분
빈도
(명)
비율
(%)
기관평균(명)
연령대
min=22
max=85
meen=36.29
S.D=11.05
missing=34
20대초반
48
5.7
1.6
자격
사항
사회복지사1급
484
56.7
16.1
20대후반
228
27.3
7.6
사회복지사2.3급
103
11.9
3.4
30대초반
184
22.0
6.1
기타
248
28.5
4.9
30대후반
122
14.6
4.1
없음
34
3.9
1.1
40대초반
80
9.6
2.7
합계
869
100.0
29.0
40대후반
53
6.3
1.8
고용
형태
정규직
773
89.0
25.8
50대이상
120
14.4
3.9
비정규직
96
11.0
3.2
합계
835
100.0
27.8
합계
859
100.0
29.0
현재
직위
최고관리자
63
7.2
2.1
최종
학력
고줄이하
109
12.5
3.6
중간관리자
158
18.2
5.3
전문대졸업
65
7.5
2.2
사회복지사
336
38.7
11.2
대학교재학중
23
2.6
0.8
기능회복 관련인력
82
9.4
2.7
대학교졸업
506
56.2
16.9
급식사업 관련인력
89
10.2
3.0
대학원 재학.졸업
161
18.5
5.4
행벙지원.기타인력
141
16.2
4.7
무응답
5
0.6
0.2
합계
869
100.0
29.0
합계
869
100.0
29.0
복지
기관
전체
경력
min=0
max=480
meen=67.95
S.D=59.97
missing=4
1년이하
134
15.4
4.5
현재
기관
근무
기관
min=0
max=245
meen=47.36
S.D=44.48
missing=1
1년
이하
209
24.2
7.0
1년이상 3년미만
185
21.3
6.2
1년이상 3년미만
244
28.2
8.1
3년이상 5년미만
159
18.3
5.3
3년이상5년미만
160
18.5
5.3
5년이상 7년미만
107
12.3
3.6
5년이상7년미만
72
8.3
2.4
7년이상 9년미만
90
10.4
3.0
7년이상 9년미만
74
8.6
2.5
9년이상 11미만
58
6.7
1.9
9년이상 11년
미만
35
4.0
1.2
11이상
135
15.6
4.5
11년
이상
71
8.1
2.4
합계
868
100.0
28.9
합계
865
100.0
28.8
<표2-4> 사업별 종사자 구성현황
사업
범주
빈도(명)
비율
(%)
기관
평균
(명)
사업명
사업내용
빈도(명)
비율(%)
기관
평균
(명)
기본
사업
328
37.7
10.9
상담사업
접수이용상담.정보제공.전문상담.집단상담.은퇴준비.죽음준비.자살예방
35
4.0
1.2
상회교육
평생교육 취미여가.문화활동.교양강좌.운동프로그래.동아리.클럽활동
66
7.6
2.2
재가복지
가정봉사원파견.사례관리.결연.
추천자료
'치매와 치매노인의 가족복지'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봉사활동 소감문] 서대문 노인 복지관 봉사활동 후기
삼전복지관 노인문화프로그램 공모전
노인복지관 방문 보고서
(공동모금회프로포절) 노인복지관내 주간보호실과 원예교실의 원예치료프로그램
노인 복지관 사례관리 계획서
노인복지관(회관)의 여가서비스 프로그램에 관하여 논하라
용인시 노인 복지관
[사회복지현장 실습보고서] 화성시 남부 노인 복지관 현장 실습 보고서 (기관소개, 사업소개,...
[보건복지부]보건복지부의 건강증진사업, 보건복지부의 공적 노인요양보장체계, 보건복지부의...
독거노인사례관리 보고서(종합사회관복지사와 인터뷰 내용수록, 사회복지사인터뷰, 사례관리...
노인상담_노인 상담의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기 시작하며 영역이 넓어지고 활성화 되어가고 있...
지역사회복지 실천 현장 중 노인, 장애인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지역사회복지관들이 있는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