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실내조경행위에 이르기까지 녹지공간의 연출이 일반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④ 계단
층과 층의 수직적 이동수단이 되는 계단은 전체 공간의 심미적 요소로, 또는 입체적 단면 공간을 순간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매력요소로 작용한다. 계단의 상징성은 고전적 건축디자인 방식으로 오래전부터 적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경사로를 직선으로 구성하지 않고 순환하는 방식으로 나선형을 이루면서 자연스러운 상승경험을 유도하는 경사로 구성 등으로 공간감에 변화를 주고 있다.
⑤ 축
축이란 시각적 중심선을 의미한다. 고전적 공간의 축은 직선적이고 엄격하여 종교나 권력에 대한 권위감이 강조되었으나,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축은 절점을 이어주는 꺾은선으로 표현되어 역동적인 동시에 호기심을 유도한다.
⑥ 원호공간
곡선 또는 원은 시각적 역동성을 부여하고 공간의 크기에 대한 한계 극복을 용이하게 하는 요소이다. 또한 여성적이며 미래 지향적인 느낌을 가지고 있으며, 조명과 색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공간요소이다.
⑦ 공간의 크기
편안하고 아늑한 느낌을 주는 휴먼스케일에서부터 경외감을 느끼게 하는 절대적 규모까지 공간의 크기는 다양한 느낌을 연출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⑧ 빛과 색의 구성
빛의 다양한 적용은 공간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심리상태를 좌우한다. 자연 빛의 조절은 편안함이나 불안함 등의 다양한 심리를 조율하며, 인공조명 역시 조도의 구성에 따라 자연 빛에 버금가는 효과를 내는 한편 시각을 강제적으로 조절하여 공간에 대한 느낌을 변화시킨다.
⑨ 장치와 장식
공간을 꾸며주는 다양한 장치는 공간의 크기와 관계없이 시각적·촉각적 요소로 중요하게 작용하며, 본래의 기능을 더욱 확장하고 강조하는 요소이다. 시계탑, 가로등, 현수막, 상징조각, 화분, 인공수목, 의자 등 다양한 시설이 이에 해당된다.
외관요소
클러스터 효과 클러스터 효과 (Cluster Effect)란, 같은 종류의 물건 또는 공급자가 모여 있음으로써 나타나는 상호간의 긍정적 시너지효과를 의미하며, 지역적 공간 개념으로서의 클러스터 효과는 특정 지역이 사업적 관점에서 유리한 조건들을 두루 갖춘 상태로서 지리적 구성, 형태, 교통을 비롯한 인프라, 물적 및 인적 자원 등 다양한 조건이 집적되어 있을 때 효과적이다.
: 홍성용, 2007, 앞의 책, pp.187
차원에서 공간적 유대감이 형성되는 장소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한 의류, 공구, 컴퓨터, 광고 등의 분야에 있어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하여 매장 외부로 드러내게 되는 차별화의 표현방식이다. 밖으로 들어나게 되는 외관은 일정부분 공공적 요소들과 충돌하기 때문에, 전체 도시의 맥락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도시경관의 입장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미지요소
이미지 전략은 상업적 목적이 강한 건축이나 인테리어에서 테마 설정 등의 방식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기도 하지만, 공공 목적의 경우에도 차별화된 이미지를 통하여 시각적 명확성을 주는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주제에 적합한 공간경험은 이용자에게 이미지로 각인된다.
상업공간은 상업공간의 경험적 흥겨움을 돋우기 위한 다양한 장치와 시각적 요소를 사용하며, 도시의 랜드마크는 도시적 상징성을 드러내면서 크기의 과장 등을 통해 새로운 시각적 경험 등을 만들어낸다.
이야기요소
장소나 공간에 대한 기억은 하나하나의 디테일보다는 그 장소나 공간에서 이루어졌던 행위나 현상 등에 대한 기억으로 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소나 공간 같은 환경에 대한 기억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특징과 특징이 연속되는 줄거리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기억 속의 독특한 특징들은 매우 상업적일 수도 있고 공공성을 강조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중요한 점은 특징의 효과로 인해 기억이 강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감성자극요소
개발행위에 있어서 하드웨어적 특성과 더불어 소프트웨어적 특성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즉 단순한 면적만을 고려하는 표면적 시각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보다 입체적이고 다각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입지상황, 주변여건 및 이용자에 대한 분석, 이용자에 따른 트렌드의 변화, 시대 및 사회상의 변화 등 다양한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공간연출이 가능하다.
<표 3-3> 장소마케팅을 위한 설계요소 및 도입사례
요 소
세 부 인 자
사 례
감각요소
시각 : 색감, 형태, 질감, 영상, 조명, 착시
강남 갤러리아 웨스트,
뉴욕 LVMH 타워 등
촉각 : 진열·배치, 터치스크린
동대문 등 대형의류상가,
뉴욕의 나이키타운 등
청각 : 음악, 자연의소리
노래하는 도로, 음악분수 등
후각 : 냄새·향의 유지를 위한 습도조절
대부분의 식음료공간
공간요소
보행공간 : 별도의 보행자통로, 골목길, 입체적 보행통로·광장
홍콩 도심부 또는 미국 미니애폴리스의 보행통로 등
광장 : 전통적 광장, 광장성격을 갖는 건물내부의 중심공간
서울시청앞 광장,
후쿠오카 캐널시티의 중심공간 등
녹지공간 : 공원, 건물·점포단위의 조경 및 실내조경 행위
뉴욕의 센트럴파크, 건물의 조경·실내조경 공간 등
계단 : 전통적 계단, 경사로
로마의 스페인계단,
인사동의 쌈지길 등
축 : 도시 및 건물이하 공간에서의 중심선
파리 도시축, 경복궁~광화문의 전통적 도시축, 로마 베드로성당의 축 등
원호공간 : 곡선 또는 원을 활용
경기장, 아이맥스영화관 등
공간의 크기 : 스케일의 조절
휴먼스케일, 로마 베드로성당의 절대적 스케일 등
빛과 색의 구성 : 자연 채광 조절, 인공 조명의 조도 구성
로마의 판테온 등
장치와 장식 : 시계탑, 가로등, 현수막, 상징조각, 화분, 인공수목, 의자 등
디즈니랜드의 시설물, 파리 시트로앵공원의 조경장치 등
외관요소
건물 내·외부의 차별성
브랜드별 파사드 구성,
독일의 비트라공장 등
이미지요소
건축·인테리어 분야의 테마 설정 방식, 도시의 랜드마크
남대문, 파리의 에펠탑,
런던의 런던아이 등
이야기요소
브랜드스토리 : 공간구성의 줄거리
테마파크·레스토랑,
도쿄 오다이바 덱스 소홍콩,
프랑스 마른 라 발레 등
감성자극요소
입지상황, 주변여건, 이용자, 트렌드 변화, 시대 및 사회상의 변화
파리의 베르시 빌라주,
폭스바겐의 아우토슈타트 등
④ 계단
층과 층의 수직적 이동수단이 되는 계단은 전체 공간의 심미적 요소로, 또는 입체적 단면 공간을 순간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매력요소로 작용한다. 계단의 상징성은 고전적 건축디자인 방식으로 오래전부터 적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경사로를 직선으로 구성하지 않고 순환하는 방식으로 나선형을 이루면서 자연스러운 상승경험을 유도하는 경사로 구성 등으로 공간감에 변화를 주고 있다.
⑤ 축
축이란 시각적 중심선을 의미한다. 고전적 공간의 축은 직선적이고 엄격하여 종교나 권력에 대한 권위감이 강조되었으나,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축은 절점을 이어주는 꺾은선으로 표현되어 역동적인 동시에 호기심을 유도한다.
⑥ 원호공간
곡선 또는 원은 시각적 역동성을 부여하고 공간의 크기에 대한 한계 극복을 용이하게 하는 요소이다. 또한 여성적이며 미래 지향적인 느낌을 가지고 있으며, 조명과 색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공간요소이다.
⑦ 공간의 크기
편안하고 아늑한 느낌을 주는 휴먼스케일에서부터 경외감을 느끼게 하는 절대적 규모까지 공간의 크기는 다양한 느낌을 연출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⑧ 빛과 색의 구성
빛의 다양한 적용은 공간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심리상태를 좌우한다. 자연 빛의 조절은 편안함이나 불안함 등의 다양한 심리를 조율하며, 인공조명 역시 조도의 구성에 따라 자연 빛에 버금가는 효과를 내는 한편 시각을 강제적으로 조절하여 공간에 대한 느낌을 변화시킨다.
⑨ 장치와 장식
공간을 꾸며주는 다양한 장치는 공간의 크기와 관계없이 시각적·촉각적 요소로 중요하게 작용하며, 본래의 기능을 더욱 확장하고 강조하는 요소이다. 시계탑, 가로등, 현수막, 상징조각, 화분, 인공수목, 의자 등 다양한 시설이 이에 해당된다.
외관요소
클러스터 효과 클러스터 효과 (Cluster Effect)란, 같은 종류의 물건 또는 공급자가 모여 있음으로써 나타나는 상호간의 긍정적 시너지효과를 의미하며, 지역적 공간 개념으로서의 클러스터 효과는 특정 지역이 사업적 관점에서 유리한 조건들을 두루 갖춘 상태로서 지리적 구성, 형태, 교통을 비롯한 인프라, 물적 및 인적 자원 등 다양한 조건이 집적되어 있을 때 효과적이다.
: 홍성용, 2007, 앞의 책, pp.187
차원에서 공간적 유대감이 형성되는 장소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한 의류, 공구, 컴퓨터, 광고 등의 분야에 있어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하여 매장 외부로 드러내게 되는 차별화의 표현방식이다. 밖으로 들어나게 되는 외관은 일정부분 공공적 요소들과 충돌하기 때문에, 전체 도시의 맥락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도시경관의 입장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미지요소
이미지 전략은 상업적 목적이 강한 건축이나 인테리어에서 테마 설정 등의 방식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기도 하지만, 공공 목적의 경우에도 차별화된 이미지를 통하여 시각적 명확성을 주는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주제에 적합한 공간경험은 이용자에게 이미지로 각인된다.
상업공간은 상업공간의 경험적 흥겨움을 돋우기 위한 다양한 장치와 시각적 요소를 사용하며, 도시의 랜드마크는 도시적 상징성을 드러내면서 크기의 과장 등을 통해 새로운 시각적 경험 등을 만들어낸다.
이야기요소
장소나 공간에 대한 기억은 하나하나의 디테일보다는 그 장소나 공간에서 이루어졌던 행위나 현상 등에 대한 기억으로 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소나 공간 같은 환경에 대한 기억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특징과 특징이 연속되는 줄거리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기억 속의 독특한 특징들은 매우 상업적일 수도 있고 공공성을 강조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중요한 점은 특징의 효과로 인해 기억이 강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감성자극요소
개발행위에 있어서 하드웨어적 특성과 더불어 소프트웨어적 특성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즉 단순한 면적만을 고려하는 표면적 시각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보다 입체적이고 다각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입지상황, 주변여건 및 이용자에 대한 분석, 이용자에 따른 트렌드의 변화, 시대 및 사회상의 변화 등 다양한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공간연출이 가능하다.
<표 3-3> 장소마케팅을 위한 설계요소 및 도입사례
요 소
세 부 인 자
사 례
감각요소
시각 : 색감, 형태, 질감, 영상, 조명, 착시
강남 갤러리아 웨스트,
뉴욕 LVMH 타워 등
촉각 : 진열·배치, 터치스크린
동대문 등 대형의류상가,
뉴욕의 나이키타운 등
청각 : 음악, 자연의소리
노래하는 도로, 음악분수 등
후각 : 냄새·향의 유지를 위한 습도조절
대부분의 식음료공간
공간요소
보행공간 : 별도의 보행자통로, 골목길, 입체적 보행통로·광장
홍콩 도심부 또는 미국 미니애폴리스의 보행통로 등
광장 : 전통적 광장, 광장성격을 갖는 건물내부의 중심공간
서울시청앞 광장,
후쿠오카 캐널시티의 중심공간 등
녹지공간 : 공원, 건물·점포단위의 조경 및 실내조경 행위
뉴욕의 센트럴파크, 건물의 조경·실내조경 공간 등
계단 : 전통적 계단, 경사로
로마의 스페인계단,
인사동의 쌈지길 등
축 : 도시 및 건물이하 공간에서의 중심선
파리 도시축, 경복궁~광화문의 전통적 도시축, 로마 베드로성당의 축 등
원호공간 : 곡선 또는 원을 활용
경기장, 아이맥스영화관 등
공간의 크기 : 스케일의 조절
휴먼스케일, 로마 베드로성당의 절대적 스케일 등
빛과 색의 구성 : 자연 채광 조절, 인공 조명의 조도 구성
로마의 판테온 등
장치와 장식 : 시계탑, 가로등, 현수막, 상징조각, 화분, 인공수목, 의자 등
디즈니랜드의 시설물, 파리 시트로앵공원의 조경장치 등
외관요소
건물 내·외부의 차별성
브랜드별 파사드 구성,
독일의 비트라공장 등
이미지요소
건축·인테리어 분야의 테마 설정 방식, 도시의 랜드마크
남대문, 파리의 에펠탑,
런던의 런던아이 등
이야기요소
브랜드스토리 : 공간구성의 줄거리
테마파크·레스토랑,
도쿄 오다이바 덱스 소홍콩,
프랑스 마른 라 발레 등
감성자극요소
입지상황, 주변여건, 이용자, 트렌드 변화, 시대 및 사회상의 변화
파리의 베르시 빌라주,
폭스바겐의 아우토슈타트 등
추천자료
지역이벤트의 활성화 방안 - 청도 소싸움대회를 중심으로 -도시마케팅
농촌관광의 전망과 활성화 방안
[주민자치센터][주민자치][공동체]주민자치센터의 기능, 주민자치센터의 유형과 주민자치센터...
물류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택배산업을 중심으로
농촌관광의 현황 및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A+평가 레포트]스포츠관광의 개념, 유형, 필요성, 활성화 방안
북한 관광 특구의 활성화 방안
우리나라 사회적 관광자원의 실태와 활성화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
[중국관광객]중국관광객 유치현황과 활성화방안 보고서
[중국관광객]중국관광객 유치현황과 활성화방안 PPT자료
[한국의료관광] 한국의료관광 현황과 활성화방안 보고서
[한국의료관광] 한국의료관광 현황과 활성화방안.PPT자료
[테마파크와 지역관광개발] 테마파크와 지역경제활성화, 테마파크의 개발방향, 테마파크와 지...
드라마(주변자원활용) 촬영지 관광 활성화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