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닌저 생화학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5판 Ch10 ~ Ch11 요약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레닌저 생화학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5판 Ch10 ~ Ch11 요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hapter 10. Lipids (지질)
10.1 storage lipids
10.2 structural lipids in membranes
10.3 signals, cofactors, pigments(색소)로써의 지질(lipid)

Chapter 11. Biological Membranes and Transport
11.1 막의 성분과 구조
11.2 membrane dynamics
11.3 Solute Transport(용질수송) across membranes

본문내용

합성을 억제하는 항응고제. 쥐약에 들어있어서 쥐를 내출혈로 죽게함.
- Ubiquinone(=coenzyme Q) , Plastoquinone : isoprenoid 유도체. mt와 엽록체의 ATP생성을 유발하는 산화(mt) 및 환원(엽록체) 반응에 작용하는 지방 친화 전자운반체.
6. 많은 천연색소는 conjugated dienes이다.
- 꽃이나 과일의 색 또는 새의 깃털의 인상적인 색을 나타내는 구성성분으로 conjugated diene이 작용한다.
Chapter 11. Biological Membranes and Transport
- membrane = lipids + proteins + carbohydrates
* 생체막의 기능
- the external boundaries of cells
- regulation of the molecular traffic across the boundary
- cell-to-cell communication
- flexible, self-sealing, selectively permeable
- include an array of proteins specialized for promoting or catalyzing various cellualr processes. transporter는 특정한 유기 용질과 무기 이온을 막을 통과시켜 세포 속으로 운반하고, 세포밖의 신호를 감지하여 세포 속으로 전달하고, 부착분자들은 인접한 세포들을 서로 연결 시킴. 세포 속에서 막은 지질과 특정 단백질의 합성 같은 세포 반응과 미토와 엽록체에서의 에너지 변환 등을 주관함.
11.1 막의 성분과 구조
1. 막은 종류에 따라 특징적인 지질과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다.
- myelin sheath는 주로 지질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세균, 사립체, 엽록체 등의 막은 지질보다 단백질 함량이 많다.
- 각각의 계(kingdom), 종(species), 조직(tissue)과 세포, 세포 소기관들은 고유의 특징적인 막 지질 성분을 갖고 있다.
2. 모든 생체막은 몇 가지 기본적인 성질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 Fluid mosic model : 지질 바다에 단백질이 떠있다. 지질 이중층.
- 이면성(sideness) : 지질 이중층에서 단백질의 orientation은 비대칭적(asymmetric),
3. 지질 이중층은 생체막의 기본적인 성분이다.
* 양극성(amphipathic) 지질이 물과 섞이면 지질의 성질과 알맞은 환경에 따라 세 종류의 지질 덩어리를 형성
1) micelle
- 소수성 부위는 안쪽에 친수성 머리 부분은 표면에 있어 물과 접촉하고 있다.
- free fatty acid lysophospholipid,지방산이 한개 결여되어 있는 인지질, SDS와 같은 detergent 등.
- Individual units are wedge-shaped(쐐기모양). 머리 부분의 cross section(단면)이 side chain보다 큼
2) bilayer
- 두 개의 lipid monolayer가 결합하여 2차원 sheet를 형성.
- Individual units are cylindrical(원통모양). 머리 부분의 cross section이 side chain과 비슷하다.
3) vesicle
- 이중층의 모서리에 있는 소수성 구역은 물분자와 접촉하여 비교적 불안정하므로 지질이중층의 양 끝이 뒤집어져 서로 결합된 속이 빈 구를 형성.
- 소포를 형성함으로써 지질 이중층은 물분자와 접촉하는 소수성 부분이 사라져서 안정성을 갖는다.
- 2차원적 지질이중층이 스스로 감싸지면 닫힌 이중층이되어 내부의 물을 감싸는 3차원적 소포(lipisome)을 형성.
- 중앙부분에 aqueous cavity가 존재하여 수용성 약물을 운반하는 데에 이용함.
- 형질막 지질은 비록 막단백질처럼 완전한 비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지 않지만 두 개의 지질 단층에 비대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 안쪽에 많은 것 : phosphatidylserine, phosphatidylethanolamine, phosphatidylinositol
phosphatidylserin: 바깥쪽으로 이동할 때에만 blood clot 형성하는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다.
세포 예정사(programmed cell death)에 의하여 파괴되는 세포를 표시한다.
세포 사멸 초기에 phosphatidylserine이 세포밖으로 노출되고, 후기에 DNA fragment, shrink등이 일어남. annexin V로 phosphatidylserine 검출가능.
phosphatidylinositol 지질을 지질이중층 혹은 단백질로 이동시키는 단백질은 신호전달과 막교섭(trafficking)에 중요한 기능을 가짐.
4. 세 종류의 막 단백질은 막 조합에 따라 다르다. (Fig11-6 at 375p)
1) integral membrane protein
- 지질 이중층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어서 detergent, orgaic solvent, denaturant 와 같은 소수성 상호작용을 방해하는 시약에 의해 분리 가능.
- 시약들에 의해 추출된 내재단백질은 micelle과 비슷한 덩어리로 만들어짐.
2) peripheral membrane protein
- integral membrane protein의 친수성 영역과 지질의 극성을 띤 머리 부분에 정전기 상호작용(eletrostatic interaction)및 수소결합으로 결합하여 막에 부착
- pH, 이온 강도의 변화, 킬레이트제에 의한 Ca2+의 제거, 요소나 탄산염의 첨가 등의 방법으로 분리 가능.
3) Amphitropic protein
- 세포질에 있기도 하고, 막 표면에 있기도 함.
* GIP와 같은 막 지질에 공유결합으로 부착된 내재단백질은 phospholipase C에 의해 분리 가능.
5. 많은 막 단백질들은 지질 이중층을 횡단하고 있다.
- Fig 11-7 at 376p : 막에 존재하는 glycophorin의 위치는 비대칭적으로, 아미노 말단이 항상 extracellular 에 존재. 모든 당단백지

키워드

  • 가격7,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05.13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75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