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란모델 복습(순환적 질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밀란모델 복습(순환적 질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밀란 가족치료의 이해
1) 밀란 가족치료의 역사 및 주요학자
① 제1단계- Palazzoli, Bosclo
② 제2단계- Palazzoli, Ceccchin, Prata, Bosclo
③ 제3단계- Bateson
④ 제4단계- Hoffman, Penn, Papp, Tomm
2. 밀란 가족치료의 순환적 질문의 이론적 바탕
1) 관계시스템과 의사소통시스템
2) 순환성(순환의 원리)
3) 가설과 중립성
3. 밀란 가족의 치료기법
1) 가설화(hypothesizing)
2) 중립성(nerutrality)
3) 순환적 질문(circular questions
4. 순환적 질문의 사례(순환적 질문의 전형적인 5가지 형태)
1) 독특한 행동 강조
2) 행동의 차이를 이끌어냄
3) 독특한 상호작용 및 행동을 중요하게 여김
4) 관계행동 안에서 변화에 대한 접근시도
5) 가족들 간의 행동의 차이를 알아냄
Ⅲ. 결론
참고문헌
부록) 순환적 질문들 표1
순환적 질문들 표2

본문내용

·················
6
4) 관계행동 안에서 변화에 대한 접근시도
··············································································
7
5) 가족들 간의 행동의 차이를 알아냄
························································································
8
···························································································
Ⅲ. 결론
···························································································
8
···························································································
참고문헌
···························································································
9
··························································································
부록) 순환적 질문들 표1
··························································································
10
순환적 질문들 표2
··························································································
11
Ⅰ. 서 론
치료에 있어서 밀란의 체계적 접근은 의사소통 이론에 기초한 면담(interviewing)의 모델이다. David M. Lawson, Frances F. Prevatt, 「가족치료사례집」 박태영, 김현경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5), 297.
밀란 가족치료는 미국에서 전략적 가족치료모델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탈리아에서는 네 명의 정신과의사이며 심리치료사들인 마라셀비니-파라졸리(M. Selvine Palazzoli)를 포함한 프라타(G. Prata), 체친(G. Ceccchin), 보스콜로(L. Bosclo)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들 네 명은 오늘날 유럽 패션의 중심지인 밀라노에 가족치료센터를 건립하고 독자적으로 개발한 가족치료이론을 발전시켜 접근하였다. 이들이 개발하여 접근한 가족치료모델이 밀란 모델, 밀란 학파이다. 밀란 모델은 이론적 측면에서는 Erickson의 전략적 관점과 Bateson의 순환적 인공두뇌 인식론에 기반을 두었으며, 전략적 가족치료와의 연관성으로 인하여 전략적 가족치료로 분류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개념적으로나 방법론적으로 순수하게 베이트슨(Beteson)의 체계이론에 기초한 순환적 인식론에 일치한 접근으로서 체계적 가족(systemic family) 치료모델로 불린다. 정문자 외 3인, 「가족치료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08), 235.
밀란 가족치료의 치료방법은 증상을 가진 가족의 ‘게임규칙’에 초점을 두고 규칙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가족에게 역설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남녀 공동 한 팀이 치료를 실시하는 ‘장시간 단기치료(long brief therapy)’는 밀란 모델의 독특한 치료방식이다. 치료자는 중립적 위치에서 순환적 질문을 사용하여 가족체계에 역기능적 가족관계 유형을 변화시키고자 한다.
본 발제를 통하여 밀란 가족치료의 이해와 치료기법인 순환적 질문의 이론적인 바탕이 되는 개념에 의한 가설세우기, 순환적질문법, 중립성에 대해 알아보고 순환적 질문의 사례를 살펴봄으로 밀란 모델의 핵심을 복습하고자 한다.
Ⅱ. 본 론
1. 밀란 가족치료의 이해
1) 밀란 가족치료의 역사 및 주요학자
① 제1단계 : 1967년 마라셀비니-파라졸리(M. Selvine Palazzoli)는 밀라노에 가족치료센터(Centro per lo Studio della F amigliae delle Tecniche di Gruppo)를 창설했다. 초기에 이 센터는 거식증 클라이언트에 대한 치료에 있어서 여전히 정신분석적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뉴욕시에서 정신분석학 및 정신의학 훈련을 마친 보스콜로(L. Bosclo)를 합류시켰다. 아직 가족 전체를 치료에 참여시킬 용기가 없었으므로, 가족의 하위체계를 따로 만났다.
② 제2단계 : 1971년 파라졸리(M. Palazzoli)는 정신분석적 접근에서 벗어나 미국의 MRI 그룹의 개념과 치료기법을 도입하였다. 파라졸리(M. Palazzoli)는 정신분석 훈련을 받은 정신과 의사들과(G. Ceccchin, G. Prata, L. Bosclo)팀을 만들었는데 4명이 한 팀이 되었다. 이 팀은 주로 거식증 자녀와 가족을 목표 집단으로 하여 치료하였는데, 나중에는 정신분열증 가족도 치료하였다. 가족을 항상적(homeostatic)인 체계로 보는 관점에 기초하여 치료하고 연구하였다.
③ 제3단계 : 1970년대 중반 이후 베이트슨(Beteson)의 개념을 적용한 독특한 치료방법을 개발하였고 이 기간에 인공두뇌 이론에 기초한 체계론과 순환성 관점을 적용하여 순환적 질문기법을 개발하고 역설적 처방을 적용하였다. 밀란팀은 1975년 한 정신병환자를 가진 어느 가족에 대한 치료연구서인 “역설과 반역설”이라는 책을 출판하였는데 이 책으로 밀란 모델의 성과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④ 제4단계 : 1980년에 밀란팀이 두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거의 10년간 가족치료의 체계론적 사고를 창출하고 혁신적인 개입기법을 창안했던 밀란팀은 분리되었다. 두 명의 여성팀인 파라졸리(M. Palazzoli)와 프라타(G. Prata)는 주로 유럽 안에서 치료와 연구, 보스콜로(L. Bosclo)와 체친(G. Ceccchin)의 남성팀은 이탈리아와 유럽, 캐나다, 미국에서 워크
  • 가격3,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5.16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78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