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사] 우리나라 양식 전래과정과 식민지 시대와 일식 전래과정 및 중국 음식 전래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상생활사] 우리나라 양식 전래과정과 식민지 시대와 일식 전래과정 및 중국 음식 전래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 양식 전래 과정

2. 식민지 시대와 일식 전래 과정
1) 일제시대
2) 새로운 군것질거리 등장
3) 아지노모도란?
4) 아미노모도 전래 과정

3. 중국 음식
1) 임오군란과 자장면
2) 호떡의 역사
3) 당면의 역사

본문내용

1950년대 초만 하더라도 아지노모도를 반찬에 뿌리고 왜간장에 밥을 비벼 먹는 것을 특별한 맛내기로 여겼다. 이는 분명히 돈 될 거리였다. 1950년대 중반 제조법뿐 아니라 발음도 같은 상품 미원(味元:일본어로 아지노모도)이 나왔다. 때마침 박정희 군사정부가 밀수를 단속하자 유일한 경쟁상대를 물리친 화학조미료는 날개 돋친 듯 팔려 과거의 입맛을 기억하던 서민의 혀를 즐겁게 해 주었다. 1960년대 중반 조미료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미풍은 일본을 배척하던 사회적 분위기를 무릅쓰고 아지노모도와 합작했음을 광고하며 소비자들의 기억을 환기시켰다.
3. 중국음식
1) 임오군란과 자장면
중국음식이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건 1882년이었다. 흥선 대원군이 정권을 되찾자 명성황후가 청나라에 구원을 요청했고 이때 4500여명의 청나라 군인들이 인천을 통해 한국으로 들어오는데... 그들 속에는 40여명의 청나라 상인들이 섞여 들어와 한국에 눌러 앉게 됩니다.
1883년에 개항한 인천에는 곧 청국지계가 설정되고 청인이 거주하게 되었는데 1920년부터 항구를 통한 무역이 성행하면서 중국 무역상을 대상으로 한 중국음식점들이 생겨났다. 중국의 대중음식을 처음으로 접했던 우리 서민들은 신기한 맛과 싼 가격에 놀랐고, 청인들은 청요리가 인기를 끌자 부두 근로자들을 상대로 싸고 손쉽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생각하게 되었는데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것이 볶은 춘장에 국수를 비벼먹는 짜장면이다. 짜장면이 언제, 누구에 의해 처음 만들어 졌는지를 밝혀줄 만한 자료는 거의 없지만, 정식으로 자장면이란 이름으로 음식을 팔기 시작한 곳은 1905년 개업한 공화춘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은 당시 화려했던 옛건물의 자취만 남아있지만 일제 때부터 청요리로 크게 이름을 날렸던 고급 요릿집이었다.이렇게 공화춘이 성업을 이루자 화교 유지들은 인근의 대불호텔을 사들여 북경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중화루∞의 문을 열었다. 이곳에는 북경에서 건너온 周사부라고 불리던 일급 주방장이 있어 전통 북경요리를 맛보려고 서울을 비롯 각지의 미식가들이 자주 찾았다고 한다.1차 세계대전에 따른 호황으로 청관 거리에 동흥루가 연이어 문을 열면서 인천은 청요리의 본산으로 자리잡았다.
▲ 우리나라 최초의 자장면집 “공화춘”
2) 호떡의 역사
호떡은 밀가루 반죽에 설탕을 넣어 기름에 부치는 음식이다. 이것은 한국에 살던 중국 사람들이 자장면처럼 생계를 위해 만들어서 팔던 음식이다.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청나라가 조선에 육군 3,000여명을 파견, 이때 청나라 상인 40명도 같이 들어왔다고 한다. 이후 청나라가 망하고 한국에 남아있던 상인들이 생계를 위해 만두와 호떡 같은 음식을 만들어 팔기 시작했다.
그런데 왜 호떡이라고 했을까?
호란 중국을 뜻하는 말로중국에서 온 밀을 호밀(胡밀)이라고 했고, 중국의 군인을 호병(胡兵 : 박씨전, 임경업전 등)이라고 했다. 즉, 호떡이란 \'중국인이 만든 떡\' 또는 \'중국의 떡\'이란 의미이다. 단, 호빵이란 낱말은 중국과 관계 없다. \'따끈따끈하므로 호호 불면서 먹는 빵\'이란 뜻으로 1970년대 초 모 제과회사에서 만든 브랜드 이름이다.
3) 당면의 역사
녹두·감자·고구마 등의 녹말을 원료로 하여 만든 마른 국수. 중국이 원산지이며, 호면(胡麵)이라고도 한다. 6세기에 발간된 《제민요술(齋民要術)》에는 분병(粉餠)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어 있다. 원료 녹말의 일부를 열탕에 반죽하여 풀처럼 만들고, 여기에 나머지 녹말을 부어 저으면서 40℃ 정도의 더운물을 붓고 치대어 작은 구멍이 많이 뚫린 국수틀을 통해 물이 끓는 솥에 떨어뜨린다. 익어서 떠오르면 건져내어 냉수에 얼린 후 건조시켜서 제품화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5.22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87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