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포항제철의 성장과 강철문화
1. 포항제철의 연혁
2. 포항제철의 성장
3. 포항제철의 기업이념
4. 포항제철의 창업정신
Ⅱ. 철강산업의 특성
1. 철강산업의 구조적 특징
2. 세계 철강산업의 동향
3. 국내 철강산업의 실태
Ⅲ. 포항제철의 경쟁전략 분석
1. 규모의 경제 실현
2. 포항제철의 수직적 통합
3. 다각화 전략
4. 경쟁적 우위확보를 위한 전략적 방안
1. 포항제철의 연혁
2. 포항제철의 성장
3. 포항제철의 기업이념
4. 포항제철의 창업정신
Ⅱ. 철강산업의 특성
1. 철강산업의 구조적 특징
2. 세계 철강산업의 동향
3. 국내 철강산업의 실태
Ⅲ. 포항제철의 경쟁전략 분석
1. 규모의 경제 실현
2. 포항제철의 수직적 통합
3. 다각화 전략
4. 경쟁적 우위확보를 위한 전략적 방안
본문내용
, 외주관리비, 재료비, 판매/일반관리비 등 각 부문에서 NSC 대비 우위를 보이고 있다. 현재의 판매가와 매출원가 수준에서 포항제철의 톤당 수익은 NSC 대비 9달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일본시장과 국내시장의 가격차이(톤당 100달러 이상)를 감안하면 수익성 격차는 훨씬 커질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표8].
[표8] 각국 일관제철소의 원가비교
(단위: $/톤)
구 분
포 항 제 철
미 국
미 NUCOR
일 본
재
료
비
철광석
52
62
-
51
고 철
48
48
190
48
부재료
181
204
126
237
인 건 비
(Cost/Hr)
(MH/ton)
79
(12.9)
(6.1)
160
(34.5)
(4.7)
74
(33.5)
(2.2)
188
(38.0)
(4.9)
소계(공정원가)
359
475
390
524
감가상각비
80
28
27
70
이자비용
24
12
-
33
합 계
463
515
417
627
※ 주 : 냉연강판 기준
나. 차별화 우위
포항제철의 기술경쟁력은 일본에 비해 제선기술의 경우 다소 우위를 보이고 있고, 제강기술은 비슷한 수준이며, 조업기술도 선진국과 거의 대등한 수준에 있다.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제품기술력은 보통강 위주의 국내 철강수요구조로 인하여, 보통강의 경우는 제조기술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특수강의 경우는 국내수요 부족 등의 요인으로 선진국에 비해 열위에 있으며 생산비중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다양성 및 고기능성은 선진국에 비해 다소 뒤지지만 생산중인 핫코일, 후판, 냉연강판 등 대부분의 제품(36종)은 1993년 12월 영국 Lloid s Register로부터 품질인증(ISO 9002)을 획득할 정도로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최근 일본 시장의 높은 장벽을 허물고 포항제철의 냉연제품이 일본 자동차 회사에 납품되기 시작한 것은 가격경쟁력의 우위와 더불어 뛰어난 품질 수준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표9].
[표9] 한국과 일본의 기술경쟁력 비교
구 분
연속주조비율(%)
제강회수율
(%)
특수강
생산비율(%)
에너지원단위
(만Kcal/ton)
한 국
97.8
94.6
8.9
529
일 본
95.7
93.1
17.6
589
※ 자료 : RIST, 1993년
철강산업은 「산업의 쌀」이라고 불릴 만큼 매우 중요하다.자동차, 조선, 가전, 건설 등 각종 산업에 기초소재를 생산공급하는 국가기간산업으로서 중화학공업 위주의 우리 경제성장에 원동력이 돼 왔다. 그러나 최근들어 과거보다 경제성장이 고도화되면서 철강 수요증가가 점차 둔화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2000년대의 우리의 철강 소비증가율은 23% 수준에 머무르는 성숙단계로 진입할 전망이다.
경제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산업별 철강재 소비구조도 점차 선진화되고 있다.1990년대 이후 건설업 부문의 철강수요가 상대적으로 줄고 제조업의 철강수요가 전체 수요의 50%를 넘어서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이 부문의 철강재 수요가 크게 증가해 95년 철강재 소비의 13.1%를 차지했다.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따라 부가가치가 높은 고급강의 생산도 증 가하고 있다.포항제철의 경우,고급강이 전체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6년 12.8%에서 96년 30.4%로 크게 높아졌다. 철강재 교역은 지난 20년간 연평균 10.4%씩 성장해 왔다.수출은 세계 8위,수입은 세계 5위를 기록했다.1995년까지는 물량 기준으로 철강재 수출이 수입을 초과했으나 1996년에는 수입이 수출을 초과했다.국내 압연생산능력이 확대됨에 따라 반제품 수입이 급증했기 때문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1996년 652백만불 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이는 수출제품의 고부가가치화에 따른 수출단가의 상승에 기인한 것이다.
1990년대 들어 한국의 철강산업은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다.한국 철강업의 성장에 견인차 역할을 해왔던 저임금,신설비 도입에 따른 설비효율면에서의 경쟁력 우위를 점차 상실하고 있는 반면 개도국의 철강산업은 정부의 지원아래 경제성장과 더불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선진 철강국들은 노후 설비의 폐쇄, 인원합리화,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등을 통해 경쟁력을 회복,세계 철강산업의 경쟁구도는 크게 심화되고 있다.
WTO 체제의 출범에 따라 철강산업의 개방화,자유화가 크게 진전되고 국가간의 전략적 제휴와 합작투자 등이 활발하다.또한 바젤 협약,유엔 기후면화협약,탄소세 도입 논의 등 환경규제의 강화추세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 및 산업폐기물이 배출되는 철강 산업에 있어 주요한 제약요인으로 등장하고 있다.더욱이 철강재를 주요한 소재로 사용하고 있는 자동차,용기,건설부문에서 알미늄,플라스틱 등 타 소재의 도전이 거세어지고 있는 등 소재간의 경쟁도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포항제철의 철강산업이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세계 철강산업의 환경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응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철강산업의 수익성을 높여야 한다.이는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차입금 축소 등 재무구조의 건실화와 원가절감을 통한 경쟁력 향상 등으로 이루어질수 있다.둘째 미래의 철강산업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혁신적인 철강기술개발에 더욱 노력해야 한다.셋째 세계화 경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특히 시장잠재력이 높은 아시아 개도국으로 진출을 확대하고 첨단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선진 철강업체와의 제휴도 강화해야 한다.넷째 철강제 신수요 창출활동을 활성화해야 한다.국내 철강시장이 성숙기에 접어 들어 높은 수요증가를 기대하기 어렵고 소재간의 경쟁도 치열하기 때문이다.다섯째 환경친화적 경영체제를 구축해야 한다.환경관련 기술의 개발,에너지 및 자원절약 시스템의 구축,배출물의 재자원화,재활용기술개발 등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포항제철의 성장과 강철문화
1. 포항제철의 연혁
2. 포항제철의 성장
3. 포항제철의 기업이념
4. 포항제철의 창업정신
Ⅱ. 철강산업의 특성
1. 철강산업의 구조적 특징
2. 세계 철강산업의 동향
3. 국내 철강산업의 실태
Ⅲ. 포항제철의 경쟁전략 분석
1. 규모의 경제 실현
2. 포항제철의 수직적 통합
3. 다각화 전략
4. 경쟁적 우위확보를 위한 전략적 방안
[표8] 각국 일관제철소의 원가비교
(단위: $/톤)
구 분
포 항 제 철
미 국
미 NUCOR
일 본
재
료
비
철광석
52
62
-
51
고 철
48
48
190
48
부재료
181
204
126
237
인 건 비
(Cost/Hr)
(MH/ton)
79
(12.9)
(6.1)
160
(34.5)
(4.7)
74
(33.5)
(2.2)
188
(38.0)
(4.9)
소계(공정원가)
359
475
390
524
감가상각비
80
28
27
70
이자비용
24
12
-
33
합 계
463
515
417
627
※ 주 : 냉연강판 기준
나. 차별화 우위
포항제철의 기술경쟁력은 일본에 비해 제선기술의 경우 다소 우위를 보이고 있고, 제강기술은 비슷한 수준이며, 조업기술도 선진국과 거의 대등한 수준에 있다.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제품기술력은 보통강 위주의 국내 철강수요구조로 인하여, 보통강의 경우는 제조기술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특수강의 경우는 국내수요 부족 등의 요인으로 선진국에 비해 열위에 있으며 생산비중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다양성 및 고기능성은 선진국에 비해 다소 뒤지지만 생산중인 핫코일, 후판, 냉연강판 등 대부분의 제품(36종)은 1993년 12월 영국 Lloid s Register로부터 품질인증(ISO 9002)을 획득할 정도로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최근 일본 시장의 높은 장벽을 허물고 포항제철의 냉연제품이 일본 자동차 회사에 납품되기 시작한 것은 가격경쟁력의 우위와 더불어 뛰어난 품질 수준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표9].
[표9] 한국과 일본의 기술경쟁력 비교
구 분
연속주조비율(%)
제강회수율
(%)
특수강
생산비율(%)
에너지원단위
(만Kcal/ton)
한 국
97.8
94.6
8.9
529
일 본
95.7
93.1
17.6
589
※ 자료 : RIST, 1993년
철강산업은 「산업의 쌀」이라고 불릴 만큼 매우 중요하다.자동차, 조선, 가전, 건설 등 각종 산업에 기초소재를 생산공급하는 국가기간산업으로서 중화학공업 위주의 우리 경제성장에 원동력이 돼 왔다. 그러나 최근들어 과거보다 경제성장이 고도화되면서 철강 수요증가가 점차 둔화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2000년대의 우리의 철강 소비증가율은 23% 수준에 머무르는 성숙단계로 진입할 전망이다.
경제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산업별 철강재 소비구조도 점차 선진화되고 있다.1990년대 이후 건설업 부문의 철강수요가 상대적으로 줄고 제조업의 철강수요가 전체 수요의 50%를 넘어서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이 부문의 철강재 수요가 크게 증가해 95년 철강재 소비의 13.1%를 차지했다.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따라 부가가치가 높은 고급강의 생산도 증 가하고 있다.포항제철의 경우,고급강이 전체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6년 12.8%에서 96년 30.4%로 크게 높아졌다. 철강재 교역은 지난 20년간 연평균 10.4%씩 성장해 왔다.수출은 세계 8위,수입은 세계 5위를 기록했다.1995년까지는 물량 기준으로 철강재 수출이 수입을 초과했으나 1996년에는 수입이 수출을 초과했다.국내 압연생산능력이 확대됨에 따라 반제품 수입이 급증했기 때문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1996년 652백만불 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이는 수출제품의 고부가가치화에 따른 수출단가의 상승에 기인한 것이다.
1990년대 들어 한국의 철강산업은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다.한국 철강업의 성장에 견인차 역할을 해왔던 저임금,신설비 도입에 따른 설비효율면에서의 경쟁력 우위를 점차 상실하고 있는 반면 개도국의 철강산업은 정부의 지원아래 경제성장과 더불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선진 철강국들은 노후 설비의 폐쇄, 인원합리화,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등을 통해 경쟁력을 회복,세계 철강산업의 경쟁구도는 크게 심화되고 있다.
WTO 체제의 출범에 따라 철강산업의 개방화,자유화가 크게 진전되고 국가간의 전략적 제휴와 합작투자 등이 활발하다.또한 바젤 협약,유엔 기후면화협약,탄소세 도입 논의 등 환경규제의 강화추세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 및 산업폐기물이 배출되는 철강 산업에 있어 주요한 제약요인으로 등장하고 있다.더욱이 철강재를 주요한 소재로 사용하고 있는 자동차,용기,건설부문에서 알미늄,플라스틱 등 타 소재의 도전이 거세어지고 있는 등 소재간의 경쟁도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포항제철의 철강산업이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세계 철강산업의 환경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응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철강산업의 수익성을 높여야 한다.이는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차입금 축소 등 재무구조의 건실화와 원가절감을 통한 경쟁력 향상 등으로 이루어질수 있다.둘째 미래의 철강산업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혁신적인 철강기술개발에 더욱 노력해야 한다.셋째 세계화 경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특히 시장잠재력이 높은 아시아 개도국으로 진출을 확대하고 첨단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선진 철강업체와의 제휴도 강화해야 한다.넷째 철강제 신수요 창출활동을 활성화해야 한다.국내 철강시장이 성숙기에 접어 들어 높은 수요증가를 기대하기 어렵고 소재간의 경쟁도 치열하기 때문이다.다섯째 환경친화적 경영체제를 구축해야 한다.환경관련 기술의 개발,에너지 및 자원절약 시스템의 구축,배출물의 재자원화,재활용기술개발 등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포항제철의 성장과 강철문화
1. 포항제철의 연혁
2. 포항제철의 성장
3. 포항제철의 기업이념
4. 포항제철의 창업정신
Ⅱ. 철강산업의 특성
1. 철강산업의 구조적 특징
2. 세계 철강산업의 동향
3. 국내 철강산업의 실태
Ⅲ. 포항제철의 경쟁전략 분석
1. 규모의 경제 실현
2. 포항제철의 수직적 통합
3. 다각화 전략
4. 경쟁적 우위확보를 위한 전략적 방안
키워드
추천자료
북한의 대외무역동향으로 본 북한산업현황에 관한 고찰
[IT산업][정보기술산업][정보기술][정보통신]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특성, IT산업(정보기술...
[바이오산업]바이오산업의 개념, 바이오산업의 범위와 바이오산업의 현황, 바이오산업의 제휴...
[디지털음악][디지털음반][음반산업][음악산업]음반산업(음악산업)의 역사, 디지털음악(디지...
현대사회 특성이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LED 산업]LED기술의 장점과 단점 및 활용 분야 소개, LED산업의 기술과 시장 동향 분석, LED...
우주산업(우주개발산업)의 동향과 현안, 우주산업(우주개발산업)과 우주왕복선, 우주산업(우...
[컴퓨터의 이해/1학년 공통]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과정과 컴퓨터산업에 기여한점과 최신동...
대구, 경북 자동차, IT산업 현황 및 분석
식품과 문화에 대한 이해와 고찰 - 식품문화 (식문화 개념과 특성, 식문화 비교, 식문화의 ...
관광산업(관광업)의 개념, 관광산업(관광업)의 효용, 관광산업(관광업)의 산업성장률, 관광산...
의료관광 Medicai tourism (의료관광의 성장이유, 의료서비스 산업의 특성, 국내의료관광현황...
LG화학 마케팅사례 - 엘지화학의 산업마케팅 사례 및 전략 {LG화학 기업소개, 산업제품의 종...
[서비스업][서비스산업][서비스]서비스업(서비스산업)의 특징, 서비스업(서비스산업)의 규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