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론] 기분장애 - 기분장애의 개념과 기분과 관련된 용어, 역학과 원인, 임상양상(조증과 우울증), 기분장애의 임상유형 및 진단기준, 우울증 치료, 조증 치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건강론] 기분장애 - 기분장애의 개념과 기분과 관련된 용어, 역학과 원인, 임상양상(조증과 우울증), 기분장애의 임상유형 및 진단기준, 우울증 치료, 조증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분장애의 개념

2. 기분과 관련된 용어

3. 역학과 원인

4. 임상양상
 ⑴ 조증(mania)
 ⑵ 우울증(depression)

5. 흔히 동반되는 양상
 ⑴ 불안
 ⑵ 알코올의존과 물질남용
 ⑶ 신체장애

6. 경과에 따른 임상양상
 ⑴ 계절성 양상(seasonal pattern)
 ⑵ 급속순환형
 ⑶ 종적 경과(longitudinal course)

7. 기분장애의 임상유형 및 진단기준
 ⑴ 주요우울장애
 ⑵ 감정부전장애
 ⑶ 조증
 ⑷ 기타 기분 장애
 ⑸ 일반적 의학적 상태에 기인한 기분장애
 ⑹ 물질유도성 기분장애

8. 진단도구

9. 감별진단

10. 경과 및 예후

11. 치료
 가. 우울증
  ⑴ 일반적 치료 및 관리
  ⑵ 약물치료
  ⑶ 정신치료
 나. 조증
  ⑴ 일반적 치료 및 관리
  ⑵ 약물치료
  ⑶ 정신치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분장애(mood disorder)에 대한 이해
목차
1. 기분장애의 개념
2. 기분과 관련된 용어
3. 역학과 원인
4. 임상양상
⑴ 조증(mania)
⑵ 우울증(depression)
5. 흔히 동반되는 양상
⑴ 불안
⑵ 알코올의존과 물질남용
⑶ 신체장애
6. 경과에 따른 임상양상
⑴ 계절성 양상(seasonal pattern)
⑵ 급속순환형
⑶ 종적 경과(longitudinal course)
7. 기분장애의 임상유형 및 진단기준
⑴ 주요우울장애
⑵ 감정부전장애
⑶ 조증
⑷ 기타 기분 장애
⑸ 일반적 의학적 상태에 기인한 기분장애
⑹ 물질유도성 기분장애
8. 진단도구
9. 감별진단
10. 경과 및 예후
11. 치료
가. 우울증
⑴ 일반적 치료 및 관리
⑵ 약물치료
⑶ 정신치료
나. 조증
⑴ 일반적 치료 및 관리
⑵ 약물치료
⑶ 정신치료
참고문헌
1. 기분장애의 개념
정상적인 기분의 변화와는 달리 지나치게 저조하거나 고양된 기분 상태가 지속, 개인 생활이나 단체 생활에서 부적응양상이 나타나는 감정상태의 장애, 우울이나 희열과 같은 기분, 즉 한 인간의 지속적인 내적 감정상태의 장애가 결정적인 병리인 장애로 정동장애라고도 불림.
2. 기분과 관련된 용어
- 느낌(feeling) : 대상에 대한 주관적인 동요상태. 감각-객관적 용어, 느낌-주관적 용어
- 감정(emotion) : 느끼어 일어나는 심정, 비교적 강하며 짧은 시간 지속되는 것
- 정동(情動, affect) : 일시적으로 왈칵 치솟는 감정. 타오르는 애정, 강렬한 증오, 공포 등이 정동에 해당
- 기분(mood) : 특별한 대상이나 내용 없이 일정 기간 동안 약하게 지속되는 정동 상태
3. 역학과 원인
기분장애의 평생유병률은 2~25%로 다양, 주요우울장애의 평생 유병률은 남자는 5~12%, 여자는 10~25% 정도이다. Ⅰ형 양극성 장애는 남녀 모두 1%, Ⅱ형 양극성 장애는 약 0.5%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우울증 유병률은 남자는 약2%, 여자는 약 6%이다. 여성에 많은 이유는 호르몬의 차이, 출산경험, 정신 사회적 스트레스, 학습된 무력감 등과 관련 있다.
Ⅰ형 양극성장애는 전 연령층에서 발생한다. 평균적으로 늦은 30대에 유병률이 가장 높다. 주요우울장애는 전 연령층에서 발생하는데 최근 소아기 발생 우울증도 발견된다. 감정부전장애의 평생유병률은 약 3%, 주요우울장애보다 적으며 여자가 더 높다. 순환성 장애의 평생유병률은 약 1%이고 여성의 비율이 높다.
기분(정동)장애는 유전, 생물학적 요인, 정신사회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이 유발된다고 생각되며 또한 신체질환이나 약물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4. 임상양상
⑴ 조증(mania)
① 경조증(hypomania)
가벼운 형태의 조증 상태가 일정 정도 지속되는 상태.
감정은 유쾌해지며, 주의주장이 많고 자기도취, 자기 확신, 자기만족, 자신감, 힘, 허세 등이 넘치고 돈을 허황되게 낭비하거나 여러 가지 야심적인 계획에 가득 차 있고 금방 실패하거나 포기해버릴 일을 벌이며, 때로는 지나치게 음주에 빠지게 되는데 다른 어느 문제보다 이 과음 때문에 입원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감정의 기복도 갑작스럽게 나타난다. 기분과 태도가 한창 고양되는 한가운데서 갑자기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간섭을 많이 해 주위의 동료한테 방해가 되고 불편을 끼친다. 또한 휴식이 필요 없다고 선언하고 실제로도 피로를 못 느낀다. 개인적 성질의 일을 아무하고나 붙들고 의논하고자 하고, 성에 대해 과다하게 몰두하기도 하며, 평소 정숙했던 여자가 화장을 짙게 하고 성적으로 활발해 지기도 한다.
② 조증상태(manic state)
의기양양, 기고만장, 흥분상태가 되고 매사에 속도가 빨라진다. 춤추고 노래 부르고 휘파람을 불며 소란스럽고 제약이 없는 열정상태에 이르게 된다. 부와 권력에 관한 과대망상이나 종교적 과대망상 그리고 그와 관련된 피해망상도 나타난다. 환각이 나타날 수 있으나 흔하지 않고 착각인 경우가 많다.
사고과정에 비약이 많고 연상이 빠르다는 것이 특징, 말이 힘차고 높낮이가 자주 변하며 강조하는 악센트가 두드러지며, 사고의 비약, 신어증, 말비빔(word salad), 음향연상, 지리멸렬 등의 장애가 나타나 의미상 관계없는 얘기를 장황하게 지껄이게 된다. 주의 깊게 관찰하면 조증 환자의 연상 작용은 와해되어 있다.
거의 잠도 안자고, 피로를 느끼지도 않는다. 활동하는 동안 여기저기를 다치고 베이기도 하지만 그에 대해서는 관심도 없고 심각하게 여기지도 않는다. 대개는 예의범절을 무시하고, 많은 양의 음식을 집어 삼키는 수가 많지만 너무나 바빠서 식사도 안하려고 한다.
⑵ 우울증(depression)
① 경한 우울증
정서적으로 우울하며 슬픈 느낌을 갖는다. 환자는 자신감이 없고 삶에 대한 의욕이 없으며 피곤해하고 일하기를 싫어하며 혼자만 있으려 하고 평소 해오던 일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생활의 재미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고 매사를 짐이 되는 듯 여기며 평소 해오던 직업을 포기하려고 한다.
사고는 몇몇 주제에만 국한되고 질문에 대한 답변이 매우 느리고, 가능한 한 최대로 압축하여 대답한다. 많은 경우 미래의 실패에 대한 불안, 거절, 보복에 대한 우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5.24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89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