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의 5대 제사 -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에 관한 이해 (어의와 제물의 종류 및 제사의 방법과 목적, 영적 의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스라엘의 5대 제사 -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에 관한 이해 (어의와 제물의 종류 및 제사의 방법과 목적, 영적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번제(Burnt Offering)
1) 어의
2) 제물의 종류
3) 번제의 방법
4) 번제의 목적
5) 번제의 영적 의미

2. 소제(Meat Offering)
1) 어의
2) 제물의 종류
3) 소제의 방법
4) 소제의 목적
5) 소제의 영적 의미

3. 화목제(Peace Offering)
1) 어의
2) 제물의 종류
3) 화목제의 방법
4) 화목제의 특색
5) 화목제의 영적 의미

4. 속죄제(Sin Offering)
1) 어의
2) 제물의 종류
3) 속죄제의 방법
4) 속죄제와 속건제의 차이
5) 속죄제의 영적 의미

5. 속건제(Tresspass Offering)
1) 어의
2) 속건제의 제물
3) 속건제의 영적 의미

본문내용

것이든 가능하였고, 어린 양을 드릴 수도 있었다. 양의 경우 역시 양의 기름만을 드리되 미려골(등심뼈 또는 척추)에서 베어 낸 기름진 꼬리와 내장에 덮인 것과 모든 기름진 두 콩팥과 간에 덮인 기름과 꺼풀만을 콩팥과 함께 드릴 수 있었다.
3) 화목제의 방법
화목제를 드리는 방법은 번제의 방법과 거의 유사한데 그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헌제자가 제물이 될 짐승을 끌고 여호와 앞으로 나아온다.
② 헌제자의 손을 제물의 머리 위에 얹고 안수한다.
③ 헌제자가 제물을 잡아 피를 제사장에게 주면 제사장은 그 피를 번제단 사면에 뿌린다.
④ 헌제자가 제물의 가죽을 벗기고 그 속의 내장에 덮인 기름과 내장에 붙은 모든 기름과 콩팥과 그 위의 기름과 허리 근방에 있는 것과 간에 덮인 것을 제사장에게 주면 제사장은 그것들을 받아 제단에서 불사른다.
⑤ 제물의 가슴은 \'요제\'로 제물의 우편 뒷다리는\'거제\'로 흔들어 제사장의 음식으로주어지는데 제사장과 가족들은 그것을 그날에 다 먹어야 하며 남은 것은 불에 태워야 했다.
4) 화목제의 특색
화목제는 다른 제사와는 달리 두 가지의 특색이 있었다. 그것은 첫째로, 의무적인 제사가 아닌 \'선택적인 제사\'로서 \'자원함으로나\'(레7:16), \'서원함으로\'(레7:16, 삼상1;21이하), 그리고 \'감사함으로\'(레7:15)드리는 제사였으며, 둘째로, 화목 제물의 고기를 헌제자도 먹을 수 있는 일종의 축제 형식의 제사였다는 점이다(레7:15-21).
5) 화목제의 영적 의미
화목제의 영적 의미는 화목제의 성격이 드러내는 바 그대로 하나님과 죄인을 화목케 하는 \'화목 제물되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상징\'과(롬3:25,엡2:13,골1:20), 그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목을 누리는 성도들의 친교인 \'성만찬에 대한 예표\'이다(고전10:16).
4. 속죄제(Sin Offering)
1) 어의
속죄제를 뜻하는 히브리어 \'하타트\'는 \'과녁에서 벗어나다\', \'죄를 짓다\', \'속죄물을 드리다\', \'속죄하다\'를 뜻하는 \'하타\'에서 파생된 것으로 \'하나님의 법에서 벗어난 죄로부터 청결과 속죄함을 얻기 위하여 드리는 제사\'를 뜻한다.
2) 제물의 종류
속죄제의 제물은 범죄자의 사회적인 위치에 따라 달랐다.
① 제사장 -- 흠 없는 수송아지를 드림(레4:3)
② 온 회중 -- 수송아지를 드림(레4:13)
③ 족장 -- 흠 없는 수염소를 드림(레4:23)
④ 평민 -- 흠 없는 암양이나 암염소를 드림(레4:28)
이 외에도 가난한 자는 산비둘기나 집비둘기를 제물로 드릴 수 있었으며(레5:7), 이보다 더 가난한 자는 고운 가루 에바 십분의 일을 제물로 드릴 수 있었다(레5:11).
3) 속죄제의 방법
① 헌제자가 제물이 될 짐승을 회막문 여호와 앞으로 가져온다.
② 헌제자의 손을 제물의 머리 위에 얹고 안수한다.
③ 헌제자가 제물을 잡아 피를 제사장에게 주면 제사장은 그 피를 손가락으로 찍어 성소 앞에 일곱 번 뿌리고 향단 뿔에 바른 후 회막 앞과 번제단 밑에 전부 쏟는다.
④ 희생 제물의 모든 기름과 콩팥을 번제단 위에서 불사른 후 그 나머지 부분은 진 바깥 재 버리는 정결한 곳에서 나무 위에 놓고 불사른다. 그러나 아론과 그 아들들을 위한 속죄제는 진 밖에서 불사르지 않고 다리와 고기를 회막 뜰에서 구워 먹도록 하였다(레6:24-27)
4) 속죄제와 속건제의 차이
속죄제의 목적은 \'범죄에 대한 용서\'를 위한 것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목적은 속건제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이 둘은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첫째는, 범죄의 성격적 차이로서 속죄제가 하나님께 범죄한 자, 즉 \'율법을 범한 죄\'를 위한 제사였던 반면에, 속건제는 인간에게 범죄한 죄, 즉 \'도덕적인 범죄의 대속을 위한\' 제사였다.
둘째는, 속죄제는 속건제와는 달리 \'범죄한 일을 배상할 수 없는 죄\'에 대한 용서를 구하는 제사였던 반면, 속건제는 \'배상이 가능한 죄\'에 대한 용서를 구하는 제사였다는 점이다.
5) 속죄제의 영적 의미
속죄제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를 지심으로 모든 인류의 죄를 대속하신 \'그리스도의 대속 사역\'을 상징한다. 그리스도는 실로 속죄 희생의 어린 양이 되셔서 (벧전1:19) 모든 인류의 대속물이 되셨는데, 그의 죽음의 장소는 속죄제 희생 제물이 진 바깥 정결한 곳에서 불살라진 것처럼 예루살렘 성 바깥의 골고다 산상의 고통스런 십자가였다.
5. 속건제(Tresspass Offering)
1) 어의
속건제를 뜻하는 히브리어 \'아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5.26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9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