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신고전학파의 개념
Ⅱ.본론
1.신고전학파의 성립배경
2.신고전학파의 학자들
-마샬
-피구
Ⅲ.결론
-신고전학파의 개념
Ⅱ.본론
1.신고전학파의 성립배경
2.신고전학파의 학자들
-마샬
-피구
Ⅲ.결론
본문내용
의해 결국 이 모순이 극복되어 사회적 후생의 극대와 조화적 발전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 모순은 제1차 대전 이후에 영국에서 더욱 확실하여졌다. 피구는 이 문제에 직면하여 「후생경제학The Economics of Welfare」을 저술하여 해결책을 제시하려 하였다. 그는 세 가지 주요명제를 들고 있다. 즉 다른 사정이 동일하다면 첫째, 국민분배분의 평균량이 크면 클수록 둘째, 분배가 균등화되어 빈자에게 돌아가는 국민분배분이 크면 클수록 셋째, 국민분배분의 변동이 작으면 작을수록 경제적 후생은 커진다고 하여 첫째 명제의 원리, 즉 한계생산력 균등과, 둘째 및 셋째 명제의 원리 즉 한계효용균등의 법칙 실현의 내적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첫째 명제를 주로 하여 자본주의의 체계를 긍정하여 둘째, 셋째 명제의 실현이 첫째 명제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모순을 극복하여 체계화하려 하였다. 그는 이 문제를 1930년대의 대공황 속에서 고용 및 실업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발전시켰다. 케인즈의 분석은 구조적 실업의 발생에 대하여 피구를 포함한 고전학파 및 신고전학파의 이론을 비판하여 불완전고용상태하의 균형을 해결하는 새로운 이론체계를 탄생시켰다. 그리고 그것은 국가적 통제나 공공 사업에 의한 실업의 해결책을 요청하기에 이른 것이다.
케인즈에 의하여 일단 비판을 받고 수정된 신고전학파이론은 그 전제조건이 경제사회의 진전과 더불어 현실과 매우 달라지게 되었다. 특히 기업에 관한 이론은 다음과 같이 크게 변하게 되었다. 첫째, 국민 경제를 구성하는 단위경제주체는 분권적인 시장기구를 통해서 소유하고 있는 희소자원을 자유로이 사용 및 처분할 때 그 양에 있어서나 그 과정에 있어서 외부비경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묵시적인 조건이다. 그러나 개인이나 개별기업이 자유처분 할 수 있는 희소자원의 양이 너무 많거나 혹은 처분과정에서 제3자나 사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외부비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날 때에는 분권적인 경제주체에 의한 선택의 자유는 그대로 허용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한계에는 어떠한 형태로든지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고전학파 및 신고전학파 이론상 엄격한 의미에서 생산의 주체는 기업가이지 \'기업\'이 아니었다. 생산자는 생산기간이 전혀 없는 가운데 각종 생산요소를 결합하여 생산공정에 투입하면, 곧 제품이 생산되며 수요 · 공급의 균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자본주의경제가 발전됨에 따라서 생산자본의 축적은 생산요소의 고정화, 생산의 우회화 및 기간의 장기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업을 구성하는 물적 자원으로의 고정자산의 고정성은 높아지며, 이에 따라 인적자원의 고정성도 커져 자연히 기업을 구성하는 생산요소에 대한 법적 소유자의 처분의 자유성도 제한을 받게 되어 소유와 경영의 분리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경제의 생산주체는 추상적인 개인으로 되돌리거나 분해할 수 없으며, 오직 유기적인 조직체로서의 주식회사, 합자회사, 합명회사 등의 \'기업\'이라는 점이 강조되어졌다. 그러나 여전히 자유자본주의 경제의 본질은 존속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첫째로 주식을 통한 유기적인 생산조직체로서의 기업소유를 포함하는 사유재산제도를 의미하며 둘째, 선택과 행동의 지표로서의 이윤추구가 그것이며, 끝으로 유기적 조직체로서의 기업을 포함한 경제주체의 자유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신고전학파 [新古典學派, neo-classical school]
cc.kangwon.ac.kr/~jinykim/spboard/board.cgi?action=dow....
[네이버 지식백과]피구 [Arthur Cecil Pigou] (경제학사전, 2011.3.9, 경연사)
케인즈에 의하여 일단 비판을 받고 수정된 신고전학파이론은 그 전제조건이 경제사회의 진전과 더불어 현실과 매우 달라지게 되었다. 특히 기업에 관한 이론은 다음과 같이 크게 변하게 되었다. 첫째, 국민 경제를 구성하는 단위경제주체는 분권적인 시장기구를 통해서 소유하고 있는 희소자원을 자유로이 사용 및 처분할 때 그 양에 있어서나 그 과정에 있어서 외부비경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묵시적인 조건이다. 그러나 개인이나 개별기업이 자유처분 할 수 있는 희소자원의 양이 너무 많거나 혹은 처분과정에서 제3자나 사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외부비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날 때에는 분권적인 경제주체에 의한 선택의 자유는 그대로 허용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한계에는 어떠한 형태로든지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고전학파 및 신고전학파 이론상 엄격한 의미에서 생산의 주체는 기업가이지 \'기업\'이 아니었다. 생산자는 생산기간이 전혀 없는 가운데 각종 생산요소를 결합하여 생산공정에 투입하면, 곧 제품이 생산되며 수요 · 공급의 균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자본주의경제가 발전됨에 따라서 생산자본의 축적은 생산요소의 고정화, 생산의 우회화 및 기간의 장기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업을 구성하는 물적 자원으로의 고정자산의 고정성은 높아지며, 이에 따라 인적자원의 고정성도 커져 자연히 기업을 구성하는 생산요소에 대한 법적 소유자의 처분의 자유성도 제한을 받게 되어 소유와 경영의 분리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경제의 생산주체는 추상적인 개인으로 되돌리거나 분해할 수 없으며, 오직 유기적인 조직체로서의 주식회사, 합자회사, 합명회사 등의 \'기업\'이라는 점이 강조되어졌다. 그러나 여전히 자유자본주의 경제의 본질은 존속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첫째로 주식을 통한 유기적인 생산조직체로서의 기업소유를 포함하는 사유재산제도를 의미하며 둘째, 선택과 행동의 지표로서의 이윤추구가 그것이며, 끝으로 유기적 조직체로서의 기업을 포함한 경제주체의 자유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신고전학파 [新古典學派, neo-classical school]
cc.kangwon.ac.kr/~jinykim/spboard/board.cgi?action=dow....
[네이버 지식백과]피구 [Arthur Cecil Pigou] (경제학사전, 2011.3.9, 경연사)
키워드
추천자료
소득분배의 이론
장하준의 국가의 역할 요약
시장인가 정부인가 (김승욱, 김재익 외) 서평
경제학 관련서적 독후감 레포트 [경제학클래식 카페]
[나쁜 사마리아 인들]-독후감
CGE 모형을 통한 한·칠레 FTA 경제효과 분석
[사회과학]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윤리경영, 기업윤리
기술혁신과 경제성장과의 관계에 대하여 논하세요.
지식기반 경제와 디지털 경제의 의의(정의)와 특징
기초 경제의 이해
기초 경제의 이해
인적자본론 찾아서 요약정리 그리고 비판적인 나의 생각
아담 스미스(Adam Smith), 존 메이너스 케인스(John Maynard Keynes), 칼 하인리히 마르크스(...
부동산평가의 의의와 대상, 감정평가제도의 필요성, 부동산 감정평가의 기능, 부동산 감정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