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신대 주성준교수 <신약개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총신대 주성준교수 <신약개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하스모니안 왕조 이후에 유대 왕으로써 헤롯이 등극하게 되죠. 헤롯 사후에 그 아들들 그리고 이어지는 아그립바 1,2세 헤롯의 계보에 보면 34페이지, 칼시스의 헤롯, 헤롯 아그립바 2세를 마지막으로 해서, 헤롯 왕조는 역사에서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이제 베스파시안 장군이 유대 전쟁을 토벌하기 위해 유대인들을 다스리기 위해 유대지방에 진군해 왔을 때, 포로가 되었던 유대인 요세푸스가 베스파시안 황제가 될 것이다. 베스파시안과 더불어 로마에 가서 말년에 잘 지내게 된다. 그 당시 유대인에 관한 역사, 전쟁 고대의 이야기들을 로마인들에게 유대교를 변증하기 위해 기록되었다. 뭐 그렇게 해석하는데, 아무튼 유대인에 대한 귀한 자료를 남긴 1세기 사람.
사해 두루마기 사본. 쿰란이라는 지역에 동굴에서 발견된 쿰란문서. 이런 사본들을 통해서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2세기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유대교에 특정한 쿰란공동체라고 붙여진 그 곳의 것을 알게 된다. 율법을 중요한 가르침으로 가르치고 전했을 뿐 아니라 자체적으로 자기들 나름대로 공동체 삶의 규율을 정하고, 자기 정체성을 의의 선생님을 좇는 빛의 아들로 그리고 어둠의 아들들을 대항하는 전쟁으로 인식했다.
그 외에 사해 사본 번호를 붙이고 알파벳을 붙여놨는데, .. 응? 20p 박스를 보면 어떻게 번호를 붙이고 했는지 알 수 있다.
유대인들이 남긴 자료. 외경, 위경,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유대교 철학자 파일러(필러)라고 하는 헬라 철학을 가지고 유대교를 해석하려고 했던 그 사람. 주후 1세기 예수님 동시대에 살았던 사람이다.
랍비어로 미쉬나라든가, 탈무드라든가, 이런거 볼 수 있는데 이 어록에 집대성한 연대가 뜻밖에도 구약과 관련된 유대교와 관련되어진 내용이지만 기원 후 200년, 400년에 해당하는 것을 봐서 유대교와 기독교와의 관계라는 것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또 구약 혹은 유대교와 관련된, (유대교 하면 구약이라고 생각하니까),- 자료라고 할지라도 신약 이후에도 고쳐지거나 수정될 수 있다는 수정되거나 삽입, 보완될 수 있다는 사실을 감안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 다음, 구약에 아람어 의역에 해당하는 페라프레이즈, 탈굼이라고 하는, 구전으로 전해졌지만 나중에 후대 8세기경이라고 알려져 있다. 기록되어 졌다.
세례요한과 쿰란 공동체, 세례요한은 예수님보다 6개월 먼저 태어난 사촌형. 성장해서 그는 광야에 나가, 광야에서 메시아가 올 것이라 외치기 시작함. 요단강에서 세례를 주고. 세례요한은 독특한 라이프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성경에서 세례요한을 묘사할 때, 짐승의 털로 옷을 해 입고, 메뚜기하고 석청.
17+40 - 57.. 왜케 정정하시니 ㅋㅋㅋ
Chosen people of God
조선 .? ㅋㅋㅋㅋㅋ
헬라와 로마의 역사가들, 이 사람들이 쓴 내용들은 유대지방 유대인들의 삶, 유대인들과 고나련된 것은 매우 적다. 겁먹지마라. 그러나 이렇게 적은 것들도 소중히 여겨야 한다. 자료가 워낙 없다.
24-25p 연표보시면 이해되나요? 오케이
페[르시아 시대로부터 유대전쟁 시대에 까지의 역사를 신약성경을 이해하는 좋은 자료.
셀류키드 왕조에 대항한 마카비 운동은 성공해서 하스모니아 왕조를 세우게 되죠. 수전절이라고 하는, 빛의 절기라고 하는, 하누카제라고 하는 이 절기를 이어 지키게 된다. 역사적으로 아주 중요한 사건이였어요. 그러나 여전히 그들은 예루살렘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따. 일시적인 회복은 있었으나 영원한 회복은 아직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것이 오늘날 유대교에 속한, 유대인들에게 어떤 심정일까. 흑흑흑.
하스모니안 왕조, 이미 헬라 그리스 문화라는 것이 신약시대의 유대 지방도 그냥 내버려 둔 것이 아니라 예루살렘 성도 보호된 영역이 아니다라고 인식해야 한다.
30p부터 기원전 63년 폼페이우스가 예루살렘에 들어왔던 그 시기까지, ㅎ넘어가서 헤롯 가문.
하스모니안 을 무너뜨리고 헤롯은 유대 왕의 칭호를얻고 유대왕국을 세웠다. 파사헬과 헤롯이 있는데, 엔티고니우스에 의해 파사헬은 처형당하고, 헤롯은 살아남아 로마의 원로원에 가서 원로원을 설득하고 유대왕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군대를 붙여주지 않아서, 헤롯 단신이 유대지방으로 돌아와 자기가 자기 군대를 만들어서 군대를 가지고 싸움을 해가지고 엔티고니우스를 잡아 죽임으로서 하스모니안 왕조는 무너지고, 유다 왕국 헤롯 왕조가 시작되었다.
연표를 보면 헤롯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들이 있다. 이들이 왕이라는 칭호를 얻고 통치했던 이들이다. 헤롯의 부인 나온 이들만 5명.. 헐퀴. 대단한데.
아켈라우스는 성품이 잔인하고, 성전 엄무에 지나치게 간섭해 유대인의 미움을 사고, 유대인이 황제에게 호소했다. 아켈라우스는 왕의 자격이 없다. 그래서 로마에 소환당해 유배 가서 돌아오지 못함.
그 이후로 기원전 6년부터 유대지방은 황제가 직접 파송하는 총독에 의해서 다스려지게 되었다.
헤롯 안티파스는 아버지 못지않게 유능한 정치가였다. 그러나 세례요한의 죽음.
예수님의 제자들, 예수님께서 둘씩 둘씩 파송하죠. 마가복음에서. 이 사람들이 가서 예수님이 가르쳐준 대로 했는데, 병도 고치고, 귀신도 쫓아내고, 천국 복음을 선포하고. 감동. 으앙. 제자들이 돌아와서 신나서 보고하느라고 밤 늦게까지 이야기 하는 중간에 보면, 세례요한에 죽음에 대한 내용이 비교적 굉장히 길고 자세하게 들어가 있다. 마가복음은 가장 짧은 복음서이기도 하고, 모든 표현이 구체적인 표현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간략하다. 그런데 세례요한의 죽음은 왜 거기에 들어가있는지도 잘 모르겠는데, 제자들을 파송하고 돌아와 보고하는 사이에 아주 큰 부분으로 들어가 있다. 샌드위치!!! 어떤 한 가지 사건이 진행되는 중간에 들어가 있는 샌드위치
ex) 샌드위치는 중풍병자 고치는 이야기, 중풍병자 고치는 가운데 지붕 뚫고 내려왔다. 중풍병자 안의 샌드위치는 주님께서 죄사함의 권세를 가진 자다!!!!!
제자 파송하고 보고하는 이야기 중의 샌드위치 세례요한의 죽음. 기적과 기사를 기뻐할 것이 아니라... 샌드위치는 빵도 중요하다. 겉의 빵도 맛있어야지. 중간에 있는 것이 맛있어야 하니까, 중간이 더 중요하다 생각할 수 있느
  • 가격3,5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14.05.29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0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