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종류
3. 담도암의 원인
4. 증상
5. 진단방법
6. 병기
7. 치료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헌병력
-과거력
-가족력
-각 기관별 문진
3) 간호력
4) 신체검진
5) 진단을 위한 검사
6) 치료 및 경과
2. 간호과정 적용
V. 결론
※ 참고문헌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종류
3. 담도암의 원인
4. 증상
5. 진단방법
6. 병기
7. 치료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헌병력
-과거력
-가족력
-각 기관별 문진
3) 간호력
4) 신체검진
5) 진단을 위한 검사
6) 치료 및 경과
2. 간호과정 적용
V.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지 사정 한다.
3.질환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한다.
4.질환을 악화 시킬 수 있는 위험 요인에 대해 대상자의 수준에 맞춰 교육한다.
5.교육에 대한 이해를 수시로 평가하고 말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6.대상자의 가족도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1.질병에 대한 지식수준을 사정 하였다.
2.질환을 악화 시킬 수 있는 위험 요인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사정 하였다.
(스트레스와 무리한운동이외에는 답하지 못하였음)
3.질환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하기 위해 자료를 제공 하였다.
4. 질환을 악화 시키는 위험요인에 대해 교육 하였다.
5.교육에 대한 이해를 자주 평가 하였고 쉽게 말할 수 있게 같이 논의 하였다.
6.대상자와 학습할 때마다 가족들도 같이 참여 시키며 지지 하였다.
<가족과 함께 함으로써 더욱 더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게 함 이다.>
<단기목표 달성>
-대상자는 4월 29일 질병과정에 대해 정확히 대답하였다.
<장기목표 달성>
-대상자는 5월 4일 질병에 대한 위험요인을 3가지 이상 대답 하였다.
(스트레스, 운동, 흡연, 추위 노출, 식이, 비만)
#4 심근의 저산소증과 관련된 통증
날짜
간호 진단 및 자료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간호 평가
4/28
간호진단
심근의 저산소증과 관련된 통증
주관적 자료
“가슴이 답답하고 아파”
“숨을 잘 못 쉬겠어..”
“예민해서 그런지 스트레스를 자주 받아”
”
객관적 자료
-통증을 느끼는 얼굴표정
-통증을 느낄시 통증scale이 4로 측정
<단기목표>
대상자는 5월 2일까지 스트레스 방지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5월 4일까지 통증scale이 2로 측정 된다.
1.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2.흉통을 유발시키는 요인을 논의 한다.
3.휴식을 취하게 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 한다.
4.스트레스 방지법을 교육한다.
1.통증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대상자의 통증은 4로 측정 되었다)
2.흉통을 유발시키는 요인을 자주 함께 논의 하였다.
<흉통을 유발하는 요인을 알게 함으로써 원인이 되는 활동을 피할 수 있다.>
3.무리한 운동을 피하게 하고 병실을 조용한 환경으로 만들어 주었다.
<심근의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단기목표 달성>
-대상자가 5월 2일 다른 환자분에게 스트레스 방지법에 대해 말하는 것 을 볼 수 있었다.
<장기목표 미달성>
-대상자에게 4월 28일 29일 실시한 통증scale이 4일에 3로 측정 되었다.
Ⅴ. 결론
처음실습을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너무나도 설?다. 하지만 떨림도 잠시 병동의 Dynamic함을 볼 수 있었다. 병동은 항상 긴장감을 방불케 했다. 실습하는 도중 환자분이 expire하는 경우도 보았기 때문에 긴장을 늦출 수 없었다. 이번에는 202병동에서 동, 서 모두 돌아가며 맡게 되었는데 동편에서는 MRSA 환자를 직접 볼 수 있었다. OT시간에 수간호사 선생님께서 MRSA환자는 가능하면 마지막으로 간호 수행을 하라고 지시하였다. MRSA 환자의 이름표엔 손씻기 그림이 그려져 있어서 인상적이었다. 간호사들에게 계속 일깨워 줌으로써 병원감염을 예방하려는 의도였다. 간호사의 가장 기본적인 간호수행으로 환자들의 Vital을 기록했다. routine으로 한번재고 special vital을 재는 것은 환자들의 상태를 살펴보기 위함이었다. vital에는 환자들의 상태가 그대로 드러나고 가장 알기쉬운 비침습적인 처지이기 때문에 vital으로 환자들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인계를 시작으로 투약 준비와 처치 투약기록 v/s와 I&O BST checked등 병동의 하루가 돌아간다. 환자분별로 나누어진 카트서랍에 각각 투약될 약이 준비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list를 보면서 mix와 syringe에 미리 재어놓고 대상자 확인과 등록번호확인이 이루어진 후 투약이 이루어진다. 대상자를 확인할 때는 개방성 질문으로 해야한다. 수액속도 조절, 모든 line은 수액이 잘 들어가는지 막히지 않았는지 regage를 꼭 했다. 11시에 하는 v/s, DM 환자분들을 대상으로 BST Checked 혈당이 높게 나왔을시에 보고하여 인슐린을 투약하였다. v/s시 통증사정과 I&O checked 등 전반적인 병동의 하루를 조금씩 배웠다. 선생님들도 바쁜 와 중에도 Acting 하나하나 설명해주셨다. 날카로운 질문도 많이 해주시고 왜 이렇게 하는지 왜 이 검사를 하는지 책으로 혼자 외우는 것 보다 이렇게 실습으로 배우니 머릿속에 쏙쏙 들어왔다. 간호사는 담당 환자분 한분마다 모든 경과를 다 알고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투약이 되는 약도 왜 들어가는지 알고 이상한 점이 있으면 발견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계가 중요한 것 같다. 바뀐 약, 그 환자의 바뀐 상태 등을 Check하여 대응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중요한 것은 투약이다. 모든 약의 부작용은 다 알 수 없지만 자주 쓰이는 약들과 기본적인 약들의 투여경로 주의사항은 꼭 알아두어야 한다. 어떤 약들은 N/S로 MIX 하면 크리스탈이 생기는 약이 있어 꼭 주사용수로 MIX 를 해야 한다고 한다. 이런 지식들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피해는 모두 환자에게 가게 되어있다. acting 하나하나 cost를 매기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 심지어 IV 할때 Catheter도 cost가 붇고 BST도 cost가 붙는다고 한다. 우선 환자를 위한 마음이 있어야지 만 이런 세세한 것들까지 생각하게 될 것 같다. 간호사는 정말 많은 지식도 있어야 하고 상황에 따른 대처요령 센스, 환자분들과 라포형성 능력 등 여러모로 다재다능 해야한다. 또한 미래지향적인 간호사가 되기 위하여 영어능력은 필수임을 느꼈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환자는 Donald님이라는 USA국적의 환자분이셨는데 간호사들이 환자분께 영어로 설명하는 것을 보고 미래를 위해 영어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것을 느꼈다.
※ 참고문헌
* 최순희 외(2004). 표준화된 간호진단·결과·중재의 연계. 서울 : 수문사.
* 전시자 외(2008). 성인간호학 상. 서울 : 현문사.
* 경북대학교병원 EMR 약품정보조회, 통합결과/기록 조회
* http://www.druginfo.co.kr
3.질환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한다.
4.질환을 악화 시킬 수 있는 위험 요인에 대해 대상자의 수준에 맞춰 교육한다.
5.교육에 대한 이해를 수시로 평가하고 말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6.대상자의 가족도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1.질병에 대한 지식수준을 사정 하였다.
2.질환을 악화 시킬 수 있는 위험 요인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사정 하였다.
(스트레스와 무리한운동이외에는 답하지 못하였음)
3.질환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하기 위해 자료를 제공 하였다.
4. 질환을 악화 시키는 위험요인에 대해 교육 하였다.
5.교육에 대한 이해를 자주 평가 하였고 쉽게 말할 수 있게 같이 논의 하였다.
6.대상자와 학습할 때마다 가족들도 같이 참여 시키며 지지 하였다.
<가족과 함께 함으로써 더욱 더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게 함 이다.>
<단기목표 달성>
-대상자는 4월 29일 질병과정에 대해 정확히 대답하였다.
<장기목표 달성>
-대상자는 5월 4일 질병에 대한 위험요인을 3가지 이상 대답 하였다.
(스트레스, 운동, 흡연, 추위 노출, 식이, 비만)
#4 심근의 저산소증과 관련된 통증
날짜
간호 진단 및 자료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간호 평가
4/28
간호진단
심근의 저산소증과 관련된 통증
주관적 자료
“가슴이 답답하고 아파”
“숨을 잘 못 쉬겠어..”
“예민해서 그런지 스트레스를 자주 받아”
”
객관적 자료
-통증을 느끼는 얼굴표정
-통증을 느낄시 통증scale이 4로 측정
<단기목표>
대상자는 5월 2일까지 스트레스 방지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5월 4일까지 통증scale이 2로 측정 된다.
1.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2.흉통을 유발시키는 요인을 논의 한다.
3.휴식을 취하게 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 한다.
4.스트레스 방지법을 교육한다.
1.통증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대상자의 통증은 4로 측정 되었다)
2.흉통을 유발시키는 요인을 자주 함께 논의 하였다.
<흉통을 유발하는 요인을 알게 함으로써 원인이 되는 활동을 피할 수 있다.>
3.무리한 운동을 피하게 하고 병실을 조용한 환경으로 만들어 주었다.
<심근의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단기목표 달성>
-대상자가 5월 2일 다른 환자분에게 스트레스 방지법에 대해 말하는 것 을 볼 수 있었다.
<장기목표 미달성>
-대상자에게 4월 28일 29일 실시한 통증scale이 4일에 3로 측정 되었다.
Ⅴ. 결론
처음실습을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너무나도 설?다. 하지만 떨림도 잠시 병동의 Dynamic함을 볼 수 있었다. 병동은 항상 긴장감을 방불케 했다. 실습하는 도중 환자분이 expire하는 경우도 보았기 때문에 긴장을 늦출 수 없었다. 이번에는 202병동에서 동, 서 모두 돌아가며 맡게 되었는데 동편에서는 MRSA 환자를 직접 볼 수 있었다. OT시간에 수간호사 선생님께서 MRSA환자는 가능하면 마지막으로 간호 수행을 하라고 지시하였다. MRSA 환자의 이름표엔 손씻기 그림이 그려져 있어서 인상적이었다. 간호사들에게 계속 일깨워 줌으로써 병원감염을 예방하려는 의도였다. 간호사의 가장 기본적인 간호수행으로 환자들의 Vital을 기록했다. routine으로 한번재고 special vital을 재는 것은 환자들의 상태를 살펴보기 위함이었다. vital에는 환자들의 상태가 그대로 드러나고 가장 알기쉬운 비침습적인 처지이기 때문에 vital으로 환자들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인계를 시작으로 투약 준비와 처치 투약기록 v/s와 I&O BST checked등 병동의 하루가 돌아간다. 환자분별로 나누어진 카트서랍에 각각 투약될 약이 준비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list를 보면서 mix와 syringe에 미리 재어놓고 대상자 확인과 등록번호확인이 이루어진 후 투약이 이루어진다. 대상자를 확인할 때는 개방성 질문으로 해야한다. 수액속도 조절, 모든 line은 수액이 잘 들어가는지 막히지 않았는지 regage를 꼭 했다. 11시에 하는 v/s, DM 환자분들을 대상으로 BST Checked 혈당이 높게 나왔을시에 보고하여 인슐린을 투약하였다. v/s시 통증사정과 I&O checked 등 전반적인 병동의 하루를 조금씩 배웠다. 선생님들도 바쁜 와 중에도 Acting 하나하나 설명해주셨다. 날카로운 질문도 많이 해주시고 왜 이렇게 하는지 왜 이 검사를 하는지 책으로 혼자 외우는 것 보다 이렇게 실습으로 배우니 머릿속에 쏙쏙 들어왔다. 간호사는 담당 환자분 한분마다 모든 경과를 다 알고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투약이 되는 약도 왜 들어가는지 알고 이상한 점이 있으면 발견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계가 중요한 것 같다. 바뀐 약, 그 환자의 바뀐 상태 등을 Check하여 대응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중요한 것은 투약이다. 모든 약의 부작용은 다 알 수 없지만 자주 쓰이는 약들과 기본적인 약들의 투여경로 주의사항은 꼭 알아두어야 한다. 어떤 약들은 N/S로 MIX 하면 크리스탈이 생기는 약이 있어 꼭 주사용수로 MIX 를 해야 한다고 한다. 이런 지식들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피해는 모두 환자에게 가게 되어있다. acting 하나하나 cost를 매기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 심지어 IV 할때 Catheter도 cost가 붇고 BST도 cost가 붙는다고 한다. 우선 환자를 위한 마음이 있어야지 만 이런 세세한 것들까지 생각하게 될 것 같다. 간호사는 정말 많은 지식도 있어야 하고 상황에 따른 대처요령 센스, 환자분들과 라포형성 능력 등 여러모로 다재다능 해야한다. 또한 미래지향적인 간호사가 되기 위하여 영어능력은 필수임을 느꼈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환자는 Donald님이라는 USA국적의 환자분이셨는데 간호사들이 환자분께 영어로 설명하는 것을 보고 미래를 위해 영어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것을 느꼈다.
※ 참고문헌
* 최순희 외(2004). 표준화된 간호진단·결과·중재의 연계. 서울 : 수문사.
* 전시자 외(2008). 성인간호학 상. 서울 : 현문사.
* 경북대학교병원 EMR 약품정보조회, 통합결과/기록 조회
* http://www.druginfo.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