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하는 실험이었다. TLC 사진에서 점이 뚜렷하게 구분이 안되는 이유는 반응을 시킬 때 질소풍선을 통해 불순물을 최대한 없애야 하는데 실수로 한번에 질소를 많이 빼내어 소량의 공기가 섞여 TLC 사진모양이 선명하지 못했던 것 같다. 또한 조원중 한명이 TLC막에 손가락을 대어 미세하게 막이 손상되어, 막이 원 역할을 못하여 사진이 잘 못나온 것 같다.
분리를 할 때 용액이 처음엔 진하다 옅어지다 다시 진해지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이는 관에 실리카 겔 이나 솜들이 수평을 조원들이 최대한 이뤘지만 고정을 시키면서 조금씩 관이 기울어 지는 것을 확인할수있었다. 이에 용액이 한쪽으로만 쏠였을 가능성이 있어 이런 현상이 나타난것같다. 마지막으로 수율을 구하고 싶었지만 아세톤대신 물을 넣어 못 구하였는데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좀더 세심하게 해서 수율까지 구하고 싶다.
5. 참고문헌
"Efficient Synthesis of Biologically Interesting Dehydro-α-Lapachone and α-Lapachone", Yong Rok Lee* and Won Kyong Lee. Synthetic Communications 2004, 34, 4537.
분리를 할 때 용액이 처음엔 진하다 옅어지다 다시 진해지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이는 관에 실리카 겔 이나 솜들이 수평을 조원들이 최대한 이뤘지만 고정을 시키면서 조금씩 관이 기울어 지는 것을 확인할수있었다. 이에 용액이 한쪽으로만 쏠였을 가능성이 있어 이런 현상이 나타난것같다. 마지막으로 수율을 구하고 싶었지만 아세톤대신 물을 넣어 못 구하였는데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좀더 세심하게 해서 수율까지 구하고 싶다.
5. 참고문헌
"Efficient Synthesis of Biologically Interesting Dehydro-α-Lapachone and α-Lapachone", Yong Rok Lee* and Won Kyong Lee. Synthetic Communications 2004, 34, 453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