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 명 :
2. 프로그램 작성의 배경 및 필요성
3 프로그램의 목적
4 프로그램실시의 대상
5 프로그램의 이론적(문헌적) 또는 실태적 배경
6. 프로그램 구성
7. 프로그램의 실시방법
8. 각 회기 구성
2. 프로그램 작성의 배경 및 필요성
3 프로그램의 목적
4 프로그램실시의 대상
5 프로그램의 이론적(문헌적) 또는 실태적 배경
6. 프로그램 구성
7. 프로그램의 실시방법
8. 각 회기 구성
본문내용
했던 사례를 털어놓으면서 토론하고 해결책을 서로 나누는 실습을 병행하여 진행한다.
8. 각 회기 구성
1회기 건강한 의사소통 기술과 정신건강의 관계 듣기와 말하기에서의 문제점 확인하기
2회기 : 잘 듣고 잘 말하기 경청기술 연습하기. 생각과 감정 표현하기
3회기 : 의사소통에서 생각과 감정 조절하기 화가 났을 때. 슬플 때 힘들 때 자식들과 이 야기할 때 갈등 상황에서
4회기 :의사소통에서 변화 확인하기 듣기 말하기 생각 감정 조절하기
[ 1회기 - 건강한 의사소통 기술과 정신건강의 관계 : 듣기와 말하기에서의 문제점 확인하기 ]
목적 : 우리가 흔히 말하기 쉬운 말투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말들이 주는 심리적 영향을 분석하고 평소에 상처받을 수 있는 말을 알아본다.
단계
주제
형태(진행방법)
시간
비고(준비물)
도입
소 개
인사
- 프로그램 소개 및 강사소개
( 주변 환경. 시사. 날씨 등)
심호흡 ( 3~4회 정도 반복)
- 눈을 감고 숨을 크게 들여 마셔 보도록 한다.
10분
간단한 자신
소개
이름표 준비
전개
음악
들려
드림
음악치료
음악을 들려드림 (분위기가 아주 고요함)
눈을 감으시고 숨을 들여 마시면서 가장 좋았던 기억을 떠 올려 보게 한다. (5분정도)
눈을 뜨고 모든 분께 가장 좋았던 일을 말씀 하 게 한다.
ex) 50년 전 데이트 하던 이야기 또는 안개가 깔 린 호숫가를 거니는 느낌 등
음악을 들려 들인 것은 5분인데 모두 마음이 편하고 좋으셨다. 라고 말한다.
(집에서 짜증나거나 화날 때는 눈을 조용히 감고 환기를 시키면 마음이 편해진다는 것을 말씀드림.)
30분
CD 플레어 준비
(원더풀 DAY)
새소리 물 흐르는 소리가 잔잔하게 들림)
전개
(강의)
상대방의
말을 잘 듣는
방법과 잘 말하는 방법 강의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을 때 (우리가 가져야 할 기본태도 중 상대방을 수용하는 태도 설명)
1) 수동적 대화 방법 : 침묵의 대화
2) 대화의 열쇄를 사용하는 대화
3) 깊이 듣는 대화
가족, 그리고 이웃하고 이야기 할 때 대화를 하 기전에 여유 있는 준비하도록 함
(심호흡 : 대화기법 용어로 stop 라고 함)
나의 의사를 전달할 때
1) 나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해주는 대화
2) 상대방의 행동을 표현해주는 대화
우리는 가족이나 이웃사람들의 마음을 변화시킬 수는 없고 우리자신이 변화할 수밖에 없음을 알 여 드림.
20분
휴식 (간식준비는 충분하게 함)
10분
간식준비
전개
(실습)
나의 마음을
전하는 연습
상대방의 말을 듣는 연습
문제점 확인 하기
3분씩 짝을 지어 가장 최근에 섭섭했던 것, 화 났던 일을 서로 이야기 하도록 함. (3분정도 )
함께 이야기 나눈 3분을 앞으로 모셔 상황을 말 씀 하도록 하고 왜 기분이 나빠는가? 말하도록 함
들은 이야기를 모두에게 하기 (정확하게 들었는 지 알아보기)
기분이 나쁜 것을 마음에 담아 놓았을 때와 속 상했던 것을 털어놓은 후의 심정을 듣는다.
섭섭했던 마음을 왜 이야기 하지 않으셨는지 묻고 이런 일이 무수히 많은데 일일이
8. 각 회기 구성
1회기 건강한 의사소통 기술과 정신건강의 관계 듣기와 말하기에서의 문제점 확인하기
2회기 : 잘 듣고 잘 말하기 경청기술 연습하기. 생각과 감정 표현하기
3회기 : 의사소통에서 생각과 감정 조절하기 화가 났을 때. 슬플 때 힘들 때 자식들과 이 야기할 때 갈등 상황에서
4회기 :의사소통에서 변화 확인하기 듣기 말하기 생각 감정 조절하기
[ 1회기 - 건강한 의사소통 기술과 정신건강의 관계 : 듣기와 말하기에서의 문제점 확인하기 ]
목적 : 우리가 흔히 말하기 쉬운 말투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말들이 주는 심리적 영향을 분석하고 평소에 상처받을 수 있는 말을 알아본다.
단계
주제
형태(진행방법)
시간
비고(준비물)
도입
소 개
인사
- 프로그램 소개 및 강사소개
( 주변 환경. 시사. 날씨 등)
심호흡 ( 3~4회 정도 반복)
- 눈을 감고 숨을 크게 들여 마셔 보도록 한다.
10분
간단한 자신
소개
이름표 준비
전개
음악
들려
드림
음악치료
음악을 들려드림 (분위기가 아주 고요함)
눈을 감으시고 숨을 들여 마시면서 가장 좋았던 기억을 떠 올려 보게 한다. (5분정도)
눈을 뜨고 모든 분께 가장 좋았던 일을 말씀 하 게 한다.
ex) 50년 전 데이트 하던 이야기 또는 안개가 깔 린 호숫가를 거니는 느낌 등
음악을 들려 들인 것은 5분인데 모두 마음이 편하고 좋으셨다. 라고 말한다.
(집에서 짜증나거나 화날 때는 눈을 조용히 감고 환기를 시키면 마음이 편해진다는 것을 말씀드림.)
30분
CD 플레어 준비
(원더풀 DAY)
새소리 물 흐르는 소리가 잔잔하게 들림)
전개
(강의)
상대방의
말을 잘 듣는
방법과 잘 말하는 방법 강의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을 때 (우리가 가져야 할 기본태도 중 상대방을 수용하는 태도 설명)
1) 수동적 대화 방법 : 침묵의 대화
2) 대화의 열쇄를 사용하는 대화
3) 깊이 듣는 대화
가족, 그리고 이웃하고 이야기 할 때 대화를 하 기전에 여유 있는 준비하도록 함
(심호흡 : 대화기법 용어로 stop 라고 함)
나의 의사를 전달할 때
1) 나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해주는 대화
2) 상대방의 행동을 표현해주는 대화
우리는 가족이나 이웃사람들의 마음을 변화시킬 수는 없고 우리자신이 변화할 수밖에 없음을 알 여 드림.
20분
휴식 (간식준비는 충분하게 함)
10분
간식준비
전개
(실습)
나의 마음을
전하는 연습
상대방의 말을 듣는 연습
문제점 확인 하기
3분씩 짝을 지어 가장 최근에 섭섭했던 것, 화 났던 일을 서로 이야기 하도록 함. (3분정도 )
함께 이야기 나눈 3분을 앞으로 모셔 상황을 말 씀 하도록 하고 왜 기분이 나빠는가? 말하도록 함
들은 이야기를 모두에게 하기 (정확하게 들었는 지 알아보기)
기분이 나쁜 것을 마음에 담아 놓았을 때와 속 상했던 것을 털어놓은 후의 심정을 듣는다.
섭섭했던 마음을 왜 이야기 하지 않으셨는지 묻고 이런 일이 무수히 많은데 일일이
키워드
추천자료
[간호학과] 노인건강증진방안
노인건강정책
노인건강과 질병
노인건강보장제도정책
노인생활건강_중간고사_예상문제
[노인복지]노인건강
노인건강관리
[노인건강문제관리] 노인간호학 수면장애
[노인건강문제관리] 노인 치료지시이행, 노인 치료지시이행 관련 논문
폐경, 노화, Menopause, 폐경의미, 폐경이행과정, 폐경증상, 갱년기여성, 갱년기여성건강관리...
사회복지 프로그램) 북한이탈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정신건강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신건강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의 치유와 적응을 위한 정신건강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회복탄력성 강화를 통한 취약, 위기 노출 청소년의 정신건강 프로그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