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는 목적,오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글을 쓰는 목적,오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글을 쓰는 목적

2. 표현의 오류

3. 띄어쓰기의 오류

4. 맺음말

본문내용

성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제목을 정하였다. 나는 현재 4학년이라 취업을 위해 수많은 자기소개서를 쓰고 있다. 때로는 주변 지인들에게 의견을 구하기도, 때로는 혼자만의 생각에 잠겨서 자기소개서를 완성시키지만, 최근 첨삭을 통해 알게 된 것은 내 자기소개서에는 문법적으로 많은 오류가 있다는 것이다. 전혀 예상치 못했지만, 생각보다 많은 오류에 난감하기도 했으며, 이러한 오류를 범한 자기소개서로 지원한 회사에서는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하는 걱정마저 들었다. 때 마침, 언어와 표현 과제로 인해 정확한 문법을 한 번 더 정리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찾아 왔다. 이는 나에게 큰 도움을 줄 것이라 확신한다. 또한, 나 뿐 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문법적 오류를 정리할 수 있다는 생각과 함께 기쁜 마음으로 과제를 작성해 보려 한다.
2. 표현의 오류
현재 우리나라에는 한글 맞춤법이라는 규정된 법이 있다. 말하거나 표현하는 방식이 제각각이라면 우리의 문자 생활은 혼란에 빠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효율적인 문자 생활을 위해 한글 맞춤법은 정말 필수적인 법이라 생각한다.
한글 맞춤법의 제 1항에는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라고 적혀있다. 이처럼 어법에 맞는 표현법은 나와 같이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 과제를 할 때, 중요한 자리에서 연설을 할 때 등 수많은 곳에서 필요로 한다. 지금부터 어법에 맞는 표현을 위해 자주 틀리는 표현의 몇 가지 예를 듦으로써 그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해서 작성하겠다.
1) 병이 낳았다. -> 병이 나았다.
먼저, ‘병이 낳았다.’ 에서 ‘낳았다’ 는 사전적 의미로 ‘배 속의 아이, 새끼, 알을 몸 밖으로 내놓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병이 나았다.’ 에서 ‘나았다’ 는 사전적 의미로 ‘병이나 상처 따위가 고쳐져 본래대로 되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우리는 소리 나는 대로 말하다 보니, 낳았다와 나았다 사이에서 혼란을 겪었지만, 이는 단순히 단어의 뜻을 제대로 안다면 쉽게 고칠 수 있다.
2) 않 하고 -> 안 하고
나를 포함하여 정말 많은 사람들이 혼란을 겪고 있는 표현이라 생각한다. 이는 단순히 ‘안’ 은 ‘아니’ 라고 생각하면 되고 ‘않’ 은 ‘아니하’ 라고 생각하면 쉽게 해결 될 수 있다. 즉, ‘안’ 은 ‘아니’ 를 줄인 말이고, ‘않’ 은 ‘아니하’ 를 줄인 말이다. 예를 들어 “숙제 안 했니?” 와 “숙제 않 했니?” 중 어떤 문장이 맞는 문장일까? 답은 쉽게 앞의 문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유는 “숙제 안 했니?” 는 “숙제 아니 했니?” 로써 말이 되는 문장이다. 하지만
“숙제 않 했니?” 는 “숙제 아니하 했니?” 로써 말이 안 되는 문장이다.
3) 안 돼 -> 안 되
이 또한 많은 혼란을 가져다주는 표현이다. 위와 마찬가지로, ‘안 되’ 의 ‘되’ 는 ‘하’ 로,
‘안 돼’ 의 ‘돼’ 는 ‘해’ 로 해석을 하면 간단히 해결되는 문제이다. “이러시면 안 됩니다.” 와 “이러시면 안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6.08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2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