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의 성공전략 경영전략 사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마트의 성공전략 경영전략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이마트의 개요
1) 기업연혁
2) 비전
3) CI소개
4) 사업구조
5) 이마트웨이

II.이마트의 경영전략
1)SWEAT모델
2)새로운 시스템 구축 전략
3)신속한 시장진입 전략
4)소비자 중심의 판매전략
5)SWOT 전략
6)4P'S 전략

III. 경쟁사(월마트 코리아)분석
1)이마트와 월마트의 전략비교
2)점포선점
3)출점선점
4)월마트의 실패분석

IV.느낀점

본문내용

해도 5,000원 상당의 상품권을 주는 제도이며,적용상품과 비교 대상 점포는 2배 보상제도와 같고,당일 판매가격에 해당된다
3)Promotion 촉진
지역단체 재원 지원 프로그램
고객들의 구매 영수증을 모아 금액의 일부를 지역사회 또는 단체의 재원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지역단체 등록 후 영수증 함을 배정 받고 나서 이마트 구입 영수증을 모으면 총 금액의 0.5%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원금으로 환원하고 있다.
약속 불이행 보상제
‘대고객 약속 지키기 선언’으로 현장 근무 사원은 물론 임대업주의 고객과의 약속에 대한 경감식을 통해 궁극적으로 약속 불이행을 ZERO화 하기 위해 고객과의 약속을 지키지 못했을 경우 신세계 상품권 오천원을 보상해 주는 제도이다.
마일리지 서비스
한미은행이 지난 2000년 신세계 백화점 카드 사업부문을 인수하면서 발급하고 있는 신세계 비자카드는 신세계백화점과 E-MART에서 사용할 경우 1,000원당 포인트 5점씩이 적립되며 20,000점 적립 시 신세계 상품권 또는 결제대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컬러 마케팅
선명하고 밝은 느낌을 주는 노란색을 사용하여 할인점의 창고 형이라는 선입관을 씻는 데 한 몫 하였다. E-MART의 Brand mark역시 노란색과 검정색을 사용하여 선명하고 산뜻한 이미지를 만들었다. 즉, 색상을 통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높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생활 공간으로써의 이마트
할인점의 경쟁우위 요소는 가격,품질,서비스에서 고객가치충족으로 변화했다. 이마트는 이러한 고객 니즈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해 베스킨라빈스,맥도날드 등 패스트푸드점을 입점시켜 인근 주민들이 휴계장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유아 휴게실과 어린이 놀이방 등을 설치하고, 안경전문점, 사진현상소, 세탁소, 약국 등을 유치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E-MART를 시장이 아닌 생활공간의 일부로 끌어 들였다.
4) Place(유통)
선점 우위를 통한 강력한 교섭력
E-MART는 93년 창동점을 시작으로 2013년 8월 기준 국내 150개의 점포로 시장 점유율과 점포수에서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할인점은 ‘규모의 경제’가 지배하는 유통업태다. 입지 선점을 통한 바잉파워(Buying Power)의 증대는 제조업체에 대한 교섭력이 높아서 타 업체보다 저렴한 가격의 상품공급이 가능하게 되었다. 국내 최대 체인망을 보유함으로써 품질과 가격을 갖추지 못하는 제품은 과감히 거부할수도, 반대로 품질과 가격이 맞으면 엄청난 양을 구매할 수도 있다. E-MART는 강력한 유통력으로 거래의 주도권을 잡음으로써 궁극적으로 타업체보다 저렴한 가격의 상품공급을 가능하게 하였다.
점발주제(店發注制)
E-MART는 각 점포에서 필요한 물건의 수요를 정확히 파악해 중앙에 요청하는 점발주제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중앙에서 일률적으로 배분하는 시스템에서는 해당 지역 고객의 수요를 정확히 맞추지 못해 재고가 넘치거나,품절이 되는 상황이 발생하지만 점발주제 시스템은 고객 수요에 좀 더 밀착한 상품 구성을 할 수 있다.
전용물류센터 운영
E-MART는 현재 물류비용의 최소화 및 JIT(Just In Time) 상품공급을 위해 경기도 용인과 대구 등지에 전용물류센터를 운영 중이다.경기도 광주에는 식품유통센터를 보유하여 수만 톤의 신선식품을 보관,분류,가공해 각 점포에 당일 공급하고 있다.
선진화된 시스템
신세계백화점과 E-MART는 첨단 정보 및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여 가시적인 수익증대로 연결시켰다.
III.경쟁사 분석(월마트 코리아)
미국 최대의 할인매장. 창립자는 샘 월튼(Sam Walton; 1918∼1992)으로 벤프랭클린 잡화점을 운영하던 그는 1962년 아칸소의 조그만 도시에 자신의 첫 할인점을 열었다. K마트, 울코, 타깃 등 할인점이 잇달아 문을 연 1962년 월마트는 후발주자로 뛰어들어 \"우리는 싸게 팝니다(Everyday Low Price)\"와 \"고객의 만족을 보증합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처음엔 할인점들이 외면하던 인구 5만 이하의 소도시에 파고들었는데, 지방을 중심으로 한 월마트의 출점은 대상권인 도시에 비해 경쟁이 거의 없는 지역으로의 진입을 의미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오히려 월마트가 급속한 체인망 확대를 통해 급성장을 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월마트는 유통업의 대명제라고 할 수 있는 저마진의 현실화 실현, 저가 전략과 저비용, 공급업체와의 제휴강화를 적절히 연계하였고, 컴퓨터시스템 등 신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누려왔다. 이후 대도시로 유통망을 넓혀 나갔고 1990년대 마침내 미국 최대의 소매업체이던 케이마트(Kmart Corporation), 시어스로벅앤드컴퍼니(Sears, Roebuck and Company) 등을 따돌리고 세계 최대의 소매유통업체가 되었다. 또한 회원제 도매클럽인 \'Sam\'s\', 식품 부문을 크게 강화시킨 \'Hypermart USA\', 할인점과 슈퍼스토어의 혼합형인 \'Supercenter\' 등 새로운 업체도 개설해 나갔다.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 등 세계 곳곳으로 판매망을 넓히면서 매출액 규모 4000억 달러, 세계 각지의 직원 숫자 210만여 명,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1위를 다투는 유통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우리나라에는 한국마크로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1998년 진출했다
1)이마트와 월마트의 전략비교
이마트
월마트
점포 전략
●협소한 공간 활용을 위한
다층 구조
●백화점 형식의 인테리어
●층별 취급 품목의 구분
●넓은 공간을 이용한
단층 구조
●인테리어 없는 삭막한
공장분위기
입지 전략
●인구 20만 이상의
중소도시에 진출
●1차 상권 위주의 주거 밀집
지형 위주 출점
●인구 50만 이상의 지가가
저렴하고 구매력이 있는 곳
●미국에서의 입지 전략과
유사(승용차 고객을 고려한
넓은 부지)
가격 전략
●시가보다 20~30% 저렴한
가격제
●최저가격 2배 보상제
●EDLP(Every Day Low Price)
●지역특성에 맞는 최저가격제
상품 및 재고관리 전략
●식품류 부분을 주로 취급
●PB상품 개발 주력
●상품 재고 회전율 32회전율
●소비재 상품을 주로 취급
●PB상품 개발을 주력하였으나,
상품구색의 축소
●상품 재고 회전율 26회전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4.06.09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24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