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공동모금회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바람직한 방향 (사회복지공동모금회란? , 공동모금의 발전과정, 공동모금의 특성, 한국 공동모금회의 목적과 사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바람직한 방향 (사회복지공동모금회란? , 공동모금의 발전과정, 공동모금의 특성, 한국 공동모금회의 목적과 사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사회복지공동모금회란?

Ⅰ. 공동모금의 발전과정
(1) 미국공동모금의 발전과정
(2) 일본 공동모금의 발전 과정
(3) 우리나라 공동모금의 발전과정

Ⅱ. 공동모금의 특성

공동모금의 개념
공동모금의 유래
공동모금의 목적
공동모금의 특성
공동모금의 기본원리
공동모금의 사회적 기능
공동모금제도의 조직구조
지역공동모금제 연간 일정
지역공동모금제의 모금방법
지역공동모금제의 배분방법

■ 배분활동과 문제점
■신청사업
■기획사업
■긴급구호사업
■지정기탁사업
■배분 전문가
■배분 인력이 부족
■배분기준 및 시스템
■ 배분활동의 개선방향

한국 공동모금회의 목적과 사업

본문내용

필수적으로 달성해야 할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연말연시 집중모금기간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 공동모금회의 모금전략은 대폭 개선되어야 한다. 연중 수시모금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전략들을 구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기업체와의 파트너십 강화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사회공헌활동에 연간 3,000억원이상을 지출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1999). 또한, 전경련 회원사들을 중심으로 하여 1%클럽을 결성한다는 계획이 수차례에 걸쳐 발표된 바 있다. 이러한 기업체의 활동계획을 공동모금회의 사업과 적극적으로 연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모금기법의 개발과 실행이 필요하다. 호주의 경우, 전체 모금액의 30%정도를 직장인들을 통해 확보하고 있으며, 이 모금은 직장인들의 임금공제방식 (payroll deduction scheme)을 통해 이루어진다. 우리나라의 사회복지공동모금회도 \"사랑의 자투리\"라는 이름으로 이러한 모금활동을 실시하고 있긴 하지만, 아직 그 성과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노동조합이나 기업과의 다각적인 접촉을 통해 직장인들로부터의 모금활동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교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기독교, 불교, 천주교 등 종교기관들은 자체적으로 구제사업을 위한 모금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오고 있으며, 이러한 기관들의 활동규모는 상당히 클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관들과의 연계를 통해 상시적인 모금채널을 확보하는 것은 모금액의 증가 뿐 아니라 공동모금회의 사업을 홍보하고, 나아가 시민들의 기부문화를 확산하는 데에도 일조할 것으로 판단된다.
②모금캠페인 및 마케팅의 전문화
공동모금회의 모금활동은 더 이상 선의의 자선적 기부에만 의존할 수 없다. 모금활동은 이미 비영리조직 마케팅의 핵심적 영역이 되었으며, 마케팅은 전략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공동모금회는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운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동모금회의 존재에 대한 효과적인 홍보방안이 수립되어야 하며, 이를 매개할 수 있는 이미지의 구축이 필요하다.
③배분원칙의 확립(투명성 확보)
공동모금제도가 민간복지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즉 보다 광범위한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효율적으로 자원을 동원하기 위해서는 일반 국민의 공동모금회에 대한 신뢰감을 확보해야한다. 공동모금회에 대한 신뢰감은 모금과 배분과정의 투명성과 명확한 배분원칙을 통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배분원칙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④조직인력의 전문성 확보
배분의 투명성과 지역사회 참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직운영인력의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전문성을 갖춘 인력구성이 없이 위원회의 활동만으로는 공동모금회가 운영될 수 없다. 현재 전국 공동모금회와 지역공동모금회의 경우 모두 공동모금회의 기능과 큰 연관성을 갖지 않는 경력을 갖는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전문적인 인력으로 조직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투명한 행정체계를 갖추고 공개채용을 통해 전문성을 갖춘 보다 역량 있는 직원들을 채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⑤성금의 배분과 집행에 대한 철저한 평가를 실시
공동모금회의 발족으로 무엇보다도 모금과 집행에 대한 투명성에 대하여는 시민들이 전보다도 더욱 신뢰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배분된 성금의 집행상황에 대한 철저한 평가를 함으로써 불요불급한 성금의 집행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평가결과를 일반시민에게 공개함으로써 보다 더 투명성이 확보되고 신뢰감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신뢰감이 바탕이 되어 재원의 확보가 더욱 용이할 것이며 공동모금회제도의 발전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출처:
http://cafe.naver.com/social86.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2908 (2007.11.12)
=============================================================================
한국 공동모금회의 목적과 사업
- 목 적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공동모금을 통해 사회복지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참여를 제공하고, 아울러 국민의 자발적 성금으로 조성된 재원을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관리, 운영함으로써 사회복지 증진에 이바지하려고 한 것이다(법 제1조).
- 설 립
사회복지공동모금사업을 관장하기 위하여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이하 \"모금회\"라 한다)를 둔다.
모금회는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제2항에 의한 사회복지법인으로 한다.
모금회는 정관을 작성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등기함으로써 설립된다.
모금회의 정관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기재하여야 한다.
이러한 공동모금회는 다음의 사업을 수행한다(법 제5조).
① 사회복지 공동모금사업
② 공동모금 재원의 배분
③ 공동모금 재원의 운용 및 관리
④ 사회복지 공동모금에 관한 조사, 연구, 홍보 및 교육 훈련
⑤ 지회의 운영
⑥ 사회복지 공동모금과 관련된 국제교류 및 협력증진 사업
⑦ 다른 기부금품 모집자와의 협력사업
⑧ 기타 모금회의 목적 달성에 필요한 사업
2. 조직 체계
전국 단위의 공동모금사업을 관장하기 위해 전국 공동모금회를 두고, 지역 단위의 공동모금사업을 관장하기 위해 특별시, 광역시, 도에 지회가 있고, 기초단체의 경우는 없다.
사회복지 공동모금회의 조직은 임원과 사무조직 및 분과 실행위원회로 되어 있다.
공동모금회법에 의해서는 모금회는 회장1인, 부회장3인, 이사15인이상 20인이하, 감사2인등의 임원을 두며 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1인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다.
① 직원 - 중앙 직원 : 28명
- 지회 직원 : 75명
② 분과실행위원회 - 중앙 임원 및 위원 : 84명
- 지회 운영위원 및 위원 : 722명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 www.seoul-chest.or.kr/
자료출처: http://cafe.naver.com/social86.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7425 (2007.11.1)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06.09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2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