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선교하자- 선교사의 역할과 선교사 탈락(선교사 중도 포기)의 원인, 배경 및 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렇게 선교하자- 선교사의 역할과 선교사 탈락(선교사 중도 포기)의 원인, 배경 및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과 범위 3

Ⅱ. 본론
1. 선발과정 및 파송 4
1. 지역교회의 역할
2. 선교부, 선교단체의 역할
3. 선발 기준
2. 선교사 탈락의 원인 7
3. 선교사 탈락 방지를 위한 목회적 관리 8
1. 목회적 관리의 필요성
2. 생활관리
3. 사역관리
4. 위기관리

Ⅲ. 결론

1. 분석 및 대안 11
1. 영적인 문제
2. 관계의 문제
3. 건강의 문제
4. 가정의 문제
5. 후원의 문제
2. 결론 12

Ⅳ. 참고도서
1. 참고도서

본문내용

깊이 생각하게 한다. 각 선교기관들은 현재 수행하고 있는 목회적 관리의 수준에 점검하고, 더 나은 수준의 목회적 관리를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Ⅲ- 1. 분석 및 대안
1. 영적인 문제
선교사는 그 개인적 삶에서 성령의 열매가 드러나야 하며 이것은 다른 이들에게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는 면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이것은 선교사가 개인적인 중생의 경험과 성령으로 충만할 때에 가능한 것이다. 선교사는 어떤 환경에서든지 개인의 영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법을 배워야 하며 이것은 실제 선교지에 살면서 경험하게 될 영적인 전투와 감정적인 어려움이 다가 올 때 요긴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선교사들은 하나님을 깊이 경험하고 영적인 실체들에 대해 대항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Kane Herbert, Life and Work on the Mission Field, 백인숙 역, 「선교사의 생활과 사역」(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1986), p.166
2. 관계의 문제
선교사들의 관계성은 대단히 중요하며 관리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선교팀의 지도자들은 팀의 선교사들이 각 집을 순번으로 돌아가면서 방문하여 교제하고, 기도 모임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선교사들은 동료 선교사들과 현지인 동역자들을 가정 대소사에 초청하여 함께 시간을 갖고 좋은 관계를 맺어 선교사들의 결속력과 좋은 관계성을 이루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Kane Herbert, Life and Work on the Mission Field, 백인숙 역, 「선교사의 생활과 사역」(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1986), p.169
3. 건강의 문제
우리의 몸은 성령이 거하시는 성전이다. 특별한 사명을 받은 선교사는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더욱 건강해야 한다. 따라서 사명감을 가지고 건강을 잘 관리해야만 한다.
선교사들의 건강 검진이 선교지에서 뿐만 아니라 안식년에 본국으로 돌아와서도 정기적인 검진을 받아야 한다. 또한 근본적으로 체력관리를 선교사 본인 스스로 사역의 일부임을 깨닫고 열심히 해야 한다. 한국해외선교회 편저, 「선교사의 위기관리」(서울: 한국해외선교회 출판부, 1997), p.190
4. 가정의 문제
가정은 개인적인 사안이라는 것이 기본적인 태도이기 때문에 사실 관리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러나 선교사의 삶과 사역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본래 통합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선교사의 가정불화를 포함한 모든 가정 문제들이 관리의 범주 안에 포함되어야 한다. Kane Herbert, Life and Work on the Mission Field, 백인숙 역, 「선교사의 생활과 사역」(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1986), p.171
5. 후원의 문제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스스로 후원교회를 찾아 약정하여야 한다. 한 군데이든 여러 군데이든 후원교회는 선교사가 현지에 나아가서 사역을 할 수 있도록 정해진 금액만큼 매월 후원을 해야 한다.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이 후원이 끊어지면 선교사는 고국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선교지로 나가기 전에 후원에 관한 문제를 확실해 해야 한다.
최근에는 한국교회 해외 선교비 통일 기준을 위한 공청회를 열고 선교비 통일 기준을 모색함으로 한국교회의 해외 선교에 대한 실무협력과 한국교회의 해외 선교에 대한 행정협력 및 각 교단 선교사간의 선교비의 차등으로 인한 위화감을 최소화하는 노력도 진행하고 있다. Goldsmith Martin, Love your ocal missionary, 김희건 역, 「선교사를 돕는 최선의 방법」(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1985), p.176
Ⅲ- 2. 결론
최근 한국 경제가 엄청난 타격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사에 의하면 선교사의 숫자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회가 더 희생하고, 또 선교사들은 현지에서 더욱 절약함으로써 경제적 어려움의 타격을 최소화하여 선교사역이 위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 선교는 더 이상 유년기에 머물러 있지 않다. 이제는 세계적인 선교국과 그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상태이다. 단순히 선교사의 숫자만 늘어난 것이 아니라 사역에 있어서도 한국 선교사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 편이다. 한국 선교사들은 억척스럽고 희생적이며, 현지인들 속에 들어가서 적극적으로 그들과 동일시하며 사역을 효과적으로 하고 있다.
이제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은 분명하다. 가능한 선교사들의 탈락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현 시대에 맞는 선진형의 선교를 해야 한다. 한국 선교사로서의 정체감과 자부심을 가지면서 동시에 겸손하고 민감하게 현지에 맞는 선교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선교사 중도 탈락에 대한 연구는 우리가 세계 선교를 위하여 선교사를 세계 곳곳에 파송하고, 후원, 관리를 계속하는 한 함께 병행하며 지속되어야 한다.
Ⅳ. 참고도서
Ⅳ- 1. 참고도서
1. 국내도서
서정운, 「교회와 선교」, (서울: 두란노서원, 1988)
박광철, 「이렇게 선교하자」, (서울: 생멸의 말씀사, 1996)
박종구, 「세계선교, 그 도전과 갈등」,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4)
한국해외선교회, 「선교사의 위기관리」, (서울: 한국해외선교회 출판부, 1997)
한국세계선교협의회, 「한국 선교 핸드북」, (서울: 한국해외선교회 출판부, 1998)
2. 번역도서
Goldsmith Martin, Love your ocal missionary, 김희건 역, 「선교사를 돕는 최선의 방법」(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1985)
Kane Herbert, Life and Work on the Mission Field, 백인숙 역, 「선교사의 생활과 사역」(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1986)
Lane Denis, Tuning God's new instruments, 도문갑 역, 「선교사와 선교단체」(서울: 도서출판 두란노, 1990)
Pirolo Neal, Serving as Senders, 송근존 역, 「보내는 선교사의 사명」(서울: 누리콤, 1993)
William D. Taylor, Too Valuable to lose, 백인숙외 4인 공역, 「잃어버리기에는 너무 소중한 사람들」, (서울: 죠이선교회 출판부, 1998)

키워드

선교사,   역할,   원인,   배경,   방안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06.09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25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