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권으로 보는 이사야 레포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권으로 보는 이사야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향

본론

전통적 접근 방식
1. 존 오스왈트
2. 알렉 모티어
3. 허버트 울프

편집비평적 접근 방식
1. 로날드 클레멘츠
2. 롤프 렌토르프

주제적 접근 방식
1. 월터 카이저
2. 윌리암 덤브렐

정경적 접근 방식
1. 브레바드 차일즈
2. 폴 하우스

양식 비평

단일 저작설

정경적 종합: 유일신 사상과 이방인의 회심

고난의 종을 통해 구원하시는 하나님

새 하늘과 새 땅을 창조하시는 하나님

결론

본문내용

일”로 나아가고 있음을 주지시키고 이러한 통일성이 단일 저작설을 통해 견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장세훈,「한권으로 읽는 이사야서」(서울: 이레서원, 2005), 25-26.
3. 허버트 울프
그는 역사비평 학자들이 이사야 1-39장과 40-66장의 서로 다른 역사적 배경, 관심 대상, 신학적 주제로 인해 본문의 통일성과 단일 자작설을 부인해 왔음을 인식한다.
또한 그는 1-39장과 40-66장의 주제적, 시낙적 차이로 생긴 복수 저작설을 반박하기 위해 이 두 단락에 나타난 유사한 단어 용법, 혹은 표현들에 집중한다. 먼저 그는 (단일 저자라는) 이사야서의 통일성을 입증하는 가장 강력한 증거는 “이스라엘의 거룩한 자”라는 표현이라고 본다. 이 표현은 1-39장에서 12회, 40-66장에 반복해서 14회 나타난다. 이와 같은 표현의 반복적인 사용은 이사야서의 단일 저작설을 보여 주는 표지이다.
이와 같은 울프의 주장은 다소 논지의 빈약성을 드러낸다. 전체 본문에 등장하는 단어와 표현의 유사성이 이사야 선지자의 단일 저작설을 암시한다는 그의 주장은 본문의 통일성을 논증하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는 있다. 그러나 최근에 이사야서 전체에 걸쳐 반복 등장하는 표현들을 깊이 연구한 성경 신학자들은 단일 저작설에 의존하지 않은 채 본문의 통일성을 입증한다. 복음주의 진영 가운데 “복음주의적 견해 = 이사야의 단일 저작설”이라는 도식은 다소 흔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로 인해 이사야 자작권의 이슈는 보수와 진보, 정통과 비전통을 판가름하는 신학의 “십볼렛”으로는 인식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도 전통전인 접근 방식은 보수주의 진영에서 이사야서의 통일성을 논증하는 주요 해석 방법론으로 계속 유지될 전망이다. 전통작인 접근 방식은 비록 성경비평 학자들에게 폭넓은 환영을 받지 못하고 대체로 보수주의 신학자들이 선호하고 있지만 이사야서의 통일성을 논증하는 하나의 주요 해석학적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lbid, 29-31.
편집비평적 접근 방식
비평주의 이론에서는 상당한 발전이 있게 되었는데 40-66장이 저자는 단일 저자가 아니라는 이론들이 대두하기 시작하였다. Bleek와 Stade와 Budde등의 후반부 단일 저작권에 대한 의심은 Bernhard Duhm 같은 학자를 낳게 되었다. 김철수 “이사야서 전, 후반부의 단일저작설에 대한 연구” 총신대학 신학출판부, 1987, 7.
그리고 최근 이사야서의 통일성을 연구하는 많은 신학자 가운데 편집비평을 주 해석학적 방법론으로 사용하는 이들이 있다. 그들은 원 선지자의 의도에 치중한 구 역사비평의 전제를 답습하지 않고 본문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편집자의 의도와 그 신학에 집중한다.
1. 로날드 클레멘츠
클레멘츠는 보수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이사야 선지자의 단일 저작설을 받아들이지 않고 이사야서 전체를 익명의 편집자들, 혹은 서기관들의 편집 작품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그는 구 역사비평의 주장처럼 이사야서를 자료의 편리를 위해 우연히 수집된 일종의 모음집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 그는 이사야서 전체가 편집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통일된 본문으로 이해되고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이사야의 전 구조는 편집 의도를 보여주는 흔적이 있는데, 이러한 편집은 이사야서를 하나의 전체로서 읽고 해석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사야서의 내용들이 자료들의 배열과 편집의 수많은 단계들을 거쳐 왔음을 보여 주는 많은 암시들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우리가 소유한 본문은 추가와 편집 과정으로 말미암은 결정체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본문의 편집적 통일성은 익명의 편집자의 신학적 의도와 긴밀한 관계가 있다. 먼저 클레멘츠는 이사야서의 편집적 통일성을 입증하기 위해 이사야1-35장과 40-66장을 연결해 주는 36-39장의 기능과 역할을 설명한다. 그에 따르면 36-39장은 후대의 자료로서 1-35장과 40-66장 사이에 첨가되어 두 기사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36장-39장은 “전반부의 결론을 이끌어 냄과 동시에 후반부를 지배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간략하게 소개한다. 그러므로 예루살렘의 파멸을 예언하는 1-39장에 이어 40:1부터 시작하는 이스라엘의 구원에 대한 예언들은 추가된 36-39장의 자료의 자료로 인하여 자연슬럽게 연결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서기관들의 의도적인 편집적 구성을 시사해 준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자연스런 질문이 발생한다. “이사야36-39장은 왜 1-35장과 40-66장 사이에 삽입되었는가? 그리고 1-39장과 40-66장을 연결시킨 편집자의 신학적 의도는 무엇인가? 클레멘츠는 이사야서의 두 단락(1-39장과 40-66장)이 서로 결합된 이유를 설명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핵심 주장은 이사야40장과 후속 장들의 예언과 40장 이전 장들의 예언과의 결합은 이 책(이사야)의 편집자들이 심오한 종교적 이유에 따라 신중하게 취해진 작업이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두 단락울 결합시킨 서기관들, 혹은 편집자들의 주요 종교적 관심사는 무엇인가? 그들의 편집 작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종교사상은 무엇인가? 클레멘츠에 따르면, 그것은 바로 “예루살렘-시온” 사상이다.
결론적으로 클레멘츠는 전 이사야서의 문학적, 신학적 통일성은 바로 이와 같은 편집 작업으로 말미암아 편집적 통일성에 근거한다는 것이다. 장세훈,「한권으로 읽는 이사야서」(서울: 이레서원, 2005), 34-36.
2. 롤프 렌토르프
렌토르프는 클레멘츠와 같이 본문의 역사적 재구성을 추적하는 작업에 그다지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그의 성경신학적 관심은 본문의 편비 구성 자체에 집중하는데 있어 이러한 현상은 그의 이사야서 연구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흥미롭게도 그의 이사야서 연구는 독창적인 편집 구성의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이사야 연구가들에게 커다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제 2이사야는 제1이사야와 제3이사야의 공통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렌토로프는 1-39장과 56-66장이 40-55장의 현 구성 형태로부터 그리고 그 형태로 구성되었다거나 편집되었다고 본다. 그러므로 제2이사야서는 전 이사야서 구성의 핵심이며 제1이사야와 제3이사야는 제2이사야를 떠나서는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4.06.16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36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