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 어떻게 읽을 것인가> (요약) - 열왕기의 이해와 다른 성경과의 관련성 및 현대적 적용 _ 강정주 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열왕기 어떻게 읽을 것인가> (요약) - 열왕기의 이해와 다른 성경과의 관련성 및 현대적 적용 _ 강정주 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열왕기를 어떻게 이해하고 적용할 것인가?

2. 포로기의 상황과 신학적인 문제들

3. 통일왕국의 왕 솔로몬

4. 분열왕국에서 유다와 이스라엘

5. 남유다 왕국

6. 포로기 백성들에게 주는 열왕기의 메시지

7. 다른 성경과의 관련성과 현대적 적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신 말씀이 성취된 것이라 말한다. 본문은 심판에 대한 자각, 그리고 귀환이 아닌 하나님의 긍휼을 기대하라고 말한다.
6. 포로기 백성들에게 주는 열왕기의 메시지
열왕기는 인간의 전적 타락과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메시지를 주고 있다 곧 이스라엘의 구원의 왕 제도에 의하여 보장되지 않느다는 것을 보여주며 결국 구원은 하나님의 자비와 은해에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이스라엘을 정의했던 모든 것이 파괴된 포로기의 관점에서 성전이나 땅 그리고 왕 같은 제도적인 것에 이스라엘의 소망이 있는 것이 아니고 진정한 회개가 가운데 언약곤계를 회복하실 하나님의 자비와 은혜에 소망이 있음을 열왕기는 보여준다. 열왕기 전체에서 나타나는 이런 선지자들의 활동은 무엇보다 이스라엘과 유다의 주관자가 하나님이심을 드러낸다.
7. 다른 성경과의 관련성과 현대적 적용
사실 역대기 저자는 그가 사용하는 사무엘과 열왕기 말씀들을 그의 청중들이 익숙히 알고 있음을 전제하는 부분들이 있다. 사무엘과 열왕기와는 달리 역대기의 다윗과 솔로몬에 대한 묘사들은 다윗의 인구 조사만 제외하고 부정적인 언급들을 생략한 언급들을 생략한 것이 여실히 보인다. 열왕기는 하나님의 주권적 측면이 강조되며 실패한 수밖에 없는 이스라엘이 부각된다. 역대기는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상황들의 반전이 가능한 것을 보여주며 이 반전에는 유다 왕이나 백성들의 인간적 책임적 요소가 관련되어 있다. 열왕기는 이스라엘 하나님과의 언약과 관계라는 신명기의 관심을 포로시대의 실제 역사 속에서 독자적인 방식으로 표현한다. 즉 신명기에서 보여진 이스라엘의 실패의 불가피성과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실제의 역사속에서 또한 그 시대의 관점에서 표현하고 보여준다.
열왕기가 전하는 메시지 중의 하나가 하나님의 징계와 심판이다 선택된 하나님의 백성이라 할지라도 하나님과의 언약관계에서 살지 못하면 징계하시고 심판하신다는 것은 우리에게 무엇을 시사하는가? 하나님의 징계와 심판보다는 어떻게든 사랑과 은혜 쪽으로만 생가하려는 현대적 신앙경향에 우리는 익숙해 있다. 열왕기는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과 경외를 가르친다.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자녀 삼으신 자들을 그들의 유익과 거룩함을 위하여 징계하시고 채찍질하신다는 것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우리는 경각심을 가지고 이런 현대판 우상들로부터 돌이켜야 하며 하나님 절대 주권의 신앙을 회복해야 한다.
참고문헌
강정주 저, 열왕기 어떻게 읽을 것인가, 킹덤북스 2013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6.18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39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