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들 사이에 유행처럼 염색머리와 레게머리가 번져나가기 시작했다. 또한 서태지의 3집 앨범은 최초로 우리나라 사회를 비판하고 교육을 비판하는 노래를 내 놓았고, 이것은 또 한번 젊은이들 사이에서 굉장한 인기를 끌게 된다. 비록 서태지가 그 시대의 전문가들에게는 곤란한 시대의 반항아였을지는 몰라도, 우리나라 젊은이들에게 있어선 최고의 브랜드 리더라고 볼 수 있다.
4. 스타벅스 커피
스타벅스 커피는 ‘과연 4달러짜리 커피를 누가 사 마실까?’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당당히 스타벅스 성공신화를 일궈냈다. 어떻게 이 일이 가능하게 됐을까? 또 어떻게 스타벅스가 그 후에 나온 수많은 커피전문점들을 뒤로하고 아직도 1위 자리를 고수할 수 있는 걸까? 스타벅스의 최고 경영자이자 처음 스타벅스 커피를 만들어낸 하워드 슐츠는 처음에는 ‘4달러 짜리 커피’를 파는 일이 진짜 목표가 아니었다. 그의 진짜 목표는 스타벅스 커피를 가정과 직장에서 벗어나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제3의 장소로 만드는 것이었다. 그러기 위해서 그는 품질 높은 커피라면 그것이 가능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고 끝없는 연구와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은 끝에 스타벅스 성공 신화를 일궈낸 것이다. 그 후 스타벅스를 시작으로 여러 곳에서 새로운 커피전문점들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스타벅스의 자리를 위협하는 다른 커피전문점들을 보면서 스타벅스 경영진들은 새로운 대책을 세운다. 그것이 바로 서비스이다. ‘Just say Yes’ 라는 모토를 마음속에 항상 가지고 고객들은 대한다면, 고객들 앞에선 그 어떤 상황이라도 Yes라고 대답한다면 그 어떤 고객이라도 매료되지 않을 수 없다는 생각에서이다. 그리고 그 생각은 딱 들어맞았다. 고객 개개인의 존엄성을 존중해주는 그들의 서비스 철학에, 바쁜 아침시간에 줄지어 커피를 기다리는 손님들은 지루해 하거나 화를 내지 않는다. 자신의 차례가 왔을 때 충분히 보상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마인드와 생각들로 고객의 지갑을 열게 만든 스타벅스 커피의 성공은 분명 남들보다 한 발 앞서 먼저 생각하는 브랜드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주황색 컬러의 성공 패턴
- 블록버스터에 도전한다.
새로운 길을 가고,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에는 도전이 필요하다. 수 많은 도전을 해봐야 하고, 수 많은 시행착오도 겪어봐야 한다. 그렇지만 이 과정에 있어서 투자에 두려워하면 안 된다.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에 브랜드 리더는 블록버스터에 도전해야 한다.
- 경쟁 환경 변화에 민감하다.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때에는 항상 경쟁 환경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 또한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해서라면 현재의 것도 과감하게 버릴 줄 알아야 한다. 환경 변화를 생각하지 않고 노력해서 무언가를 이뤄냈지만 그것이 실패작이었을 때, 자신은 노력했지만 환경 변화 때문에 실패한 것이라는 변명은 하면 안 된다. 경쟁 환경 변화에 민감해야 하는 것도 브랜드 리더라면 해야 할 일이다.
- 4가지 실천과제를 실천한다.
①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하라
②창의적인 조직 문화를 중시하라
③유머를 갖추어라
④홍보를 뛰어넘어 이미지를 구축하라
- 표준을 장악하라.
브랜드 리더의 목표는 동종업계의 선두주자가 되어 표준을 장악하는 것이다. 유행을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들도 표준을 만들어 내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표준을 만들어 나가는데 있어서는 미래를 예측해야 한다. 미래를 예측해야 그 시대가 요구하는 것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며, 미래를 예측함에 있어 불확실성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3.노란색 리더: 사이드 리더십-노심초사형 리더
사이드 리더십이란?
노란색 리더십을 다른 말로 사이드 리더십이라고 하며, 사이드 리더십을 가진 사람들을 노심초사형 리더라고 부른다.
노란색은 축구경기에서 경고를 의미하는 옐로카드를 연상시킨다. 이렇듯 경고를 받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마음가짐으로 조직을 이끄는 리더십 유형이 바로 사이드 리더십이다.
이들은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강조하며,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전략적으로 준비하고 대응해 나간다. 또한 구성원들과 동행하는 자세로 참여하고 선도하는 리더이다. 의견 수렴을 통해 공감대를 확대하려는 상황에서 적절한 리더십 유형이다.
따라서 의견수렴과 공감대 형성에 있어서는 최고의 리더십으로 뽑히지만, 새로운 비전과 방향 설정에 있어서는 워스트 리더십으로 뽑힌다.
노란색 컬러의 리더들
로버트 갤빈
세계 최초로 휴대전화를 상용화한 모토로라에서 30년에 달하는 기간 동안 최고경영자(CEO)로서 전성기를 이끌었던 갤빈은 모토로라 창업주인 선친 폴 갤빈이 세상을 떠난 1959년부터 CEO로 회사를 이끌었다. 당시 모토토라의 연간 수익은 2억9000만달러였다.
이후 1988년까지 29년간 모토로라 CEO로 재직하면서 모토로라를 반도체와 휴대전화, 통신장비 분야의 선두 업체로 이끌었다. 그가 회장에서 물러난 1990년 당시 모토로라의 연간 수익은 108억달러였다.
탁월한 리더십과 경영능력을 발휘해 1973년 최초의 상용 휴대전화를 개발하고 1980년대 초 최초의 휴대전화 네트워크를 구축한 갤빈은 무선통신업계의 개척가이자 혁신가로 불렸다.
갤빈은 새로운 기기개발뿐만 아니라 전자통신업체의 기업문화를 바꾼 이노베이션(Innovation)의 선구자로도 불린다. 1980년대 모토로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이 높아지자, 식스 시그마(Six Sigma)라는 사원용 품질 개선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20세기 말 모토로라의 퀄리티 완성도가 99.99%에 이른 것은 식스 시그마 프로그램 덕분이라고 한다. IBM, 보잉 등 미국 내 대기업도 갤빈이 만든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모토로라는 갤빈이 CEO에서 물러나 회장으로 재임 중이던 1989년 최초의 소형 휴대전화를 세상에 선보였고 1996년에는 최초의 포켓 사이즈 플립형 전화기를 내놓았다.
모토로라 솔루션의 CEO인 그레그 브라운은 \"그는 모토로라 역사상 가장 큰 영향을 미친 CEO\"라고 말했다.
윤영관 前외교부 장관 “비전 제시 잘하나 유연성 점수 낮아”
윤영관 前외교통상부 장관은 전략적 사고와 치밀성을 바탕으로 비전을 제시하는 노란색 사이드 리더로 분류
4. 스타벅스 커피
스타벅스 커피는 ‘과연 4달러짜리 커피를 누가 사 마실까?’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당당히 스타벅스 성공신화를 일궈냈다. 어떻게 이 일이 가능하게 됐을까? 또 어떻게 스타벅스가 그 후에 나온 수많은 커피전문점들을 뒤로하고 아직도 1위 자리를 고수할 수 있는 걸까? 스타벅스의 최고 경영자이자 처음 스타벅스 커피를 만들어낸 하워드 슐츠는 처음에는 ‘4달러 짜리 커피’를 파는 일이 진짜 목표가 아니었다. 그의 진짜 목표는 스타벅스 커피를 가정과 직장에서 벗어나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제3의 장소로 만드는 것이었다. 그러기 위해서 그는 품질 높은 커피라면 그것이 가능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고 끝없는 연구와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은 끝에 스타벅스 성공 신화를 일궈낸 것이다. 그 후 스타벅스를 시작으로 여러 곳에서 새로운 커피전문점들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스타벅스의 자리를 위협하는 다른 커피전문점들을 보면서 스타벅스 경영진들은 새로운 대책을 세운다. 그것이 바로 서비스이다. ‘Just say Yes’ 라는 모토를 마음속에 항상 가지고 고객들은 대한다면, 고객들 앞에선 그 어떤 상황이라도 Yes라고 대답한다면 그 어떤 고객이라도 매료되지 않을 수 없다는 생각에서이다. 그리고 그 생각은 딱 들어맞았다. 고객 개개인의 존엄성을 존중해주는 그들의 서비스 철학에, 바쁜 아침시간에 줄지어 커피를 기다리는 손님들은 지루해 하거나 화를 내지 않는다. 자신의 차례가 왔을 때 충분히 보상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마인드와 생각들로 고객의 지갑을 열게 만든 스타벅스 커피의 성공은 분명 남들보다 한 발 앞서 먼저 생각하는 브랜드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주황색 컬러의 성공 패턴
- 블록버스터에 도전한다.
새로운 길을 가고,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에는 도전이 필요하다. 수 많은 도전을 해봐야 하고, 수 많은 시행착오도 겪어봐야 한다. 그렇지만 이 과정에 있어서 투자에 두려워하면 안 된다.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에 브랜드 리더는 블록버스터에 도전해야 한다.
- 경쟁 환경 변화에 민감하다.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때에는 항상 경쟁 환경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 또한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해서라면 현재의 것도 과감하게 버릴 줄 알아야 한다. 환경 변화를 생각하지 않고 노력해서 무언가를 이뤄냈지만 그것이 실패작이었을 때, 자신은 노력했지만 환경 변화 때문에 실패한 것이라는 변명은 하면 안 된다. 경쟁 환경 변화에 민감해야 하는 것도 브랜드 리더라면 해야 할 일이다.
- 4가지 실천과제를 실천한다.
①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하라
②창의적인 조직 문화를 중시하라
③유머를 갖추어라
④홍보를 뛰어넘어 이미지를 구축하라
- 표준을 장악하라.
브랜드 리더의 목표는 동종업계의 선두주자가 되어 표준을 장악하는 것이다. 유행을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들도 표준을 만들어 내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표준을 만들어 나가는데 있어서는 미래를 예측해야 한다. 미래를 예측해야 그 시대가 요구하는 것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며, 미래를 예측함에 있어 불확실성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3.노란색 리더: 사이드 리더십-노심초사형 리더
사이드 리더십이란?
노란색 리더십을 다른 말로 사이드 리더십이라고 하며, 사이드 리더십을 가진 사람들을 노심초사형 리더라고 부른다.
노란색은 축구경기에서 경고를 의미하는 옐로카드를 연상시킨다. 이렇듯 경고를 받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마음가짐으로 조직을 이끄는 리더십 유형이 바로 사이드 리더십이다.
이들은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강조하며,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전략적으로 준비하고 대응해 나간다. 또한 구성원들과 동행하는 자세로 참여하고 선도하는 리더이다. 의견 수렴을 통해 공감대를 확대하려는 상황에서 적절한 리더십 유형이다.
따라서 의견수렴과 공감대 형성에 있어서는 최고의 리더십으로 뽑히지만, 새로운 비전과 방향 설정에 있어서는 워스트 리더십으로 뽑힌다.
노란색 컬러의 리더들
로버트 갤빈
세계 최초로 휴대전화를 상용화한 모토로라에서 30년에 달하는 기간 동안 최고경영자(CEO)로서 전성기를 이끌었던 갤빈은 모토로라 창업주인 선친 폴 갤빈이 세상을 떠난 1959년부터 CEO로 회사를 이끌었다. 당시 모토토라의 연간 수익은 2억9000만달러였다.
이후 1988년까지 29년간 모토로라 CEO로 재직하면서 모토로라를 반도체와 휴대전화, 통신장비 분야의 선두 업체로 이끌었다. 그가 회장에서 물러난 1990년 당시 모토로라의 연간 수익은 108억달러였다.
탁월한 리더십과 경영능력을 발휘해 1973년 최초의 상용 휴대전화를 개발하고 1980년대 초 최초의 휴대전화 네트워크를 구축한 갤빈은 무선통신업계의 개척가이자 혁신가로 불렸다.
갤빈은 새로운 기기개발뿐만 아니라 전자통신업체의 기업문화를 바꾼 이노베이션(Innovation)의 선구자로도 불린다. 1980년대 모토로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이 높아지자, 식스 시그마(Six Sigma)라는 사원용 품질 개선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20세기 말 모토로라의 퀄리티 완성도가 99.99%에 이른 것은 식스 시그마 프로그램 덕분이라고 한다. IBM, 보잉 등 미국 내 대기업도 갤빈이 만든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모토로라는 갤빈이 CEO에서 물러나 회장으로 재임 중이던 1989년 최초의 소형 휴대전화를 세상에 선보였고 1996년에는 최초의 포켓 사이즈 플립형 전화기를 내놓았다.
모토로라 솔루션의 CEO인 그레그 브라운은 \"그는 모토로라 역사상 가장 큰 영향을 미친 CEO\"라고 말했다.
윤영관 前외교부 장관 “비전 제시 잘하나 유연성 점수 낮아”
윤영관 前외교통상부 장관은 전략적 사고와 치밀성을 바탕으로 비전을 제시하는 노란색 사이드 리더로 분류
키워드
추천자료
(독서감상문) 여성, 리더 그리고 여성 리더십을 읽고
[공공관리론]공공성과 리더십의 특징을 논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공공조직에 적합한 리...
공공성과 리더십의 특징을 논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공공조직에 적합한 리더상<像>을 제...
푸틴의 리더십 - 푸틴의 성장과정, 2000년 대선 직전의 상황과 푸틴의 당선, 푸틴의 개혁, 리...
2009년 1학기 공공관리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공공성,리더십,공공조직에적합한리더상)
리더십문제와 요구되는 리더십 - 우리나라 기업/조직에서 리더들의 리더십 문제점과 요구되는...
[리더십독후감] 프랜시스 헤셀바인, 마셜 골드스미스의 '미래형 리더'을 보고
[서평, 리뷰, 정리, 분석, 요약] 신화와 리더십 ≪신화의 숲에서 리더의 길을 묻다≫ _ 강혜선,...
작업 조정과 지식근로자 (지식근로자의 직업욕구와 강화요인, 리더십과 지식사슬, 변화리더와...
A+ (가천대학교) <내 삶속의 색> 01~14주차 정리와 각 주차별 추가내용 정리 (색채의 지각,색...
환경의 변화에 따른 리더 역할 변화 포인트를 고려하여 자신이 이상적이라고 판단하는 리더십...
친구, 지인들을 포함하여 일반 시민 10명에게 “최악의 리더란 어떤 사람인가”라는 질문을 하...
등소평, 등소평의 생애, 등소평의 개혁, 개방정책의 내용, 등소평의 개혁에 뒷받침되는 사상,...
감성 리더십,감성 리더의 역할,감성 리더란,감성 리더십의 장점,감성 리더십의 효과성,카리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