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변신 설화계’의 정의
❑ ‘구조단위의 설정’
❑ ‘유형의 설정과 의미 해석’
1. 둔갑형
(1) 인간 둔갑
(2) 동물 둔갑
(3) 식물 둔갑
(4) 광물 둔갑
(5) 정령 둔갑
2. 탈신(脫身)
(1) 동물 탈신
(2) 식물 탈신
(3) 광물 탈신
(4) 인간 탈신
3. 착주(捉呪)
(1) 도깨비 방망이에 의한 주물 착주
(2) 다른 도구를 사용한 착주
(3) 주술에 의한 착주변신
4. 화석(化石)
(1) 인간이 화석이 됨
5. 환생(還生)
(1) 인간이 죽음
(2) 동물이 죽음
(3) 식물이 죽음
❑ ‘구조단위의 설정’
❑ ‘유형의 설정과 의미 해석’
1. 둔갑형
(1) 인간 둔갑
(2) 동물 둔갑
(3) 식물 둔갑
(4) 광물 둔갑
(5) 정령 둔갑
2. 탈신(脫身)
(1) 동물 탈신
(2) 식물 탈신
(3) 광물 탈신
(4) 인간 탈신
3. 착주(捉呪)
(1) 도깨비 방망이에 의한 주물 착주
(2) 다른 도구를 사용한 착주
(3) 주술에 의한 착주변신
4. 화석(化石)
(1) 인간이 화석이 됨
5. 환생(還生)
(1) 인간이 죽음
(2) 동물이 죽음
(3) 식물이 죽음
본문내용
이, 지렁이, 지네, 잉어, 우렁이, 달팽이, 자라, 거북이, 돼지, 닭, 등이다. 이들 동물은 민간에서 영물시하는 동물이거나, 달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달동물, 또는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동물들인데, 달동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달동물은 달팽이처럼 껍질 속에 들고 난다든지, 개구리처럼 물 속에서 출몰한다든지, 곰이나 뱀처럼 겨울철에는 안 보였다가 봄에 다시 나타난다든지 함으로써 차고 기우는 달의 속성과 관련된 동물들이다. 달이 영속하는 부활 내지 재생의 상징이듯이 이들 동물들도 부활과 재생을 상징한다. 이러한 달동물은 생생력의 상징체로 민간에 의식되어 왔기 때문에 부활과 재생은 물론 둔갑을 행하는 주체자로 설화에 나타나는 것이다.
달동물의 둔갑담에는 동물이 남자로 변하여 여인과 정을 통하는 ‘夜來者說話’형이 있는데 夜來者형 설화에서 지렁이, 잉어, 수달 등은 처녀와 관계를 맺기 위하여 청의동자로 변신한다. 비를 피해 암자에 들렀던 선비와 사랑을 맺은 비구니는 상사병으로 죽은 다음, 구렁이로 변신하여 고을 원이 된 그 남자를 찾아갔다. 그래서 밤이 되면 그 남자의 옷을 감았고, 그 남자가 죽은 후에는 그의 무덤으로 가서 비석을 감았다. 이것은 뱀이 옷이나 비석을 휘감기 편한 형체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여자로 변하여 남자와 정을 통하는 ‘지네 각시’, ‘우렁이 색시’ 이야기 등이 있다. ‘지네 각시’ 이야기에서는 지네가 예쁜 여인으로 변하여 가난을 비관하여 죽으려던 남자를 구하여 함께 지낸다. ‘우렁이 색시’ 이야기에서는 우렁이가 예쁜 처녀로 변하여 가난한 총각과 함께 산다. 이도 역시 본체가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의도를 용이하게 관철하기 위해 둔갑하는 것으로 보인다.
달동물이 아닌 동물의 둔갑담에는 개, 닭, 고양이 등의 가축류와 여우, 호랑이, 너구리, 쥐, 용 등이 등장하는데, 여우가 가장 많고, 쥐, 호랑이, 돼지 등이 그 다음으로 많이 등장한다. 여우가 인간으로 둔갑할 때에는 다른 동물의 둔갑과는 달리 여의주나 사람의 해골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거나, 재주를 넘는 방법을 써서 둔갑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서 흥미롭다. 쥐의 둔갑담에는 쥐가 인간으로 변신하여 그 집 주인 행세를 한다. 사람이 던져 주는 음식찌꺼기를 먹거나 이리저리 다니며 훔쳐먹어야 하는 비천한 위치에서 벗어나 주인 행세를 하기 위하여 쥐는 인간으로 변신했던 것이다. 그래서 주의 변신체인 가짜 인간에게 그 집주인이
달동물은 달팽이처럼 껍질 속에 들고 난다든지, 개구리처럼 물 속에서 출몰한다든지, 곰이나 뱀처럼 겨울철에는 안 보였다가 봄에 다시 나타난다든지 함으로써 차고 기우는 달의 속성과 관련된 동물들이다. 달이 영속하는 부활 내지 재생의 상징이듯이 이들 동물들도 부활과 재생을 상징한다. 이러한 달동물은 생생력의 상징체로 민간에 의식되어 왔기 때문에 부활과 재생은 물론 둔갑을 행하는 주체자로 설화에 나타나는 것이다.
달동물의 둔갑담에는 동물이 남자로 변하여 여인과 정을 통하는 ‘夜來者說話’형이 있는데 夜來者형 설화에서 지렁이, 잉어, 수달 등은 처녀와 관계를 맺기 위하여 청의동자로 변신한다. 비를 피해 암자에 들렀던 선비와 사랑을 맺은 비구니는 상사병으로 죽은 다음, 구렁이로 변신하여 고을 원이 된 그 남자를 찾아갔다. 그래서 밤이 되면 그 남자의 옷을 감았고, 그 남자가 죽은 후에는 그의 무덤으로 가서 비석을 감았다. 이것은 뱀이 옷이나 비석을 휘감기 편한 형체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여자로 변하여 남자와 정을 통하는 ‘지네 각시’, ‘우렁이 색시’ 이야기 등이 있다. ‘지네 각시’ 이야기에서는 지네가 예쁜 여인으로 변하여 가난을 비관하여 죽으려던 남자를 구하여 함께 지낸다. ‘우렁이 색시’ 이야기에서는 우렁이가 예쁜 처녀로 변하여 가난한 총각과 함께 산다. 이도 역시 본체가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의도를 용이하게 관철하기 위해 둔갑하는 것으로 보인다.
달동물이 아닌 동물의 둔갑담에는 개, 닭, 고양이 등의 가축류와 여우, 호랑이, 너구리, 쥐, 용 등이 등장하는데, 여우가 가장 많고, 쥐, 호랑이, 돼지 등이 그 다음으로 많이 등장한다. 여우가 인간으로 둔갑할 때에는 다른 동물의 둔갑과는 달리 여의주나 사람의 해골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거나, 재주를 넘는 방법을 써서 둔갑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서 흥미롭다. 쥐의 둔갑담에는 쥐가 인간으로 변신하여 그 집 주인 행세를 한다. 사람이 던져 주는 음식찌꺼기를 먹거나 이리저리 다니며 훔쳐먹어야 하는 비천한 위치에서 벗어나 주인 행세를 하기 위하여 쥐는 인간으로 변신했던 것이다. 그래서 주의 변신체인 가짜 인간에게 그 집주인이
추천자료
[분석/조사] 김동인 -한국현대문학사의 이정표-.
(한국경제) 정부의 대기업집단에 대한 각종 규제 정책에 대한 견해
[유통업]한국 유통산업의 성장과정과 현황 및 미래 발전과제
[국문학] 한국문학의 갈래 구분
21세기 세계경제와 한국경제의 현황
이집트와 한국의 정치 행정
스포츠과학 (한국체육과학연구원의 역할과 기능, 첨단기술의 각축장, 스포츠)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제 4판 2권 요약 (중세후기문학 제 1기 고려후기 & 중세후기문학 ...
[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매체를 활용한 어휘교육 관련 논문 1편을 요약하고 매체를 활...
[한국고전소설론] 고전소설의 천편일률성에 대한 인식과 권선징악
[한국문학개론]구비문학 작품 중 하나를 정하여 작품을 분석비평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