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RLC 수동소자 및 부품판독[1]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3. RLC 수동소자 및 부품판독[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는 작용이 있음에도 전기회로에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① 전원으로부터의 전압이나 전류를 트랜지스터나 IC가 필요로 하는 높이나 크기로 해서 보낸다.
② 신호원으로부터의 신호를 조정하고 알맞은 크기로 해서 다음 회로로 전송한다.
③ 콘덴서와 결합해서 잡음을 제거하거나 신호를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저항이 방해한 전류는 열이 되어 소비된다. 이 열은 드물게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으나 거의 회로에는 불필요하고 거추장스러운 존재가 된다.
2. 커패시터(Capacitor)
①커패시터의 분류
정전 용량 C를 갖는 회로소자로서 보통 콘덴서라고 불리며 극판사이의 유전체 물질에 따라 페이퍼 콘덴서, 금속화 종이 콘덴서, 플라스틱 필름 콘덴서, 운모 콘덴서, 세라믹 콘덴서, 케미칼 또는 전해 콘덴서 등으로 분류된다.
1) 고정 콘덴서
고정 콘덴서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 한종류의 콘덴서를 만능 용도로 이용 할 수 없다. 각각의 재질이나 구조가 갖는 특성 등으로 인해 만능이 될수 없기 때문이다.
소형이면서 정밀하다고 해도 대용량의 것으로 쓰기 어렵거나 대용량이기 때문에 오차가 크고 누설 전류도 큰 등의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 목적에 맞는 특성을 가진 콘덴서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①페이퍼 콘덴서 : 페이퍼 콘덴서는 유전체로 왁스나 오일을 적신 페이퍼를 사용하고 있다.
②MP 콘덴서 : MP콘덴서는 페이퍼 콘덴서를 개량한 것으로 구조도 페이퍼 콘덴서와 거의 같으나 알루미늄박 전극 대신에 콘덴서 페이퍼에 직접 아연을 증착시켜서 금속화하고 그것을 두 장 겹쳐서 감고 있다.
③마이카 콘덴서 : 마이카를 유전체로 사용하는 콘덴서이다.
④스티롤 콘덴서 : 폴리스티롤의 플라스틱 필름을 유전체로 한 콘덴서로서 외형은 그림 26과 같이 한 방향으로 리드선을 2개 빼는 것과 양끝에서 1개씩 빼는 타입이 있다.
⑤ 마일러 콘덴서 : 마일러 콘덴서는 기계적 강도와 내열, 내한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텔레프 탈레이트를 유전체로 하고 있는 플라스틱 필름 콘덴서이다.
⑥세라믹 콘덴서 : 세라믹 콘덴서로는 비유전율이 큰 산화티탄의 자기를 유전체로 사용하고 있는 산화티탄계 콘덴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⑦전해콘덴서 : 케미컬 콘덴서라고도 불리는 전해 콘덴서는 (+), (-)의 극성이 있어 유의해야 한다. 극성을 반대로 접속하게 되면 용량이 부족해지고 누설 전류가 증가하여 정상 동작이 어렵거나 심하면 파손되기도 한다.
2) 가변콘덴서
①바리콘
1. 에어바리콘 : 에어바리콘은 유전체로 공기를 이용하는 가변 콘덴서로 라디오 또는 통신기에서의 동조회로나 발진회로에 사용된다.
2. 폴리바리콘 : 폴리바리콘은 유전율이 높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스티롤을 유전체로서 사용하고 있다.
②트리머 콘덴서 : 트리머란 미세 용량 조정을 위한 가변콘덴서를 말하여 2~30pF 정도의 것이 많으며 동조회로의 보정이나 트래킹 조정에 사용된다.
② 커패시터의 판독
1) 일반적인 표시법
① 정전용량의 표시 : 3자리 숫자로 표시되며 이때 앞의 두 숫자는 용량값의 유효숫자를, 세 번째 숫자는 10의 승수를 나타낸다.
② 영문자 F, G, J, K, M으로 나타낸다.
③ 정격전압의 표시 : 숫자와 영문자의 곱으로 표시한다. 이때 앞의 숫자는 전압값의 승수를 표시하고 뒤의 영문자는 전압의 유효숫자를 의미한다.
③ 콘덴서 취급상의 유의사항
1) 전해콘덴서는 (+), (-)의 극성이 있으므로 회로의 전위를 잘살피고 반대가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납땜은 재빨리 하도록 한다.
3) 콘덴서의 리드선을 니퍼로 바싹 당기거나 밑동에서 심하게 구부리면 속의 전극과의 접촉이 나빠지므로 리드선이 상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회로의 특성에 맞는 콘덴서를 사용하도록 한다.
5) 콘덴서도 장기간 방치해 두면 특성이 열화되는 일이 있으므로 유의한다.
3. 인덕터
인덕터는 도선을 휘감아 놓은 형태로서 통상 코일이라고도 불리며 코일에 전기가 흐를 때 발생되는 자체유도작용 등 자기작요에 의해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코일은 매우 다양한 형태와 구조가 있으며 용도 또한 다양하다.
① 자심의 유무에 따른 분류
1) 공심코일
원통형코일, 환형코일 등이 있으며 코일을 감는 틀은 특수 유리나 스테아타이트자기, 베크라이트, 폴리스티롤 등이 쓰이고 있다.
2) 자심코일
코일의 인덕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코일 내부에 자성체를 삽입한 형태로서 자심의 모양에 따라 E형, F형, L형, 드럼형, 트로이덜형, 항아리형, 막대형 등 이 있다.
②기능의 따른 분류
1) 전자력의 이용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되는 전자력을 이용한다. 부저나 릴레이, 마이크로폰, 이어폰, 스피커 등에 쓰이는 마그넷코일, 오실로스코프나 TV 브라운관 내의 편향코일 등이 있다. 전류계나 전압계, 모터 등도 전자력을 이용하는 경우라 할수 있다.
2) 고전압 발생장치
코일의 자체유도작용으로 인한 순간적인 고전압 발생장치로서 형광등에 이용되는 안정기, 자동차의 점화 코일등이있다. 인덕션 코일이라고도 한다.
3) 변성기
코일간의 상호 유도작용을 이용하는 것으로 입력측에 부가한 교류전력을 부하회로가 필요로 하는 전압 또는 전류로 바꾸어 출력측에 전달한다. 특히 전압변환을 목표로 하는것을 변합기 또는 전원트랜스라 하며 전류변환을 목표로 하는것을 변류기라 한다.
4) 공진현상의 이용
콘덴서와 결합해서 특정주파수의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5) 교류신호의 제한기능
코일에서 나타나는 교류에 대한 임피던스로서의 저지력을 이요하여 교류신호를 제한하거나 억제시킨다.
③인덕터의 판독
인덕터 중에는 이미 앞에서 소개된 것 이외에도 메이커에따라 다양한 형태의 여러 종류가 있음을 알게 된다. 그러나 저항이나 커패시턴스와는 달리 부피가 작은 소형일 수록 그 용량이나 규격이 부품상에 표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메이커로부터 제시되는 부품에 대한 규격표를 참고할 수밖에 없다. 일부의 제품은 용량이나 오차가 부분적으로 칼러코드화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부피가 비교적 큰 부품은 단위표시 없이 인덕턴스값만을 표시해 놓은 제품이 많이 있다.
A. 사용부품
1) 칼러 저항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6.22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53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