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복의 역사] 조선시대 의복(조선시대 복식의 특징, 개짐, 서민들의 의복, 기녀들의 의복, 속옷, 장신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복의 역사] 조선시대 의복(조선시대 복식의 특징, 개짐, 서민들의 의복, 기녀들의 의복, 속옷, 장신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선시대 복식의 특징

2. 개짐
1) 명칭
2) 생김새 및 보관방법
3) 개짐과 월경의 모순된 인식들

3. 서민들의 의복
1) 저고리
2) 치마

4. 기녀들의 의복

5. 속옷
1) 속속곳
2) 다리속곳
3) 무지기
4) 대슘치마
5) 너른바지
6) 속적삼

6. 장신구
1) 노리개
2) 향갑
3) 귀걸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어서도 붉은색, 노랑색 등 화려한 색상과 수를 놓거나 무늬있는 화려한 직물을 사용하였다. 신발에 있어서도 가죽신에 수를 놓은 화려한 신을 신었음은 물론, 금은으로 된 노리개와 일체의 장신구 등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머리치장에 있어서도 高價의 가체로 얹은머리를 높게 하였고 여기에 화려하고 다양한 머리 장식으로 그 사치함을 더하였다.
그리고 이처럼 화려하고 사치스러운 옷차림으로 치장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직업상 남성의 눈을 끌기 위해 여성적 매력을 드러내기 위한 차림새를 하였다. 즉 저고리 길이는 가능한 한 짧게 입어 흰 치마허리가 나오게 하고, 겨드랑이 살이 보일 정도로 입었다. 한편 아래로는 치마 밑에 많은 속옷을 입어 하체를 풍성하게 보이도록 하고, 속곳이 보이도록 입음으로써 스스로의 Erotic을 드러내려 하였다. 또한 이런 면은 유교적 사회에서 남녀 내외법에 의해 쓰여진 쓰개도 이들에게는 자신의 얼굴을 타인이 볼 수 있도록 형식적이고 장식적인 쓰개로 용도가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기녀들의 이러한 Mode가 시대사조의 변화에 따라 일반 여성들에게 수용되어 이시기의 Mode를 이끌어 갔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조선 사회에서 기녀들은 천민임에도 불구하고 옷차림에 관대하여 복식에 있어서 양반녀의 사치금제 조항을 웃도는 이례적인 예외 규정이 허용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당시 기녀들의 복식은 자연히 사치스러웠다.
5. 속옷
1) 속속곳
바지밑에 입는 것으로 단속곳과 형태가 같다고 할 수 있는데 다른점은 치수가 단속곳보다 약간씩 작고 바대나 밑길이가 길다는 것이다. 그런데 속속곳은 살에 닿는 속옷이기 때문에 단속곳과는 그 감을 달리하여 옥양목, 무명, 광목을 이용하였고 고급으로는 명주정도의 부드러운 감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2) 다리속곳
가장 밑에 입는 속옷으로 그 형태는 홑겹의 긴감을 허리띠에 달아 차게 되어 있는 것이었는데 이것은 아마도 속속곳이 크기 때문에 자주 빨 수 없으므로 이러한 조그만 것을 만들어 자주 빨기 위해서인 것 같다. 더욱이 속속곳이 없어지면서부터는 다리속곳을 흔히들 입게 되었다.
3) 무지기
특수복으로 상류계급에서 정장을 할 때 이번 속치마의 일종으로 고려무인들이 입었다고 하는 것과 동일한 제도의 치마로 조선조에 와서는 이를 속칭 무지기라고 하였다. 무지기는 모시 12폭을 가지고 3층 혹은 5,7층으로 길이가 다른 것을 한 허리에 단 것으로 허리에서 무릎까지가 가장 긴 길이기고 약 5㎝ 간격으로 두고 층층이로 되어 있는데 25㎝ 간격의 단에는 젊은 사람은 각색으로, 나이가 지긋한 사람들은 단색으로 엷은 물감을 들여 흡사 무지개와 같았다. 그래서 이를 무지기 또는 무지기치마라고 하였다. 그 역할은 겉치마를 부하게 버티기 위한 것이었었다.
4) 대슘치마
특히 왕족이 사용하던 속치마의 일종으로 정장을 할 때 허리는 무지기로 버티고 아래는 이 대슘치마로 받쳤다. 대슘치마는 무지기 밑에 입는 것으로 모시 12폭으로 하였는데 12폭은 끌리지 않을 정도의 길이 폭이었다. 대슘치마의 단에는 창호지 백비를 높이는 4㎝정도, 길이는 치마폭으로 만들어 모시로 싸서 붙였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겉치마 아래위를 밭쳐 옛말 그래도 서도 앉은 것 같고 앉아도 서있는 것 같은 자세를 갖게 했다.
5) 너른바지
주로 상류계급이 정장할 때 밑받팀 옷으로 단속곳 위에 입어 하체를 풍성하게 보이게 한 속옷의 하나였는데 앞은 막히고 뒤는 터져있었고 말은 따로 달지 않고 터지지 않도록 약 2㎝의 정네모꼴을 마름모꼴이 되도록 반으로 접어 달아 튼튼하게 만들었다. 너른바지는 특수층에서만 입는 것으로 일반화되지 않아Tsmse 너른바지가 없어진 오늘날에도 아직도 옛 풍습을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6.23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56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