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9장
일즉이희 일즉이구 (一則以喜 一則以懼) :[한일].[ 법칙칙,곧즉 ].[써이].[기쁠희]/[두려워할구]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두렵다 부모의 연세가 들어가는 것에 대한 자식의 심정.
= 부모지년 불가부지야 (父母之年 不可不知也) : 부모의 나이를 몰라서는 안된다.
- 논어 - 공자의 이야기
혼정신성(昏定晨省) 어두울혼/정할정.이마정/새벽신/살필성, 덜생
: 저녁에는 잠자리를 살펴 드리고, 새벽에는 문안을 여쭌다. 옛날에 자식이 부모를 모시는 일상적인 예절. = 동온하청(冬溫夏淸=>앞에 점 두 개찍는거. 서늘할 정인데 청으로 읽음) => 겨울은 다뜻하게 여름은 서늘하게 해 드린다.
불공대천 (不共戴天) 아닐불, 아닐부/한가지 공/일 대/하늘 천
:같은 하늘 아래 살 수 없는 원수. 부모의 원수를 말한다.
= 불구대천 (지수) (不俱(具=>갖출 구가 더 맞는거 같음)戴天) (之)
풍수지탄(風樹之嘆) :바람 풍/나무 수/갈 지/탄식할 탄, 또 우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에 대한 탄식. 부모를 봉양하려고 해도이미 때가 늦었음을 안타까워하다. 출전 -한시외전 (韓詩外傳) - 고어(皐魚)라는 사람의 이야기
공자가 수레 타는데 곡 소리가 들림. 그래서 고어한테 물어봄. 고어가 젊었을때 제후들을 쫓아다니면서 불효함. 임금섬기는 것을 소홀히 함. 친구사귀는 것을 잘 못함. 좋지못한 친구들을 끊지 못함. 즉 3가지 잘못을 공자에게 말함.
수욕정이 풍부지 (樹欲靜而 風不止) 나무는 고요하고 싶은데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욕양이 친불대 (子欲養而 親不待) 아들이 부모를 잘 섬기고자 하는데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는다.
백유읍태 (佰瑜泣笞) 일백 백/아름다운 유/울 읍/볼기칠 태
: 백유가 종아리를 맞으면서 울다. 부모의 노쇠함을 슬퍼하는 마음을 말한다. 출전 - 설원(說苑)
반포지효(反哺之孝) 되돌릴반/먹일 포/갈 지/효도 효
: 까마귀가 어미 까마귀를 먹여 살리는 효성. 부모에게 입은 은혜를 갚아드리는 자식의 효성을 말한다. = 자오 (慈烏) . 까마귀를 효조(孝鳥)라고도 한다.
출전 - 본초(本草) - 까마귀새끼는 부모에게 30일 얻어먹지만 새끼가 나중에 부모에게 갑절인 60일을 얻어먹는다.
반의지희 (斑衣之戱)아롱질 반/옷 의/희롱할 희
: 멀리 구름을 바라보는 마음. 자식이 객지에서 부모를 그리워하는 마을을 말한다. 주인공은 노래자(老萊子)이다.
망운지정 (望雲之情)바랄 망/구름 운/갈 지/뜻 정
: 멀리 구름을 바라보는 마음. 자식이 객지에서 부모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말한다. 출전 - 구당서 - 적인걸(狄仁傑) 이라는 사람의 태행산 을 올라갔더니 구름이 떠있었다. 그 보이는 구름아래 자기부모님 집이 있겠다라고 생각.
자로부미 (子路負米)아들 자/길 로/질 부/쌀 미
: 자로(공자의 제자 중유(仲由)의 자(字))가 쌀을 짊어지고 오다. 가난한 형편 속에서 정성으로 부모를 봉양함을 말한다. 부(負) 자는
일즉이희 일즉이구 (一則以喜 一則以懼) :[한일].[ 법칙칙,곧즉 ].[써이].[기쁠희]/[두려워할구]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두렵다 부모의 연세가 들어가는 것에 대한 자식의 심정.
= 부모지년 불가부지야 (父母之年 不可不知也) : 부모의 나이를 몰라서는 안된다.
- 논어 - 공자의 이야기
혼정신성(昏定晨省) 어두울혼/정할정.이마정/새벽신/살필성, 덜생
: 저녁에는 잠자리를 살펴 드리고, 새벽에는 문안을 여쭌다. 옛날에 자식이 부모를 모시는 일상적인 예절. = 동온하청(冬溫夏淸=>앞에 점 두 개찍는거. 서늘할 정인데 청으로 읽음) => 겨울은 다뜻하게 여름은 서늘하게 해 드린다.
불공대천 (不共戴天) 아닐불, 아닐부/한가지 공/일 대/하늘 천
:같은 하늘 아래 살 수 없는 원수. 부모의 원수를 말한다.
= 불구대천 (지수) (不俱(具=>갖출 구가 더 맞는거 같음)戴天) (之)
풍수지탄(風樹之嘆) :바람 풍/나무 수/갈 지/탄식할 탄, 또 우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에 대한 탄식. 부모를 봉양하려고 해도이미 때가 늦었음을 안타까워하다. 출전 -한시외전 (韓詩外傳) - 고어(皐魚)라는 사람의 이야기
공자가 수레 타는데 곡 소리가 들림. 그래서 고어한테 물어봄. 고어가 젊었을때 제후들을 쫓아다니면서 불효함. 임금섬기는 것을 소홀히 함. 친구사귀는 것을 잘 못함. 좋지못한 친구들을 끊지 못함. 즉 3가지 잘못을 공자에게 말함.
수욕정이 풍부지 (樹欲靜而 風不止) 나무는 고요하고 싶은데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욕양이 친불대 (子欲養而 親不待) 아들이 부모를 잘 섬기고자 하는데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는다.
백유읍태 (佰瑜泣笞) 일백 백/아름다운 유/울 읍/볼기칠 태
: 백유가 종아리를 맞으면서 울다. 부모의 노쇠함을 슬퍼하는 마음을 말한다. 출전 - 설원(說苑)
반포지효(反哺之孝) 되돌릴반/먹일 포/갈 지/효도 효
: 까마귀가 어미 까마귀를 먹여 살리는 효성. 부모에게 입은 은혜를 갚아드리는 자식의 효성을 말한다. = 자오 (慈烏) . 까마귀를 효조(孝鳥)라고도 한다.
출전 - 본초(本草) - 까마귀새끼는 부모에게 30일 얻어먹지만 새끼가 나중에 부모에게 갑절인 60일을 얻어먹는다.
반의지희 (斑衣之戱)아롱질 반/옷 의/희롱할 희
: 멀리 구름을 바라보는 마음. 자식이 객지에서 부모를 그리워하는 마을을 말한다. 주인공은 노래자(老萊子)이다.
망운지정 (望雲之情)바랄 망/구름 운/갈 지/뜻 정
: 멀리 구름을 바라보는 마음. 자식이 객지에서 부모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말한다. 출전 - 구당서 - 적인걸(狄仁傑) 이라는 사람의 태행산 을 올라갔더니 구름이 떠있었다. 그 보이는 구름아래 자기부모님 집이 있겠다라고 생각.
자로부미 (子路負米)아들 자/길 로/질 부/쌀 미
: 자로(공자의 제자 중유(仲由)의 자(字))가 쌀을 짊어지고 오다. 가난한 형편 속에서 정성으로 부모를 봉양함을 말한다. 부(負) 자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