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새로운것과 낡은 것 사이에서 전쟁이라는 역사적 순간에 처한 폴란드와 폴란드 민족의 운명, 더 나아가 인간 자체에 대한 깊은 성찰이 담겨있다.
3주차 2
퀴즈!!
영화 베로니카의 이중생활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문학적 기법은?
-은유법
2. 소쿠로프의 영화 베로니카의 두 주인공 이름은?
-베로니카와 베로니끄
<<은유법>>
보조형상!
형용사적 은유 :정적인 형상을 지니는 것
동사적 은유 : 역동적인 형상을 지니는 것
세르게이 에이슈테인이 자신의 저서 <몽타주>에서 최초 제기
<<베로니카의 이중생활>>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폴란드 영화감독)
동일한 것 같으면서 다른 두 여인에 관한 이야기
다른 공간에 살면서 서로 전혀 알지 못하는 두 여인
폴란드인 베로니카 vs 불란서인 베르니끄
분신이라는 테마와
개방 시기 동구의 혼란된 모습 vs 소구의 교차라는 테마를 중심
은유법을 통해 감상
주된 형상=베로니카 영화시작 25 분 후 심장병 사망
그 후 볼란서 사는 베로니끄 (보조형상) 중심으로 영화 진행
주형상이 사라진 후 등장하는 보조형상.
베로니카 사망 후 베로니끄가 등장하고 일정 시간이 지날 때까지 은유는 비교적 정적이다 왜냐하면 이여인의 형상은 왜곡,변형 x
!!!동사적인 은유 :
1. 베로니끄가 일하는 학교에서 마리오네트 인형극열릴때.
(초반부에 다리다친 발레리나 = 베로니카 은유)
춤을 추려다 쓰러지고 날개를 단 모습으로 부활!
=>피아니스트가 되려다손가락을 다쳐 베로니카가 성악가의 길을 가려다 사망 -> 다시 베로니끄로 부활
2. 베로니카의 은유인 옷입지 않는 또 하나의 인형 클로즈업
단순히 비유되는 관계 x - 동적인 은유법
- 개별적인 형용사적 은유 => 개별적인 동사적 은유
- 개별적 동사적 은유 => 일반화된 동사적 은유
단순한 역동성. 관객으로 하여금 스스로 형상을 창조하도록 돕는것
=>동사적은유의 세계
3주차 3
퀴즈!!
1. 불가리아 영화 <화성에서 온 밀라> 감독이름?
-조니차 소피아
2. 여주인공 밀라가 낳은 아이는 그리스도를 의미 그의 이름은?
-크리스토
<<화성에서 온 밀라>>
조니차 소피아 감독 - \"이영화는 페미니즘의 색채를 딘 성장영화이며, 다원주의적 종교관을 묘사한 작품\"
줄거리 : 폭력에 시달리는 16살 소녀가 탈출. 그녀가 내린곳은 외딴 국경마을로 무료한 일상을 보내던 노인은 소녀의 출현을 반기고 아이까지 낳는다. 페미니즘 색채를 띤 성장영화. 선이 굵은 대담한 연출력
그녀의 진정한 인생 전환은 마을에서 이루어짐.
제목에 등장하는 화성 : 밀라의 주위 환경이 그만큼 그녀 자신과 어울리지 않았다.
밀라는 사실상 어디에서도 환대받지 못하는 상황. 공간은 상대적이다.
밀라가 알렉스와 같이 살던 도시가 노인에겐 화성
노인들에게 알렉스와 밀라가 화성
++주목해야 할 점
영화 서사 전개는 밀라의 출산 전과 후로 구분.
어느 곳에서도 환영받지 못했던 밀라는 시골마을에서 비로소 진정한 삶을 찾았다.밀라의 표정이 점점 밝아짐.
클리스마에서 태어난 밀라의 아기이름 : 크리스토
크리스토의 탄생 : 밀라의 재탄생
아기의 출생 전후해서 시간 나눔 =>기독교적 풍습 연상 =>밀라의 재탄생
밀라 : 기독교적 상징성 강조
아산 : 불교적 이미지 강조
그들 모두에게 발견되는 종교적 이미지 = 역격 극복, 동반자적 연인관계 암시
밀라와 알렉스는 화해 x, 알렉스가 결국 밀라와 아산의 관계를 수용함으로써 인물들간의 궁극적 화해 기반은 마련.
10대 소녀의 성장기
다양한 종교의 공존
세대간의 화해
한 인간의 재탄생
4주차 1
퀴즈!!
폴란드 영화 감독 안제이 바이다가 속한 영화운동 유파는?
폴란드 학파
영화 <지하수로>의 배경이 되는 역사적 사건?
바르샤바 봉기
바르샤바 봉기 : 1943년 소련 군대가 바르샤바 교외까지 진입
부르코 - 모르프스키 장군 (폴란드 국내군의 지도자, 바르샤바를 자력으로 탈환하려 함, 바르샤바 봉기 일으킴
봉기군은 8.4일까지 바르샤바 주요지역 장악
<<지하수로>>
혁신적 형식을 취한 비극! - 바르샤바 봉기의 실패를 감성적이고 심리적인 형상으로 묘사.
바르샤를 지키려는 사람들의 삶의 마지막 순간.
살아남은 부대원이 독일이 이미 승리했다는것을 알면서도 생존 부대원을 만나기위해 배수구를 통과하는 이야기.
에피소드
1. 자드라 중위와 서기 쿨랴에 관한 에피소드
지하수로라는 한계적 상황에서 드러나는 인간 본성의 대조.
자드라는 쿨라의 말을 믿고 하수구 밖으로 나왔지만, 이것은 쿨라가 빨리 구조되기 위해 자드라를 속인 것이다. 둘다 지하수로의 뚜껑을 문을 통해 나왔지만, 그때야 비로소 자드라는 다른 부대원이 지하에 남았다는 것을 알게됨.
분노한 자드라는 쿨랴(악의 상징, 봉기에 참여한 부대원에 대한 배신의 상징)를 살해 -> 죽음을 알면서 지하수로로 다시 내려감. 즉,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부대원을 찾기위해 내려감.
2. 자드라의 부관 몬드르이에 대한 에피소드
몬드로이는 지하수로에서 절망과 야만적인 분노의 감정. 의외로 자신을 사랑하는 젊고 낭만적인 갈린카에게 자신의 가혹한 본성드러냄.
그가 평범한 사람이라는 점에 절망한 여성은 지하수로에서 총에 맞음. 몬드로이는 혼자 지상으로 나가지만 곧 포로를 총살하는 나치에게 발견. 구원을 바라지않고 영웅처럼 말없이 죽음. ->폴란드의 민족적 영웅주의
3. 코라브와 마르가리타에 관한 에피소드
가장 낭만적 : 치명적 부상을 입은 코라브와 마르가리타가 지하수로에서 방황하는 이야기. 코라브는 의식을 잃고, 시력을 잃음.
마르가리타는 사랑의 힘으로 부축. 더럽고 무기력한 주인공들을 전혀 미학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묘사함으로써 역설적으로 그들의 사랑 강조. 자유를 찾아 나왓을때 코라브는 그녀의 팔에서 죽어감. 낭만적.
비극적 현실에 대한 영혼의 승리.
4주차 2
퀴즈!!
1.2005년 이후 루마니아 영화의 부흥기?
루마니아 뉴웨이브
2.사회주의 붕괴 후 혁명이 일어났던 루마니아의 수도?
부하레스트
사회주의 붕괴 이전 루마니아를 통치해던 독재자는?
차우세스쿠
루마니아 : 국내게 거의소개 x(2007년도 이전에는 국내상영금지)
2005년. \"루마니아의뉴웨이브\"작품들이 국제 평단에서 주목
루마니아 뉴웨이브의 대표작
<<그
3주차 2
퀴즈!!
영화 베로니카의 이중생활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문학적 기법은?
-은유법
2. 소쿠로프의 영화 베로니카의 두 주인공 이름은?
-베로니카와 베로니끄
<<은유법>>
보조형상!
형용사적 은유 :정적인 형상을 지니는 것
동사적 은유 : 역동적인 형상을 지니는 것
세르게이 에이슈테인이 자신의 저서 <몽타주>에서 최초 제기
<<베로니카의 이중생활>>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폴란드 영화감독)
동일한 것 같으면서 다른 두 여인에 관한 이야기
다른 공간에 살면서 서로 전혀 알지 못하는 두 여인
폴란드인 베로니카 vs 불란서인 베르니끄
분신이라는 테마와
개방 시기 동구의 혼란된 모습 vs 소구의 교차라는 테마를 중심
은유법을 통해 감상
주된 형상=베로니카 영화시작 25 분 후 심장병 사망
그 후 볼란서 사는 베로니끄 (보조형상) 중심으로 영화 진행
주형상이 사라진 후 등장하는 보조형상.
베로니카 사망 후 베로니끄가 등장하고 일정 시간이 지날 때까지 은유는 비교적 정적이다 왜냐하면 이여인의 형상은 왜곡,변형 x
!!!동사적인 은유 :
1. 베로니끄가 일하는 학교에서 마리오네트 인형극열릴때.
(초반부에 다리다친 발레리나 = 베로니카 은유)
춤을 추려다 쓰러지고 날개를 단 모습으로 부활!
=>피아니스트가 되려다손가락을 다쳐 베로니카가 성악가의 길을 가려다 사망 -> 다시 베로니끄로 부활
2. 베로니카의 은유인 옷입지 않는 또 하나의 인형 클로즈업
단순히 비유되는 관계 x - 동적인 은유법
- 개별적인 형용사적 은유 => 개별적인 동사적 은유
- 개별적 동사적 은유 => 일반화된 동사적 은유
단순한 역동성. 관객으로 하여금 스스로 형상을 창조하도록 돕는것
=>동사적은유의 세계
3주차 3
퀴즈!!
1. 불가리아 영화 <화성에서 온 밀라> 감독이름?
-조니차 소피아
2. 여주인공 밀라가 낳은 아이는 그리스도를 의미 그의 이름은?
-크리스토
<<화성에서 온 밀라>>
조니차 소피아 감독 - \"이영화는 페미니즘의 색채를 딘 성장영화이며, 다원주의적 종교관을 묘사한 작품\"
줄거리 : 폭력에 시달리는 16살 소녀가 탈출. 그녀가 내린곳은 외딴 국경마을로 무료한 일상을 보내던 노인은 소녀의 출현을 반기고 아이까지 낳는다. 페미니즘 색채를 띤 성장영화. 선이 굵은 대담한 연출력
그녀의 진정한 인생 전환은 마을에서 이루어짐.
제목에 등장하는 화성 : 밀라의 주위 환경이 그만큼 그녀 자신과 어울리지 않았다.
밀라는 사실상 어디에서도 환대받지 못하는 상황. 공간은 상대적이다.
밀라가 알렉스와 같이 살던 도시가 노인에겐 화성
노인들에게 알렉스와 밀라가 화성
++주목해야 할 점
영화 서사 전개는 밀라의 출산 전과 후로 구분.
어느 곳에서도 환영받지 못했던 밀라는 시골마을에서 비로소 진정한 삶을 찾았다.밀라의 표정이 점점 밝아짐.
클리스마에서 태어난 밀라의 아기이름 : 크리스토
크리스토의 탄생 : 밀라의 재탄생
아기의 출생 전후해서 시간 나눔 =>기독교적 풍습 연상 =>밀라의 재탄생
밀라 : 기독교적 상징성 강조
아산 : 불교적 이미지 강조
그들 모두에게 발견되는 종교적 이미지 = 역격 극복, 동반자적 연인관계 암시
밀라와 알렉스는 화해 x, 알렉스가 결국 밀라와 아산의 관계를 수용함으로써 인물들간의 궁극적 화해 기반은 마련.
10대 소녀의 성장기
다양한 종교의 공존
세대간의 화해
한 인간의 재탄생
4주차 1
퀴즈!!
폴란드 영화 감독 안제이 바이다가 속한 영화운동 유파는?
폴란드 학파
영화 <지하수로>의 배경이 되는 역사적 사건?
바르샤바 봉기
바르샤바 봉기 : 1943년 소련 군대가 바르샤바 교외까지 진입
부르코 - 모르프스키 장군 (폴란드 국내군의 지도자, 바르샤바를 자력으로 탈환하려 함, 바르샤바 봉기 일으킴
봉기군은 8.4일까지 바르샤바 주요지역 장악
<<지하수로>>
혁신적 형식을 취한 비극! - 바르샤바 봉기의 실패를 감성적이고 심리적인 형상으로 묘사.
바르샤를 지키려는 사람들의 삶의 마지막 순간.
살아남은 부대원이 독일이 이미 승리했다는것을 알면서도 생존 부대원을 만나기위해 배수구를 통과하는 이야기.
에피소드
1. 자드라 중위와 서기 쿨랴에 관한 에피소드
지하수로라는 한계적 상황에서 드러나는 인간 본성의 대조.
자드라는 쿨라의 말을 믿고 하수구 밖으로 나왔지만, 이것은 쿨라가 빨리 구조되기 위해 자드라를 속인 것이다. 둘다 지하수로의 뚜껑을 문을 통해 나왔지만, 그때야 비로소 자드라는 다른 부대원이 지하에 남았다는 것을 알게됨.
분노한 자드라는 쿨랴(악의 상징, 봉기에 참여한 부대원에 대한 배신의 상징)를 살해 -> 죽음을 알면서 지하수로로 다시 내려감. 즉,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부대원을 찾기위해 내려감.
2. 자드라의 부관 몬드르이에 대한 에피소드
몬드로이는 지하수로에서 절망과 야만적인 분노의 감정. 의외로 자신을 사랑하는 젊고 낭만적인 갈린카에게 자신의 가혹한 본성드러냄.
그가 평범한 사람이라는 점에 절망한 여성은 지하수로에서 총에 맞음. 몬드로이는 혼자 지상으로 나가지만 곧 포로를 총살하는 나치에게 발견. 구원을 바라지않고 영웅처럼 말없이 죽음. ->폴란드의 민족적 영웅주의
3. 코라브와 마르가리타에 관한 에피소드
가장 낭만적 : 치명적 부상을 입은 코라브와 마르가리타가 지하수로에서 방황하는 이야기. 코라브는 의식을 잃고, 시력을 잃음.
마르가리타는 사랑의 힘으로 부축. 더럽고 무기력한 주인공들을 전혀 미학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묘사함으로써 역설적으로 그들의 사랑 강조. 자유를 찾아 나왓을때 코라브는 그녀의 팔에서 죽어감. 낭만적.
비극적 현실에 대한 영혼의 승리.
4주차 2
퀴즈!!
1.2005년 이후 루마니아 영화의 부흥기?
루마니아 뉴웨이브
2.사회주의 붕괴 후 혁명이 일어났던 루마니아의 수도?
부하레스트
사회주의 붕괴 이전 루마니아를 통치해던 독재자는?
차우세스쿠
루마니아 : 국내게 거의소개 x(2007년도 이전에는 국내상영금지)
2005년. \"루마니아의뉴웨이브\"작품들이 국제 평단에서 주목
루마니아 뉴웨이브의 대표작
<<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