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입
전개1
전개2
정리
평가 기준
예상되는 발전
판서 계획
수업의 흐름
전개1
전개2
정리
평가 기준
예상되는 발전
판서 계획
수업의 흐름
본문내용
같아요. 하지만, 윤선도가 정치적인 분쟁에 휩싸여 계속 유배를 다녔음을 생각한다면 그만큼 세속적인 일에 회의를 느끼게 되는 것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결과적으로 윤선도가 남긴 작품들은 오늘날 하나 같이 문학사에서 커다란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다 같이 ‘만흥’을 한 번 읽어볼까요?
▷ 네
전
체
학
습
문
답
식
교과서
▶ 작품 외적
정보를 일방
적으로 전달
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상
상하며 받아
들일 수 있도
록 질문한다.
5
(15/50)
작품 표현 이해하기
▶ ‘만흥’을 읽을 때는 그냥 일반적인 글처럼 단순하게 읽는 것이 아니라 각 줄을 이등분하여 두 단위로 끊어 읽도록 하세요. (읽는 방식은 시범을 보여준다.) 이제 ‘만흥’을 읽어봅시다. (음악을 틀어준다.)
▶ 잘 읽어 주었어요. 리듬감이 잘 살아나도록 훌륭하게 읽었어요. 지금부터는 방금 읽었던 ‘만흥’의 내용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이해가 되지 않는 표현에 △표시를 해봅시다.
▶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나요?
▶ (학생들이 발표한 표현들을 판서하고 각각의 표현들이 가지는 의미를 적는다.)
▷ (작품을 낭독한다.)
▷ (어려운 표현을 확인한다.)
▷ (각자가 생각하는 어려운 표현들을 발표한다.)
전
체
학
습
발
표
식
낭
독
배경
음악
교과서
▶ 작품 이해
에 장애가 되
는 어휘를 칠
판에 판서하
고 뜻을 풀이
하여 학생들
이 모두 확
인할 수 있
도록 한다.
▷ 막히는 표현의 의미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을 이해
한다.
20
(35/50)
수행 및
피드백
▶ 여러분이 이야기 한 표현들의 의미를 다 같이 알아보았어요. 방금 함께 공부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만흥’을 다시 한 번 읽어보고 교과서 46쪽의 ‘학습 활동’의 2번 문제를 작성하도록 합니다. 주제란 각 수에서 담고 있는 핵심 내용, 주요소재는 앞서 말한 주제를 드러내는 데 사용된 것을 의미해요.
개
별
활
동
교과서
▶ 학습활동
에 대한 시범
을 보여줌으로써 활동에
대한 안내를
제공한다.
단계
시간
(분)
수업
요항
교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수업
자료
지도상의 유의점
및 도달점
교 사
학 생
전개
1
20
(35/50)
수행
및
피드백
선생님이 한 번 3수의 주제와 주요소재를 찾아보도록 할게요. 3수에 보면 화자는 잔을 들고 무언가를 마시면서 혼자 앉아 먼 산을 바라보고 있어요. 이 장면을 떠올렸을 때 어떤 느낌이 들어요?
▶ 그렇죠? 선생님도 매우 여유롭고 한가한 모습을 떠올리게 되네요. 그 다음 줄을 보면 그리워하는 님을 만난 반가움이 자연을 바라볼 때의 느낌만 하겠는가라고 스스로 되묻고 있어요. 자연이 주는 감동이 사람이 줄 수 있는 감동보다 더 높은 차원에 있음을 드러내고 있네요. 이는 그 다음 줄에서 자연이 아무런 말도 하지 않고 웃음도 짓지 않지만 못내 좋아한다는 표현을 통해 직접적으로 드러나고 있어요.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화자는 사람보다 자연을 더 가까이에 두고자 하여 ‘자연을 벗으로 삼는 한가로운 정서’를 드러내고 있고, 이는 ‘뫼’라는 구체적인 자연물을 통해서 표현되고 있다고 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선생님이 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하면 다른 수의 주제와 주요 소재도 금방 찾을 수 있을 거에요.(칠판에 판서한다.) 6분 정도의 시간을 줄 테니 나머지 부분을 완성하도록 합니다.(칠판나누기 활동이 가능하도록 판서하고 본문의 내용을 적은 종이를 칠판에 붙인다.)
▶ 지금쯤이면 대부분의 친구들이 다 적었을 것 같네요. 작성을 끝낸 사람 중에 5명이 앞에 나와서 나머지 빈 칸의 내용을 채워 보도록 합니다.
▶ (학생들이 적은 내용을 바탕으로 수정 보완한다.)지금까지 적은 내용
▷ 여유롭게 앉아 경치를 즐기는 선비가 떠올라요. / 아무 말 없이 가만히 자연을 바라보고 있는 것 같아요.
▷ 네.(학습활동을 수행한다.)
▷ (칠판에 나가서 빈칸을 채운다.)
개
별
활
동
문
답
식
칠
판
나
누
기
교과서
▶ 한자어로
된 용어는 뜻
을 풀어 설명
하여 이해 하
기 쉽도록 한
다.
▶ 칠판나누
기 활동을 희
망하는 학생
이 없는 경우에는 교사가
5명의 학생을
지목하여 수
업의 흐름이
끊어지지 않
도록 한다.
▶ 활동결과
를 칠판나누
기 활동을 통
해 모든 학생
이 같이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 교사의 시
범을 보고 학
습활동에 대
한 암시를 얻는다.
단계
시간
(분)
수업
요항
교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수업
자료
지도상의 유의점
및 도달점
교 사
학 생
전개
1
20
(35/50)
수행
및
피드백
을 정리해보면 1수의 주제는 안분지족의 삶, 2수는 안빈낙도의 삶, 3수는 자연을 벗삼는 한정, 4수는 강호 한정의 삶, 5수는 자연 귀의의 삶, 6수는 성은에 대한 감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 특징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먼저, 이 시조에 드러나는 화자의 전반적인 태도를 생각해봅시다. 화자는 풍족하지 않은, 소박한 자연 속에서의 한가한 생활을 부끄럽게 여기고 슬퍼하고 있어요? 아니면 그러한 삶에 만족하며 즐기고 있어요?
▶ 맞아요. 그는 양반으로서 출세하여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자연 속에서 한가로운 삶을 살고 있지만 그것을 부끄러워하기 보다는 만족하고 있죠. 따라서, 첫 번째 특
징은 ‘자연과의 합일에서 느끼는 만족감이 나타나 있다’라고 할 수 있겠네요.(칠판에 판서한다.) 그 다음으로 ‘만흥’의 1~3수와 4~6수를 한 번 비교해봅시다. 어떤 차이점이 있죠?
▶ 단번에 차이점을 가려내기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는 것 같네요. 천천히 하나씩 해보도록 해요. 먼저 1,2,3수에 사용된 단어 중에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네, 잘 찾아 주었어요. 이 단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 맞아요. 자연물을 나타내거나 풋나물, 보리밥처럼 소박함을 드러내는 단어들이에요. 그러면 이제 4,5,6수에 사용된 단어들을 똑같이 찾아볼까요?
▷ 자연 속에서의 삶에 만족하고 그 속의 여유를 즐기고 있어요.
▷ 음, 눈에 띄는 차이점을 찾기가 어려운 것 같아요. / 한자어가 많이 쓰인 것 같아요.
▷ 바회,
▷ 네
전
체
학
습
문
답
식
교과서
▶ 작품 외적
정보를 일방
적으로 전달
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상
상하며 받아
들일 수 있도
록 질문한다.
5
(15/50)
작품 표현 이해하기
▶ ‘만흥’을 읽을 때는 그냥 일반적인 글처럼 단순하게 읽는 것이 아니라 각 줄을 이등분하여 두 단위로 끊어 읽도록 하세요. (읽는 방식은 시범을 보여준다.) 이제 ‘만흥’을 읽어봅시다. (음악을 틀어준다.)
▶ 잘 읽어 주었어요. 리듬감이 잘 살아나도록 훌륭하게 읽었어요. 지금부터는 방금 읽었던 ‘만흥’의 내용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이해가 되지 않는 표현에 △표시를 해봅시다.
▶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나요?
▶ (학생들이 발표한 표현들을 판서하고 각각의 표현들이 가지는 의미를 적는다.)
▷ (작품을 낭독한다.)
▷ (어려운 표현을 확인한다.)
▷ (각자가 생각하는 어려운 표현들을 발표한다.)
전
체
학
습
발
표
식
낭
독
배경
음악
교과서
▶ 작품 이해
에 장애가 되
는 어휘를 칠
판에 판서하
고 뜻을 풀이
하여 학생들
이 모두 확
인할 수 있
도록 한다.
▷ 막히는 표현의 의미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을 이해
한다.
20
(35/50)
수행 및
피드백
▶ 여러분이 이야기 한 표현들의 의미를 다 같이 알아보았어요. 방금 함께 공부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만흥’을 다시 한 번 읽어보고 교과서 46쪽의 ‘학습 활동’의 2번 문제를 작성하도록 합니다. 주제란 각 수에서 담고 있는 핵심 내용, 주요소재는 앞서 말한 주제를 드러내는 데 사용된 것을 의미해요.
개
별
활
동
교과서
▶ 학습활동
에 대한 시범
을 보여줌으로써 활동에
대한 안내를
제공한다.
단계
시간
(분)
수업
요항
교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수업
자료
지도상의 유의점
및 도달점
교 사
학 생
전개
1
20
(35/50)
수행
및
피드백
선생님이 한 번 3수의 주제와 주요소재를 찾아보도록 할게요. 3수에 보면 화자는 잔을 들고 무언가를 마시면서 혼자 앉아 먼 산을 바라보고 있어요. 이 장면을 떠올렸을 때 어떤 느낌이 들어요?
▶ 그렇죠? 선생님도 매우 여유롭고 한가한 모습을 떠올리게 되네요. 그 다음 줄을 보면 그리워하는 님을 만난 반가움이 자연을 바라볼 때의 느낌만 하겠는가라고 스스로 되묻고 있어요. 자연이 주는 감동이 사람이 줄 수 있는 감동보다 더 높은 차원에 있음을 드러내고 있네요. 이는 그 다음 줄에서 자연이 아무런 말도 하지 않고 웃음도 짓지 않지만 못내 좋아한다는 표현을 통해 직접적으로 드러나고 있어요.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화자는 사람보다 자연을 더 가까이에 두고자 하여 ‘자연을 벗으로 삼는 한가로운 정서’를 드러내고 있고, 이는 ‘뫼’라는 구체적인 자연물을 통해서 표현되고 있다고 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선생님이 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하면 다른 수의 주제와 주요 소재도 금방 찾을 수 있을 거에요.(칠판에 판서한다.) 6분 정도의 시간을 줄 테니 나머지 부분을 완성하도록 합니다.(칠판나누기 활동이 가능하도록 판서하고 본문의 내용을 적은 종이를 칠판에 붙인다.)
▶ 지금쯤이면 대부분의 친구들이 다 적었을 것 같네요. 작성을 끝낸 사람 중에 5명이 앞에 나와서 나머지 빈 칸의 내용을 채워 보도록 합니다.
▶ (학생들이 적은 내용을 바탕으로 수정 보완한다.)지금까지 적은 내용
▷ 여유롭게 앉아 경치를 즐기는 선비가 떠올라요. / 아무 말 없이 가만히 자연을 바라보고 있는 것 같아요.
▷ 네.(학습활동을 수행한다.)
▷ (칠판에 나가서 빈칸을 채운다.)
개
별
활
동
문
답
식
칠
판
나
누
기
교과서
▶ 한자어로
된 용어는 뜻
을 풀어 설명
하여 이해 하
기 쉽도록 한
다.
▶ 칠판나누
기 활동을 희
망하는 학생
이 없는 경우에는 교사가
5명의 학생을
지목하여 수
업의 흐름이
끊어지지 않
도록 한다.
▶ 활동결과
를 칠판나누
기 활동을 통
해 모든 학생
이 같이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 교사의 시
범을 보고 학
습활동에 대
한 암시를 얻는다.
단계
시간
(분)
수업
요항
교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수업
자료
지도상의 유의점
및 도달점
교 사
학 생
전개
1
20
(35/50)
수행
및
피드백
을 정리해보면 1수의 주제는 안분지족의 삶, 2수는 안빈낙도의 삶, 3수는 자연을 벗삼는 한정, 4수는 강호 한정의 삶, 5수는 자연 귀의의 삶, 6수는 성은에 대한 감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 특징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먼저, 이 시조에 드러나는 화자의 전반적인 태도를 생각해봅시다. 화자는 풍족하지 않은, 소박한 자연 속에서의 한가한 생활을 부끄럽게 여기고 슬퍼하고 있어요? 아니면 그러한 삶에 만족하며 즐기고 있어요?
▶ 맞아요. 그는 양반으로서 출세하여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자연 속에서 한가로운 삶을 살고 있지만 그것을 부끄러워하기 보다는 만족하고 있죠. 따라서, 첫 번째 특
징은 ‘자연과의 합일에서 느끼는 만족감이 나타나 있다’라고 할 수 있겠네요.(칠판에 판서한다.) 그 다음으로 ‘만흥’의 1~3수와 4~6수를 한 번 비교해봅시다. 어떤 차이점이 있죠?
▶ 단번에 차이점을 가려내기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는 것 같네요. 천천히 하나씩 해보도록 해요. 먼저 1,2,3수에 사용된 단어 중에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네, 잘 찾아 주었어요. 이 단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 맞아요. 자연물을 나타내거나 풋나물, 보리밥처럼 소박함을 드러내는 단어들이에요. 그러면 이제 4,5,6수에 사용된 단어들을 똑같이 찾아볼까요?
▷ 자연 속에서의 삶에 만족하고 그 속의 여유를 즐기고 있어요.
▷ 음, 눈에 띄는 차이점을 찾기가 어려운 것 같아요. / 한자어가 많이 쓰인 것 같아요.
▷ 바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