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환기시스템의 이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방환기시스템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환기
1. 환기의 기본개념
2. 환기의 대상
3. 환기방식
4. 필요 환기량 산정방식
5 .주거용 건물에서의 필요 환기량에 대한 기준

Ⅱ. 실내 공기오염물질의 종류 및 영향
1.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발생원
2. 실내공기 오염물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3.실내 공기 환경설정에 관한 기준
3.-(1) 실내 공기의 설정단계 기준
3.-(2) 실내 공기 오염물질 농도에 관한 기준
3.-(3) 필요 환기량에 관한 기준

Ⅲ. 주방 환기시스템의 개론
1. 주방 환기시스템의 역사
2. 주방 환기시스템의 최근 설치현황
3. 주방 배기 렌지후드의 종류 및 특성
4. 환기시스템의 종류
5. 주방 환기시스템 기술요소 분석
6. 렌지후드 성능평가
7. 렌지후드의 배기풍량 계산법
8. 렌지후드의 주방덕트 정압손실
9. 주방의 급기 (Make up air)

본문내용

기준은 WL(Working Level)로서 나타내는데, 이는 우라늄 광산에서 광부들의 건강상태를 연구하면서 라돈이 인체에 미치는 위해성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1 WL 은 100pCi/ℓ 를 나타낸다. 라돈의 주 발생원은 0.1%의 우라늄(U)이 함유된 석탄이며 정상적인 토양에는 약 0.1~3[pCi/ℓ] 가 포함되어 있다.
10) 휘발성유기화합물질 (VOCs)
최근 건축재료나 공업제품, 가구류 등에서 수많은 종류의 오염물질이 실내의 공기로 방출되어 공기환경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은 대부분 휘발성 유기화합(VOCs)물질과 반휘발성 유기화합물질(SVOCs : Sami-Volatile Organic Compounds)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들은 공기중의 분압이 아주 낮은 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검출이 쉽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지난 십여 년 간 선진국을 중심으로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유기화합물질의 량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상당량의 물질이 방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VOCs) 물질은 화학적으로 구성이 복잡하고 여러 가지 물질의 화합물로 종류가 다양하며 성질이 변하는 특징을 갖고 있어 측정 또한 복잡하고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실내의 총 VOCs 물질의 농도는 1~2ppm 이하의 매우 낮은 상태에서도 인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쉽게 검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의 자극과 증상이 매우 경미하고 서서히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VOCs 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호흡기관의 자극과 두통의 원인이 되고, 신경 생리학적 기능장해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인체에의 직접적인 영향이 나타나는 농도나 오염물질에 대한 인체의 반응 정도는 개인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에 대하여 재실자가 불쾌감을 호소해야만 실내 VOCs 물질에 대한 오염특성을 평가하거나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여서는 아니된다.
유기 화합물의 분류
종 류
비등점 범위(℃)
휘발성이 강한 유기 화합물
VVOC(Very Volatile Organic Compounds)
< 0 ~ 50-100
휘발성 유기 화합물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50-100 ~ 240-260
반 휘발성 유기 화합물
SVOC(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240-260 ~ 380-400
분진과 연관된 유기 화합물
POM(Particluate Organic Matter)
> 380
11) 기타
위와 같은 물질 외에 실내에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균류 등의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들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증식을 하므로 환기가 불충분하고 질이 나쁜 공기를 재순환 하는 경우에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미생물은 전염성 질환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며 일반 가정에서는 애완동물 및 내화재, 카페트 등에서도 쉽게 발견될 수 있다. 또한, 실내에서는 인체뿐만 아니라 각종 기기의 사용과 같은 인위적인 활동에 기인한 악취가 발생하기도하여 불쾌감을 주기도 한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복사기, 공기청정기 등에서 고전압을 사용하여 오존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승민,2000).
3.실내 공기 환경설정에 관한 기준
3.-(1) 실내 공기의 설정단계 기준
오염된 실내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은 건강을 해치게 된 것이라는 것은 간단히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오염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무엇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그리 간단하지가 않다. 실내공기오염은 심각하게 진행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염의 규제기준을 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저 농도이긴 하나 장시간 계속되는 공기오염은 실제로 인체에 나쁜 여향을 미치기 때문에 허용치(기준치)를 정해서 오염상태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WHO에서 실시하고 있는 기준의 설정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환경기준(Environmental Standards)은 일반적으로 판정조건(Criteria), 지침(Guides), 권장치(Recommendations), 지침치(Guidelines)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설정되고, 법적인 강제규정으로 정하여 법규(Code, Regulation)가 되기도 한다. 먼저 각종 오염물질에 대한 과학적 판단과 측정조사 결과의 통계적 처리로부터 오염물질에 대한 판정조건을 작성하는데, 이는 각종오염농도와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시간에 대응한 인체와 환경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과학적 지식을 정리한 것으로, 이를 기초로 지침이 결정된다. 지침은 판정기준 중에서 오염물질이 인체, 동 식물, 일반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농도와 재실시간 등을 종합하여 결정한 것이다. 사회경제학자, 환경관련 기술자, 행정담당자로 구성된 기준설정위원회는 지침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고 평가하며, 사회의 보건위생과 인체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에서 안전계수(Safety Factor)를 고려하여 권장치를 작성한다 (김한일,2006).
환경기준 설정단계
실내 공기환경에서 각종 오염물질 기준은 재실자나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관점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미국의 OSH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ssociation)와 ACGIH(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는 주로 작업환경 조건으로 실내의 환경을 건강에 무해(healthy)한 경우와 유해(unhealthy)한 경우로만 구분하여 기준을 설정하고 있으며, 비교적 높은 기준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건강에 무해한 환경에도 다시 쾌적범위(comfort zone)과 불쾌적범위(discomfort zone)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며, 재실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내의 환경조건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실내환경에 대한 쾌적성의 의미는 재실자 개개인마다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환경에 대한 쾌적범위는 재실자의 80%이상이 만족하는 환경조건으로 제시된다. 쾌
  • 가격7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14.07.23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9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