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혼모가족의 개념
2. 미혼모가족의 현황
3. 미혼모가족의 발생원인과 문제
4. 미혼모가족을 위한 사회 복지대책
5. 미혼모 가족을 위한 복지과제
<과제 후 느낀점>
2. 미혼모가족의 현황
3. 미혼모가족의 발생원인과 문제
4. 미혼모가족을 위한 사회 복지대책
5. 미혼모 가족을 위한 복지과제
<과제 후 느낀점>
본문내용
미혼모가족과 가족복지
1. 미혼모가족의 개념
2. 미혼모가족의 현황
3. 미혼모가족의 발생원인과 문제
4. 미혼모가족을 위한 사회 복지대책
5. 미혼모 가족을 위한 복지과제
<과제 후 느낀점>
1. 미혼모가족의 개념
(1)미혼모의 정의
1)개념 - 미혼상태에서 혼전 임신 및 출산, 인공임신중절과 별거, 이혼, 사별 상태에서 혼전임신 및 출산, 인공임신중절과 별거, 이혼, 사별 상태에서 배우자와 관계없는 아이를 가진 경우.
2)사전전정의- 합법적이고 정당한 결혼 절차 없이 아기를 임신 중이거나 출산한 여 성.
3)법적측면- ①혼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를 임신하여 분만을 한 여성.
② 이미혼인한 기혼녀가 이혼, 과부 등의 상태에서 법적 배우자가 아닌 남자와의 관계에서 임신했을 경우.
③ 혼외의 경우인 독신녀가 인공수정한 경우.
4)우리나라 - 혼전 임신에 한해서 미혼모라 하는것이 상례이며, 통상적으로 미혼모 는 주로10대 미혼모 혹은 20대 초반의 미혼모에 국한하여 사용.
2.미혼모가족의 현황
- 청소년들은 쉽게 성적 충동을 느낌.
- 성에대해서 보다 허용적 태도를 가지게 되어 사회적으로 이들에게 적절한 성교육은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성도덕은 문란해지고 성범죄, 혼전 성문제를 야기함.
1) 미혼모가족 아동의 수
미국- 1999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미혼모 출산아가 130만을 넘어 전체 출산아의 3분의1을 차지.
2) 미혼모의 연령
-우리나라에서 미혼모 보호시설에 입소한 미혼모 중 10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1년 24%에서 2000년에는 63%로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입양아의 90%가 미혼모의 아이로 ,10대 학생 미혼모가 사회문제화됨
-프랑스와 영국의 미혼모 매년 1만여명.
양국에서는 교육책으로 양호실에서 피임약을 나누어 주고. 프랑스는 중학교 교과과정에 학기당 30~40시간씩 성교육과 피임 방법에 대한 교육을 하고있음.
10대에 출산하여 결혼한 경우는 약 10%정도로 나타나 10대에 출산을 하게 되면 대부분 미혼모.
3) 미혼모가족 아동의 입양
- 전체 입양아 90%이상이 미혼모의 아이
10대 미혼모의 비율은 1984년에는 24.9%, 2000년 62%로 증가.
-출산후 아기문제
①입양-63%
②양육-31.7%
-입양을 선택한 미혼모중 37.7%가 경제적 자원이 이루어진다면 아이를 양육할 의사가있음.
4)미혼모의 사회인구학전 요인
(1) 미혼모의 직업
학생-1984년 0.4%에서 1996년에는 28.7%로 증가.
(2) 미혼모의 학력
①고등학교 이하 - 87%
②고등중퇴 이하 - 35.3%
③고졸 - 47%
④대재이상 - 17.7%
-10대의 경우 연령자체가 낮기 때문에 당연히 교육수준이 낮음.
학업을 중단하고 가출을 하는경우도 많아 학업지속이 곤란, 저학력으로 연결.
(3) 미혼부와의 관계
①친구소개- 37%
②우연히 -16.4%
③직장동료-13.4%
-이성 교제 중에 자연스럽게 성관계를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남.
성 활동은 활발한 데 반하여 피임 등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출산.
-임신후 미혼부와의 관계
①헤어짐- 6.1%
②가끔 왕래 -10.8%
③결혼예정- 6.0%
④교제중-19.4%
-관계가 유지되는 경우는 25.4%에 불과함.미혼부들이 이성 교제 시 혼전 성관계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사고를 갖고 있으나, 예상치 못한 임신에 대한 책임은 주로 미혼모 혼자서 감당해야 하는 상황임.
(4)임신의 경우
①피임실패 -16%
②교제 중 원치않은 임신-66%
③아기를 갖기위해-7.5%
-82%가 원하지 않은 임시으로 성에 대한 무지의 결과로 임신한 것으로 나타남.
<시설입소 여성의 임신 이유>
계
아기를갖기 위하여
피임실패
교제 중 원치 않게 임신
성폭행을 당해서
직업상
기타
238
18
38
157
9
2
14
100
7.5
16.0
66.0
3.8
0.8
5.9
(단위: 명.%)
3.미혼모가족의 발생원인과 문제
1) 미혼가족의 발생 원인
- 미혼모의
1. 미혼모가족의 개념
2. 미혼모가족의 현황
3. 미혼모가족의 발생원인과 문제
4. 미혼모가족을 위한 사회 복지대책
5. 미혼모 가족을 위한 복지과제
<과제 후 느낀점>
1. 미혼모가족의 개념
(1)미혼모의 정의
1)개념 - 미혼상태에서 혼전 임신 및 출산, 인공임신중절과 별거, 이혼, 사별 상태에서 혼전임신 및 출산, 인공임신중절과 별거, 이혼, 사별 상태에서 배우자와 관계없는 아이를 가진 경우.
2)사전전정의- 합법적이고 정당한 결혼 절차 없이 아기를 임신 중이거나 출산한 여 성.
3)법적측면- ①혼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를 임신하여 분만을 한 여성.
② 이미혼인한 기혼녀가 이혼, 과부 등의 상태에서 법적 배우자가 아닌 남자와의 관계에서 임신했을 경우.
③ 혼외의 경우인 독신녀가 인공수정한 경우.
4)우리나라 - 혼전 임신에 한해서 미혼모라 하는것이 상례이며, 통상적으로 미혼모 는 주로10대 미혼모 혹은 20대 초반의 미혼모에 국한하여 사용.
2.미혼모가족의 현황
- 청소년들은 쉽게 성적 충동을 느낌.
- 성에대해서 보다 허용적 태도를 가지게 되어 사회적으로 이들에게 적절한 성교육은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성도덕은 문란해지고 성범죄, 혼전 성문제를 야기함.
1) 미혼모가족 아동의 수
미국- 1999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미혼모 출산아가 130만을 넘어 전체 출산아의 3분의1을 차지.
2) 미혼모의 연령
-우리나라에서 미혼모 보호시설에 입소한 미혼모 중 10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1년 24%에서 2000년에는 63%로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입양아의 90%가 미혼모의 아이로 ,10대 학생 미혼모가 사회문제화됨
-프랑스와 영국의 미혼모 매년 1만여명.
양국에서는 교육책으로 양호실에서 피임약을 나누어 주고. 프랑스는 중학교 교과과정에 학기당 30~40시간씩 성교육과 피임 방법에 대한 교육을 하고있음.
10대에 출산하여 결혼한 경우는 약 10%정도로 나타나 10대에 출산을 하게 되면 대부분 미혼모.
3) 미혼모가족 아동의 입양
- 전체 입양아 90%이상이 미혼모의 아이
10대 미혼모의 비율은 1984년에는 24.9%, 2000년 62%로 증가.
-출산후 아기문제
①입양-63%
②양육-31.7%
-입양을 선택한 미혼모중 37.7%가 경제적 자원이 이루어진다면 아이를 양육할 의사가있음.
4)미혼모의 사회인구학전 요인
(1) 미혼모의 직업
학생-1984년 0.4%에서 1996년에는 28.7%로 증가.
(2) 미혼모의 학력
①고등학교 이하 - 87%
②고등중퇴 이하 - 35.3%
③고졸 - 47%
④대재이상 - 17.7%
-10대의 경우 연령자체가 낮기 때문에 당연히 교육수준이 낮음.
학업을 중단하고 가출을 하는경우도 많아 학업지속이 곤란, 저학력으로 연결.
(3) 미혼부와의 관계
①친구소개- 37%
②우연히 -16.4%
③직장동료-13.4%
-이성 교제 중에 자연스럽게 성관계를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남.
성 활동은 활발한 데 반하여 피임 등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출산.
-임신후 미혼부와의 관계
①헤어짐- 6.1%
②가끔 왕래 -10.8%
③결혼예정- 6.0%
④교제중-19.4%
-관계가 유지되는 경우는 25.4%에 불과함.미혼부들이 이성 교제 시 혼전 성관계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사고를 갖고 있으나, 예상치 못한 임신에 대한 책임은 주로 미혼모 혼자서 감당해야 하는 상황임.
(4)임신의 경우
①피임실패 -16%
②교제 중 원치않은 임신-66%
③아기를 갖기위해-7.5%
-82%가 원하지 않은 임시으로 성에 대한 무지의 결과로 임신한 것으로 나타남.
<시설입소 여성의 임신 이유>
계
아기를갖기 위하여
피임실패
교제 중 원치 않게 임신
성폭행을 당해서
직업상
기타
238
18
38
157
9
2
14
100
7.5
16.0
66.0
3.8
0.8
5.9
(단위: 명.%)
3.미혼모가족의 발생원인과 문제
1) 미혼가족의 발생 원인
- 미혼모의
추천자료
미혼모 문제와 그에 따른 대책
(가족복지) 미혼모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및 미혼모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청소년 복지) 청소년 문제와 청소년 복지의 필요성 및 복지방안 제시(10대 미혼모, 청소년 ...
(여성복지)미혼모의 실태와 문제점 및 사회복지적 해결방안
미혼모 가족의 실태와 문제점 및 사회복지적 대안
한국사회의 미혼모의 현황과 문제와 그에 따른 대책
미혼모의 의미 발생 원인과 영향 해결방안
한부모미혼모가족의 복지
[가족복지론]미혼모부자 가족과 한부모가족의 정의 및 특성과 차이점, 두 가족에게 지원되는 ...
미혼모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 및 서비스 방안에 대해 제시
[청소년 미혼모 대책방안] 청소년 미혼모 - 청소년 미혼모의 현황과 문제점 및 청소년 미혼모...
우리나라의 미혼모와 한부모를 위한 사회복지 제도 및 프로그램을 정리해 보시오.
[사회복지개론] 우리나라의 미혼모와 한부모를 위한 사회복지제도 및 프로그램을 정리해 보세...
[사회복지개론] 인간이 경험하는 욕구와 사회문제에 대해서 조사해보고, 사회문제에 대한 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