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림학]총 정리 자료 및 기출문제-임업직 공무원, 산림기사, 산업기사, 산림조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림학]총 정리 자료 및 기출문제-임업직 공무원, 산림기사, 산업기사, 산림조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조림과 수목
II 임분
III 산림환경
IV 산림생태
V 임업종자의 형성과 결실
VI 임목육종
VII 묘목양성
VIII 묘목식재와 파종조림
IX 숲가꾸기
X 작업종(갱신)
XI 주요수종의 특성
XII 산림보호학

본문내용

Ⅰ 조림과 수목
[1]조림의 이해
1.조림학이란
①산림을 조성, 보육하며 임지의 생산능력을 높여 인간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학문
②조성한 산림으로부터 최대의 이익을 얻어야 한다.
③조림학에서는 산림의 기능 중 목재생산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우량목재를 되도록 빠른 기간 내에 생산하는 기술이 중요하게 여겨짐
④조림의 기능
임분구조의 조절
수종의 조성, 수령의 변이, 임관층의 분화와 배치, 수간직경급의 분포 등을 인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이익을 높이고자 하는 것
수종구성의 조절
-유용한 수종을 남기고 원하지 않는 수종을 제거하는 것
-유용한 수종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
임분밀도의 조절
밀도가 너무 낮으면 쓸모없는 수종이 나타나고 너무 밀하면 수목의 생리가 쇠약해져 경제성이 낮아짐
생산성 향상
불량하거나 황폐한 임지 등은 인공적으로 조림하여 생산성을 높임
보육적 처리
해충, 병해, 바람, 눈 등 여러 가지 피해원인에 대한 적적한 처리로 숲을 보호해야 함
윤벌기의 조절
윤벌기를 조림작업을 통해 단축시킨다
환경의 보호
산림의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생산성을 결정하는 입지인자들을 보호
2.숲의 기능
⑴숲의 기능별 구분
생활환경
보전림
-도시와 생활권 주변의 경관유지 등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산림
-풍치보안림, 비사방비보안림, 도시공원 안의 산림, 개발제한구역 안의 산림 등
자연환경
보전림
-생태, 문화, 학술적으로 보호할 가치가 있는 자연을 보전하기 위한 산림
-보건보안림, 어부보안림, 산림유전자원보호림, 채종원, 채종림, 시험림, 자연공원 안의 산림, 자연생태계 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안의 산림, 수목원 안의 산림, 조수보호구 안의 산림, 문화재보호구역 안의 산림,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의 산림 등
수원함양림
-수자원함양기능 및 수질정화기능을 높이기 위한 산림
-수원함양보안림, 상수원보호구역 안의 산림, 한강수계지역 안의 산림, 낙동강수계지역 안의 산림, 댐으로 집수되는 자연경계구획 안의 산림 등
산지재해
방지림
-산사태, 토사유출, 대형산불, 병해충 등 산림재해방지기능이 요구되는 산림
-사방지, 토사방비보안림, 산불 및 산사태가 우려되는 침엽수단순림, 병해충의 우려가 있는 단순림 등
산림휴양림
-다양한 휴양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특색있는 산림과 자연휴양림 등 휴양기능 증진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산림
목재생산림
-생태적 안정을 기반으로 하여 국민경제활동에 필요한 양질의 목재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공급하기 위한 산림
-요존국유림, 임업진흥권 안의 목재생산을 위한 산림, 경제림단지 산림 등 목재생산기능 증진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산림
⑵기능별 산림자원 관리의 주요 사항(임업경영정리 3장 참고)
기능구분
관리목표
유형구분
목표산림
관리방법
목재생산림
양질의 목재생산, 공급
인공림
우량대경재
우량중경재
특용소경재
조림, 숲가꾸기, 수확 및 산물처리
천연림
갱신, 숲가꾸기, 수확 및 산물처리





수원
함양림
수원함양, 수질정화 기능 증진
다층혼효림
조림, 숲가꾸기, 산물처리, 수확
자연환경
보전림
가치있는 건강한 산림자원 보전
보전형, 문화형, 학술 교육형
해당법률의 지정 취지를 살린 산림
조림, 숲가꾸기, 산물처리, 지정 취지를 살리는 산림관리
생활환경
보전림
생활권 주변의 쾌적한 환경 제공
공원, 경관형, 방풍 방음형, 생산형
다층혼효림, 계단식다층림, 우량대경재
경관, 특색수종, 침엽수 포함 특색수종 목재생산림
산지재해
방지림
산림재해에 강한 산림
토사방비 보안림, 산사태 우려지, 산화우려, 침엽수림, 병해충우려 단순림
다층혼효림, 내화수림대
조림, 숲가꾸기, 산물처리, 수확
산림
휴양림
종다양성 풍부한 특색있는 산림
공간이용 / 자연유지 지역
다층혼효림
조림, 숲가꾸기, 산물처리, 수확
우리나라 숲의 공익기능 평가액
2005년 기준
2010년 기준
①수원함양기능 (26.6%)
②대기정화기능 (20.4%)
③토사유출방지기능 (18.9%)
④산림휴양기능 (17.6%)
⑤산림정수기능 (9.2%)
⑥토사붕괴방지기능 (6.1%)
⑦야생동물보호기능 (1.2%)
①CO₂흡수 대기정화, 산소정화(20.2%)
②수원함양(18.5%)
③산림경관(13.9%)
④산림휴양(13.4%)
⑤토사유출방지(13.2%)
⑥토사붕괴방지(6.1%)
목재생산림의 목표산림
①인공림에서는 대경재, 중경재, 소경재로 구분
대경재
중경재
소경재
목표지름
40㎝ 이상
40㎝ 미만 20㎝ 이상
20㎝ 미만
용도
문화재, 화장단판, 합판, 고급제재(각재, 판재) 구조재, 고급건축재, 가구재, 악기 등
건축재, 소형가구재, 공예재, 일반제재(각재, 판재) 등
가설재, 포장재, 일반제재(소각재, 소판재), 펄프재,

키워드

조림학,   공무원,   임업직,   종자,   묘목,   숲가꾸기,   갱신,   수종,   산림
  • 가격5,000
  • 페이지수66페이지
  • 등록일2014.08.01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16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