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록의 개념
2. 목록의 역할
(1) 카터의 사전체목록
(2) IFLA의 국제목록원칙규범
3. 동양에서의 목록
4. 서구에서의 목록 이론
(1) 문헌(book)과 저작(work)
(2) 15세기 유럽에서는 저작을 기록하는데 중점을 두었음
(3) 16세기 인쇄문헌의 저록을 만들 때 발행처와 발행년을 기술요소에 포함
(4) 17세기 모국어를 사용한 문헌의 출판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특정 문헌을 검색에 어려움을 겪음
(5) 18세기에는 학문의 발전으로 출판량도 증가하여 도서관에 소장된 장서양도 증가
[Panizzi 목록 이론]
[Jewett의 목록 이론]
[Cutter 목록 이론]
[Lubetzky 목록 이론] - 미국 의회 도서관에서 목록규칙을 만든 아버지
[Verona 목록 이론]
(6) 영미목록규칙(AACR2) 역사
(7) ISBD(G = General)
(8) FRBR(서지 레코드의 기능상 요건, 서지단위)
(9) RDA (AACR3가 아님 하지만 버전은 AACR2의 후속판)
5. 우리나라의 목록
(1)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목록체계는 주제순으로 구분한 후
(2) 한국 목록 규칙
2. 목록의 역할
(1) 카터의 사전체목록
(2) IFLA의 국제목록원칙규범
3. 동양에서의 목록
4. 서구에서의 목록 이론
(1) 문헌(book)과 저작(work)
(2) 15세기 유럽에서는 저작을 기록하는데 중점을 두었음
(3) 16세기 인쇄문헌의 저록을 만들 때 발행처와 발행년을 기술요소에 포함
(4) 17세기 모국어를 사용한 문헌의 출판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특정 문헌을 검색에 어려움을 겪음
(5) 18세기에는 학문의 발전으로 출판량도 증가하여 도서관에 소장된 장서양도 증가
[Panizzi 목록 이론]
[Jewett의 목록 이론]
[Cutter 목록 이론]
[Lubetzky 목록 이론] - 미국 의회 도서관에서 목록규칙을 만든 아버지
[Verona 목록 이론]
(6) 영미목록규칙(AACR2) 역사
(7) ISBD(G = General)
(8) FRBR(서지 레코드의 기능상 요건, 서지단위)
(9) RDA (AACR3가 아님 하지만 버전은 AACR2의 후속판)
5. 우리나라의 목록
(1)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목록체계는 주제순으로 구분한 후
(2) 한국 목록 규칙
본문내용
것
예) 제1집단의 개체 중 저작의 속성은 저작의 표제임
③ 관계
개체간의 연결을 표현하기 위한 장치로
이용자가 서지나 목록을 항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
(9) RDA (AACR3가 아님 하지만 버전은 AACR2의 후속판)
① 배경
1) 디지털 자료의 출현
2) 기존 목록 규칙과 더블린 코어 등장 (DC)
② 특성
1) AACR2는 1978년 이후 여러 개정작업을 했지만 기반은 카드목록 이었음.
2) FRBR은 AACR2 후속판의 방향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5. 우리나라의 목록
(1)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목록체계는 주제순으로 구분한 후
동일 분류항목 내에서 간행 연대순에 따라 표제로 배열
① 20세기 초까지 논리적인 주제순에 의한 표제검색만 가능
② 1091년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이 가장 오래된 주제서목
③ 박봉석 도서편목규칙, 한은도서편목법
(2) 한국 목록 규칙
① 한국목록규칙, 초판(1964) 및 수정판(1966)
1) 저자기본표목원칙을 적용
2) 표목은 한글로 표기
3) 외국인명과 서명 등은 번자(번역된 글자)표목으로 함
② 한국목록규칙, 3판
1) ISBD(국제표준서지기술법)에서 규정한 기술방식을 수용하여 서지기술의 표준화를 기하고 저록의 국제교환과 가계가독목록에 적용
2) 서지기술 단위 저록방식을 수용. 표목과 독립적으로 저록을 완성
3) ISBD의 구독법 사용
③ 한국목록규칙, 4판
1) 목록의 기능제시 2) 기술대상의 확장: 다양한 매체로 확장
3) 화상자료와 영상자료의 통합 4) 용어로서의 접근
5) 책임표시의 한계 해소 6) 기본표목의 배제
7) 통일표목의 배제
예) 제1집단의 개체 중 저작의 속성은 저작의 표제임
③ 관계
개체간의 연결을 표현하기 위한 장치로
이용자가 서지나 목록을 항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
(9) RDA (AACR3가 아님 하지만 버전은 AACR2의 후속판)
① 배경
1) 디지털 자료의 출현
2) 기존 목록 규칙과 더블린 코어 등장 (DC)
② 특성
1) AACR2는 1978년 이후 여러 개정작업을 했지만 기반은 카드목록 이었음.
2) FRBR은 AACR2 후속판의 방향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5. 우리나라의 목록
(1)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목록체계는 주제순으로 구분한 후
동일 분류항목 내에서 간행 연대순에 따라 표제로 배열
① 20세기 초까지 논리적인 주제순에 의한 표제검색만 가능
② 1091년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이 가장 오래된 주제서목
③ 박봉석 도서편목규칙, 한은도서편목법
(2) 한국 목록 규칙
① 한국목록규칙, 초판(1964) 및 수정판(1966)
1) 저자기본표목원칙을 적용
2) 표목은 한글로 표기
3) 외국인명과 서명 등은 번자(번역된 글자)표목으로 함
② 한국목록규칙, 3판
1) ISBD(국제표준서지기술법)에서 규정한 기술방식을 수용하여 서지기술의 표준화를 기하고 저록의 국제교환과 가계가독목록에 적용
2) 서지기술 단위 저록방식을 수용. 표목과 독립적으로 저록을 완성
3) ISBD의 구독법 사용
③ 한국목록규칙, 4판
1) 목록의 기능제시 2) 기술대상의 확장: 다양한 매체로 확장
3) 화상자료와 영상자료의 통합 4) 용어로서의 접근
5) 책임표시의 한계 해소 6) 기본표목의 배제
7) 통일표목의 배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