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맞벌이가족현황, 맞벌이가족문제, 맞벌이가족아동, 맞벌이가족복지, 맞벌이가족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맞벌이가족과 가족복지(맞벌이가족현황, 맞벌이가족문제, 맞벌이가족아동, 맞벌이가족복지, 맞벌이가족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맞벌이가족의 개념.

2. 맞벌이가족의 발생원인.

3. 맞벌이가족의 현황.

4. 맞벌이가족의 문제.

5. 맞벌이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우리조가 알아본 사례>>
(1) 인터뷰를 통해 조사한 사례.
(2) 인터넷을 통해 조사한 사례.
(3) 영화를 통해 조사한 사례.

본문내용

했다고 한다. 일을 시작 했음에도 불구하고 남편은 가사를 도울 생각은 전혀 하지 않아 아내는 힘든 생활을 하고 있다. 일을 시작한 후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은 있지만 양육비에 대한 부담은 없어졌다고 한다. 지금 두 자녀는 하교를 한 후 학원은 3곳이나 다닌다고 한다. 아내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한 방법이긴 하지만 두 부부는 항상 자녀에게 미안함을 느낀다고 한다.
-> 이들 부부는 생계유지형 맞벌이 부부에 해당하며 가사역할분담문제를 갖고 있 는 듯 하다.
*40대 맞벌이 부부
이들 부부는 두 자녀를 키우며 시부모님을 모시며 살고 있다. 살면서 여러 가지로 많이 들어가는 돈을 충당하기 위해 맞벌이를 선택한 이 부부는 맞벌이를 하면서부터 돈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었다. 또한 집안살림에 대한 부담도 줄었지만 시부모님의 먹거리, 용동, 여행비 등의 부담이 있고 이들 부부는 50대를 향해가는 체력은 점점 약해지고 여가생활을 즐길 수 없는 자신들이 조금은 나약한 존재로 느껴진다고 한다.
-> 이들 부부는 생계유지형에 해당하지만 여가생활을 할 수 없음에 오는 문제점을 여가생활형 맞벌이가족의 형태로 바꾸는 것이 좋을 듯 하다.
(2) 인터넷을 통해 조사한 사례.
직장을 다니면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정말 힘듭니다. 전 지금 2돌이 된 아이를 키우는 엄마입니다. 제일 큰 문제는 아이를 맡아서 키워줄 믿을 만한 곳을 찾는 일이 문제겠지요. 다행히도 친정이나 시댁에서 아이를 맞아 주신다면 더할 나위 없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믿을 만한 시설을 찾는 것이 관건이겠지요. 두번째 문제는 아이을 주말에만 보고 맡겨놓느냐 아님 저녁에는 데려오고 아침엔 맡겨놓느냐 하는 겁니다. 첫번째 경우는 육아에 대한 부담감이 덜 하지만, 주말에만 보기 때문에 아이들 정서에 안 좋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물론 부모의 입장에서 봐서는 아이가 없기 때문에 좀더 여유가 생기고 하겠지만, 그것이 장기간이 된다면, 아이와 부모사이에 유대감이 없기 때문에 엄마 아빠에 대한 애정이 없다고 들었습니다. 실제 제 친구경우도, 백일 지나서 언니에게 맡겨 직장생활을 하며 주말에만 아이를 보았는데, 첨에는 부모와 떨어지면 울더니 시간이 지날수록 나중에는 키워주는 친구의 언니에게서 떨어지면 울고 불안해하고, 엄마 아빠를 굉장히 낯설어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두번째 경우는 직장생활과 병행해서 아이를 키워야 하는 부담감이 있습니다. 제 경우는 후자에 해당하는 데요, 다행히도 전 직장과 친정이 가까워서 (도로 하나를 건너면 바로 친정입니다.) 아이에게 모유수유도 하고, 아이가 보고 싶을 땐 잠깐씩 짬을 내서 아이를 보기도 하고 여러 가지로 아이에게 많이 신경을 쓸 수 있었습니다. 퇴근을 하고 아이와 함께 집에 와서 어느 엄마들과 같이 아이와 놀아주고 집안 청소도 하고 하지만, 하루 종일 직장일에 시달려 집에 와서 살림과 육아를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괜한 일에도 아이에게 짜증을 부리기도 하고, 집안일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과 아침마다 아이를 데리고 출근해야한다는 것, 그리고 아이와 떨어져 다시 직장에 나갈 때의 그 스트레스는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의 100에 해당한다고 보셔도 됩니다.
이 경우는 남편이 많이 도와 주셔야 합니다. 같이 직장에 다니기 때문이 아니라, 아이를 키우는 것은 두 분의 노력 없이는 많이 힘든 것이니까요. 집에서 전적으로 아이를 키우는 분들은 편해보여도 하루 종일 아이와 함께 씨름 한다는 것은 만만한 문제가 아닙니다. 아이가 돌을 넘기기 전에 가장 많이 힘든데요. 이 때 남편은 아내를 최대한 많이 도와주고 육아도 적극적으로 도와주어야 합니다.
다른 문제는 직장생활을 하기 때문에 아이를 직접 키울 수가 없는 것입니다. 엄마가 해야 할 일들 그리고 엄마가 봐야 할 아기가 커가는 모습을 보지 못하는 아쉬움이 그것입니다.
제 경우는 좀 덜하지만, 많은 직장 다닌 엄마들이 느끼는 것은 아이에게 잘못된 부분이 있어도 쉽게 고치지 못한다는 겁니다. 친정 부모가 키워주는 경우는 그래도 내 엄마니깐, 여러 잔소리를 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그것도 쉽지 않습니다. 키워주시는 분을 완전히 신뢰하고 육아를 전적으로 맞기고 그 방법에 따르면 문제가 없지만, 내 방식만의 육아방법이 있고 이렇게 해야 하는 데 하는 생각이 있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는 문제가 생기지요. 탁아시설에 맞기는 경우는 시설을 옮기면 되지만, 시부모님 같은 경우는 특히 더 그렇습니다. 마직막으로 문제는 부부 관계입니다.
직장과 아이에게 시달리다 보면 엄마들은 아주 피곤합니다. 그러니 당연히 수면부족에 시달리게 되고 남편과의 관계가 소원해 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주말에만 아이를 보는 경우는 그나마 좀 여유가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그 문제로 인해서 부부간에 갈등을 유발 할 수도 있습니다. 그 밖에 잘잘한 문제점들이 있지요. 아이를 키우는데 드는 비용, 그리고 아이가 아플 때 같이 있어주지 못하는 답답함, 아이가 보고 싶어도 보지 못하는 아쉬움 기타 등등이 있을 겁니다.
-> 이 부부 생각하는 맞벌이부부의 문제점은..
육아양육문제, 노인문제, 부부갈등문제라고 했다.
아이를 낳아 기르는 문제가 가장 크다. 누구 한 사람이 일을 그만두고 아이를 돌봐야하는데 요즘 경제 사정으로 봐선 큰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맞벌이를 하게 되면 부모님과의 문제도 생긴다. 아무래도 바깥일을 하다보면 가사에 소홀하게 되고 나이 드신 부모님이 아이와 가사를 책임지게 되니 서로 이해를 못한다면 갈등이 생긴다. 부부간에도 가사 분담 문제가 있다.
(3) 영화를 통해 조사한 사례.
* 영화제목 : 햇빛 자르는 아이
* 내용 -
맞벌이하는 부모는 방문을 밖에서 자물쇠로 잠그고 일을 나간다. 갓난 남 동생을 업고 방 안에 갇힌 여섯 살짜리 소녀에게는 손바닥만한 창을 통해 보는 햇빛이 유일한 친구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햇빛도 서서히 꼬리를 감추고 소녀는 사라지는 햇빛을 잡고 싶어 팔을 뻗어보지만 창에는 턱없 이 미치지 못한다. 소녀는 다시 밥상 위에 올라 창을 향하지만 부실한 밥 상다리가 부러지면서 방바닥에 나뒹굴고, 업혀 있던 동생은 방바닥에 머리 를 부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08.30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54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